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의 철학 - 몰입과 성장을 이끄는 스탠퍼드 마지막 인생 수업
빌 버넷.데이브 에번스 지음, 이미숙 옮김 / 갤리온 / 2021년 8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일은 우리 삶에서 아주 중요한 부분이다. 물론 요새는 좀 다른 이야기들도 나오지만, 일은 우리의 정체성을 확립하는 데 큰 영향을 끼친다. 그건 단지 돈을 버는 수단일 뿐만 아니라, 우리가 누구인지 스스로 정의할 수 있게 만들어주는 것이기도 하다.


물론 이 말이 어떤 직장이 우리에게 그만큼 중요하다는 뜻은 아니다. 중요한 건 비전이고, 그것을 향해 가는 과정에서 우리는 다양한 직업을 가질 수 있다. 꼭 어떤 종류의 직업에 목을 맬 필요는 없다는 의미다.


하지만 문제는 우리의 직장이 늘 우리가 원하는 모습은 아니라는 점이다. 들어가기 전에는 어떻게든 합격하기를 바라지만, 정작 입사한 후에는 우리가 기대했던 모습과는 전혀 다른 상황에 당황하고, 때로 회의를 느끼다가 결국 그만두는 경우는 적지 않다. 예전과는 다르게 평생직장 같은 개념이 거의 사라진 오늘날 이런 과정은 좀 더 빨리 이루어지기도 하는데, 그렇다고 해서 그 과정에서 겪는 문제들이 별 영향이 없다는 의미는 또 아니니까.





이 책은 바로 그런 어려움을 겪는 사람들을 위해 쓰였다. 스탠퍼드 대학의 디자인스쿨에서 했던 강의를 책으로 엮었다. 여기서 말하는 디자인이란 무언가 제품이나 작품을 만들기 위한 것이 아니라, 인생을 디자인한다는, 좀 더 인문학적인 의미를 가진 단어다. 직장을 재디자인 해보자, 이 책의 주제다.


두 명의 저자들은 우리가 직장을 인식하는 방식을 바꾸면 실제적인 변화가 있다고 강조한다. 물론 여기에서 말하는 건 우리 쪽의 생각을 바꿔나가고, 그것이 우리의 행동에 변화를 일으키면서 우리가 처한 상황도 바꿔나갈 수 있다는 내용이지만, 그게 꼭 상황의 변화까지 이를 지는 장담할 수 없다. 하지만 그러면 또 어떤가. 우리는 애초에 수많은 것들이 이미 정해져 있는 세상에서 살고 있지 않던가. 그 가운데서 우리의 생각이 변화될 수 있다면 그 또한 분명 유익한 일일 것이다. 더구나 그게 우리가 하루 중 1/3이상의 시간을 사용하는 영역과 관련되어 있다면.


중요한 건 그 생각의 재구성이 바른 방향을 향하고 있느냐일 것이다. 저자들이 이 책에서 말하는 건, 돈보다는 의미가 더 중요하고, 최고만을 바라는 완벽집착이 아니라 지금 실행 가능한 최고의 선택지를 고르라는 것과, 회사 내에서 바르게 영향력을 쌓고 사용하는 법, 심지어 잘 퇴사하는 법까지, 직장생활을 하면서 두루 사용할 수 있는 좋은 방향의 조언들이다.





중요한 건 심리적인 적절한 거리를 유지하는 것이 아닌가 싶다. 지나치게 몰입하다 보면 자연히 시야가 좁아지고 잘못된 생각과 선택을 하기 쉽다. 저자들은 우리의 일을 좀 객관적으로 볼 수 있는 팁을 제안하면서 이 작업을 돕는다. 그렇다고 해서 일을 대충하라는 의미는 아니다. 열정을 쏟을 수 있는 일이 아니라면 애초에 이런 책을 읽으려는 노력조차 필요 없을 테니까. 말 그대로 제대로 일을 하기 위해서 필요한 내용들이다.


직장 초년생들에게 권해주면 좋을 듯한 책이다. 물론 그보다 더 오래된 이들에게도 제법 와 닿는 지점이 많지 않을까 싶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