무엇을 믿을 것인가
움베르토 에코 지음, 이세욱 옮김 / 열린책들 / 2003년 2월
평점 :
품절


        움베르토 에코라는 이름 하나만 보고 뽑아 든 책이다. 그리고 읽은 후의 느낌은, 역시 이름값은 하는 책이구나 싶었다. 책은 신선한 시도를 담고 있었다. 종교인과 비종교인(여기서의 종교는 카톨릭이다) 사이의 대화라는, 나로서는 흥미가 생길만한 시도였다. 일반적인 대화의 장면에서 볼 수 있는 것과 같은 상대방에 대한 몰이해를 근거로 한 난장판 식의 싸움이 아니라, 서로의 관점에 대해 상당한 수준의 사고를 한 사람들 사이의 대화였기 때문에, 그 대화의 주제뿐만 아니라, 주제에 대한 대답에 접근하는 방식에 있어서도 매우 깊이 있는 대화, 아니 토론이었다. 정치인들이 나와서 물고 뜯는 싸움박질이나 하는 삼류 텔레비전 토론과는 그 격이 달랐다. 하지만 그래서 더 우려가 되기도 한 대화였다.




        주제는 크게 네 가지였다. ‘세계의 종말’, ‘인간 생명의 기원’, ‘교회의 여성관’, 그리고 ‘비신앙인들에게 있어서의 윤리의 근원’이라는 문제였다. 하나 같이 쉽게 대답하기 어려운 문제들이고, 형이상학적인 ‘근원의 문제’였다. 대부분의 대화에서는 에코가 보낸 공개서한에, 마르티니 추기경이 역시 공개적인 답신을 보내는 형식으로 이뤄졌고, 마지막 대화에서만 그 순서가 바뀌었다.

        에코는 묻는다. ‘신앙인들과 비신앙인들이 공유할 수 있는 희망의 개념이 존재합니까?’(20:9-10) 세기말을 앞두고 있는 상황(책이 만들어졌을 때의 상황)에서 신앙인과 비신앙인들이 함께 시작할 수 있는 시작점이 과연 존재하느냐 하는 문제였다. 마르티니 추기경은 ‘그런 개념은 어떤 식으로든 실재할 것’(26:5-6)이라고 전제한 뒤, 그 구체적인 모습으로는 ‘고결한 가치’를 위해 서로 협력할 수 있다는 점을 제시한다. 그러면서도 ‘고결한 가치’가 어떤 모습인지에 대해서는 직접적인 언급을 피한다. 극단적으로 말하면 매우 모호한 일치점만을 제시-이것이 한계점이 아닌가 싶은 생각이 들었다-하는데 그치고 있는 것이다. 아마도 ‘이 땅에서의 인류의 공동번영’을 위한 무엇인가를 말하는 것 같다는 추측만 가능할 뿐이었다.

        생명의 기원은 어디서부터 생각해야하느냐는 에코의 물음에, 추기경은 ‘무엇보다 하느님께서 나누어 주신 바로 그 지고하고 구체적인 생명과 존재를 의미하는 것이 되어야 할 것’(47:12-14)이라고 옳게 지적 하면서, 그 시작과 관련된 문제에 있어서는 다시 ‘누구나 한 인간 생명의 운명과 대면할 때마다 느끼는 고민과 불안’(51:1-2)을 언급하면서, 인간이라면 누구나 가질 수 있는 공통의 ‘그 무엇인가’를 기초로 접근하려는 모습을 보여준다.

        이어지는 질문에서 에코는 교회 안에서 오랫동안 지속되어 온 ‘여성차별(?)’에 대한 논의를 직접적으로 언급하면서, 교회의 입장을 묻는다. 추기경은 ‘신학은 가능성이나 <만일 ……라면 일어났을 수도 있는 일>을 다루는 학문이 아니며, 계시 진리의 역사적이고 실증적인 사실들에게 출발하여 그것들을 이해하려고 노력할 수 있을 뿐’(82:20-23)이라고 교회가 취할 수 있는 입장의 한계를 분명히 하고, 교회 안에서의 여성의 지위 문제는 어떤 ‘신비’(84:20)가 있으며, 그 신비는 아직 교회에서도 완전히 이해하지 못하고 있다(86:7-8)고 솔직하게 인정한다.

        네 번째 질문은 마르티니 추기경의 것이다. 신앙인에게 있어서의 윤리의 기준은 신에게서 오지만, 비신앙인의 윤리는 어디에 기초를 두고 있느냐는 물음이었다. 과연 에코는 어떤 ‘논리적인’ 대답을 할 것인가. 놀랍게도 에코는 ‘제약에 대한 보편 개념’(104:14-15)이라는 것에서 그 이야기를 시작해 나간다. 그 관념은 자연적인 것(본유관념)이라는 생각이 깔려 있는 듯 하다. 동시에 인간에게는 ‘타자에 대한 의식’(106:5-7)이 또한 있고, 거기서 파생되는 ‘(관계 속에서 만들어지는) 삶의 계속성에 대한 확고한 신념과 절대적인 의무감’이 윤리의 근원이 되는 것이라고 자신의 의견을 피력한다.




        대담자들이 당대의 지식인들인 만큼, 하나하나가 매우 깊이 있는 질문과 답변들이었다. 때문에 자칫 깜빡하는 사이에 논지를 잃어버리기 쉬웠다. 책을 읽고 가장 의아하게 여겨졌던 부분은, 충실한 인본주의자, 이성주의자로 여겼던 움베르토 에코의 대답이, 너무나 ‘종교적’이었다는 점이다. 결국 근원에 대한 질문을 받게 되면, 종교의 영역으로 들어갈 수밖에 없게 되는 것이 아닌가 싶은 생각도 해 본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