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도하고 싶지 않은 당신에게
타일러 스테이턴 지음, 홍종락 옮김 / 복있는사람 / 2024년 1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그리스도인들의 삶에 기도란 얼마나 소중한 것인지. 수많은 신앙의 선배들이 직접 경험한 기도의 중요성을 고백해 왔고, 많은 교회의 훈련 프로그램들도 바로 이 기도를 더 익숙하고 잘 하도록 돕기 위한 것이기도 하다.


하지만 역설적으로 이런 반복되는 강조는 그리스도인에게 기도란 얼마나 익히기 부담스러운지를 보여주는 것이기도 할 것이다. 신앙생활을 얼마나 오래 했느냐와 상관없이, 그리고 기도가 얼마나 중요한 것인지를 아는 것과도 무관하게, 기도는 어렵다. 기도에 관한 책은 그래서 좀 부담스럽게 느껴지면서도 동시에 궁금증을 자아내기도 한다. 어떻게 하면 기도를 그렇게 쉽게 잘 할 수 있을까.


작년 말 갔던 한 모임에서, 일면식도 없었던 어떤 분이 이 책을 추천했다. 얼마 후 구입을 했고, 그분이 왜 이 책을 추천했는지를 살짝은 알 것 같다. 저자는 기도에 관한 깊은 통찰력과 경험을 바탕으로, 기도가 무엇인지, 어떻게 기도해야 하는지에 관한 좋은 조언을 해 준다.





저자는 우선 기도에 대한 부담감을 줄이도록 요청한다. 단번에 몇 시간, 몇 날에 걸쳐 기도하는 사람이 될 수는 없다. 우선은 지금 할 수 있는 만큼만, 그것이 하루 1분에 불과하더라도 기도를 하라, 그것이 중요하다. 기도를 할 때 무슨 유려한 말로 하려고 애쓸 필요도 없다. 기도에서 가장 중요한 건, 하나님 앞에 나아가 머무는 일이다. 앞서 말한 1분의 기도 동안 그저 “하나님 아버지”라고 부르고 난 뒤 잠잠히 하나님을 기다리는 것도 충분한 기도다.


하지만 일단은 이렇게 기도를 시작했다고 해도, 계속 그 자리에만 머무는 것은 무리다. 우리의 기도는 점점 더 풍성해져야 하고, 더 깊은 데로 나아가야 한다. 책 중반은 우리의 기도에 채워져야 할 “내용들”에 관한 이야기를 담고 있다. 경배, 고백, 중보, 청원 등이다.


책 후반부는 기도를 하는 우리에 관한 이야기다. 기도에 관한 신약성경의 동사 시제가 중간태라는 점에서 착안해 기도는 구하는 것이기도 하지만 동시에 내가 하는 것이기도 하다는 통찰로 시작해, 침묵과 끈질김으로, 쉼 없이 기도해야 한다고 권면한다.





살짝 아쉬운 것은 각 장의 구성이 논리적으로 긴밀하게 연결된 글들이라기보다는, 그 장의 큰 주제에 관한 이런저런 짧은 글들이 연속적으로 실려 있는 식이라는 점이다. 한두 페이지의 글과 그 다음에 나오는 글 사이에 별 관련이 없으니, 책을 읽어나가면서 흐름이라는 것이 잘 느껴지지 않는다. (마치 짧은 칼럼들을 모은 느낌?)


하지만 그런 구성의 아쉬움을 넘어서는 내용의 충실함이 있다. 좋은 번역자의 도움이 있었는지는 모르겠으나, 문장들도 깊이가 있으면서 분명하게 전달되고, 그 안에 담긴 내용 역시 훌륭한 통찰과 작가로서의 훌륭한 능력을 보여준다.


예컨대 책 초반 저자는 서구 교회와 영적 호기심이 살아 있는 서구 세계 사이의 많은 관계가 끊어졌지만, “기도가 그 둘 사이의 접점”으로 남아 있다고 예리하게 지적한다. 우리의 기도가 “물에 가라앉지 않으려고 미친 듯이 발버둥 치며 가상의 무기력한 신에게 소극적으로 말을 거는 일에 불과”하다는 표현은 생동감이 있고, 현대 그리스도인들이 “하나님 아버지”와 “아멘” 사이에서만 들을 수 있는 (그러나 일상에서는 쓰지 않는) 상투적인 용어들로 가득 찬 기도를 한다고 위트를 섞어 비판하기도 한다. 이 정도의 글솜씨는 읽는 재미를 준다.


무엇보다 책은 기도에 관해 다시 한 번 집중할 수 있도록 도와준다. 늘 “더 중요한” 일을 하기 위해 미뤄두었던 주제를 다시 우리의 우선순위 상위로 밀어 넣도록 만들어주는 셈이다. 당장 책 제목처럼 기도하고 싶은 마음이 별로 들지 않는 사람들에게도 어느 정도 도움이 되지 않을까 싶은 그런 책.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