프랑켄슈타인 청소년 모던 클래식 6
메리 셸리 지음, 박선민 옮김 / 구름서재(다빈치기프트) / 2024년 9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1831년에 나온 고전 문학 작품이다. 여기저기서 관련 내용을 파편적으로 들은 경우는 많았지만, 정작 이렇게 각 잡고 처음부터 읽어본 건 이번이 처음이다. 결정적으로 많은 사람들이 오해하는 내용 중 하나는 소설 속 인공적으로 탄생한 괴물의 이름이 프랑켄슈타인이라고 생각하는 것인데, 실은 괴물을 만들어 낸 사람의 이름이다.


청소년 도서 기획이다 보니 책의 이해를 돕기 위한 몇 가지 글들이 책 뒤에 붙어 있다. 작가라든지 당시의 시대적 배경에 관한 설명이 간단히 소개되어 있는데, 꽤 도움이 되는 내용들이다. 우선 이 작품에는 18세기 말부터 유럽에 유행했던 낭만주의의 영향으로 이전 시기의 질서와 조화, 균형에 반대되는, 비합리적이고 초자연적인 것들에 대한 추구가 두드러진다. 비슷한 이야기가 고딕소설이라는 장르에서도 나오는데, 이전 시대의 억압된 인간의 비이성적인 측면을 집중적으로 다루는 책이라는 의미다. 뭔가 으스스하고 그로테스크한 이 작품의 분위기를 설명해 주는 키워드들이다.





소설은 액자식 구성으로 되어 있는데, 윌튼이라는 이름의 모험가가 배를 타고 북극을 탐험하러 가는 도중 한 사내를 만나게 되는데 그가 바로 프랑켄슈타인이다. 그는 자신이 어떤 존재를 쫓고 있으며, 그 이유가 되는 과거사를 풀어 놓는다. 그리고 그의 이야기 가운데 그가 괴물로부터 들었다고 하는 괴물의 경험담이 또 실려 있다. 이중의 액자 구성이다.


제네바의 행복한 가정에서 태어난 프랑켄슈타인은 과학에 관심이 많았고, 대학에 들어가서 공부를 하던 중 생명을 탄생시킬 수 있는 원리를 깨닫게 된다. 그리고 마침내 11월의 어느 밤, 묘시를 뒤져 시체를 파헤치고 동물을 실험한 결과물로 마침내 그만의 생명체를 탄생시키게 된다.

책에는 이 때 프랑켄슈타인의 심리가 이렇게 묘사되어 있는데 “행복하고 우수한 생명체들이 내 손에서 탄생하면 자신의 창조주이자 근원인 나에게로 축복의 입맞춤을 해 주리라고 생각했습니다”라는 구절이다. 애초에 프랑켄슈타인은 자신이 하고 있는 일의 의미가 무엇인지 별다른 고민을 하지 않고 있었고, 그저 자신에 감상에 빠져 있었을 뿐이었다.


기술이 가져올 수도 있는 부작용에 대한 고민 없이 그저 “할 수 있으니 하는 것일 뿐”이라는 현대의 기술주의적 과학자들의 면모가 언뜻 묻어나는 것 같기도 하다. 예컨대 오늘날의 AI 기술의 무절제한 발전은 어쩌면 또 다른 프랑켄슈타인의 괴물을 만들어 내는 일일 지도 모르지 않은가.





그렇게 무작정 저질러버린 결과는 참혹했다. 생명을 얻은 괴물은 인간보다 우월한 육체적 능력을 가지고 있었고, 지력 또한 인간에 필적했다. 문제는 그 기괴한 외모 때문에 사람들로부터 쉽게 받아들여질 수 없었고, 몇 차례에 걸려 강경한 거부를 경험한 그는 곧 인간에 대한 원한을 깊이 가지고 사람들을 해치기 시작한다.


결국 괴물은 프랑켄슈타인의 지인들에게까지 손을 뻗쳤고, 처음에는 동생이, 친구가, 마침내는 아내까지 잃은 후에야 프랑켄슈타인은 괴물과 맞서 싸워 해치워야겠다는 결심을 한다. 여기까지 이르는 과정이 퍽이나 답답한데, 자신이 괴물을 만들어 냈다는 것을 쉽게 알릴 수 없었다지만 억울한 사람들까지 얽혀 들어가는 데도 그저 벌벌 떨면서 점차 우울증에 빠져 들어가는 모습 이외의 어떤 제대로 된 대응을 하지 않는다. 마치 누군가 나와서 자기 대신 문제를 해결해 주기를 바라는 것처럼.


심지어 괴물이 결혼식 첫날밤에 사고를 칠 것이라고 친절하게 예고를 해 주었는데요, 프랑켄슈타인은 혼자 마음속으로만 각오를 한 채 아내에게는 아무런 언질도 주지 않았고, 심지어 혼자서 방에 들어가도록 만든다. 당연히 괴물은 프랑켄슈타인의 아내 혼자 있는 방에 들어가 그녀를 살해하고 도망친다. 뒤늦게 도착해서 당황하며 울부짖는 모습은 그냥 미련하게 보일 뿐. 물론 200년 전 소설인지라 인물의 행동에 답답한 면은 어느 정도 감안해야겠지만, 이건 좀 지나치지 않나 싶은.


결국 괴물의 유인에 따라 북극 어딘가로 추격하던 프랑켄슈타인은 체력이 약해져 책 초반에 나오는 윌튼 선장의 배에 구조되지만, 자신이 겪은 일을 설명하고는 얼마 못가 세상을 떠나고 만다. 결과적으로 그는 자신이 저지른 일을 아무 것도 수습하지 못한 채, 주변에 엄청난 피해만 입히고는, 혼자만의 좌절과 실의에 빠져 허우적대다가 죽어버린 것이다. 엄청난 민폐 캐릭터라고 할 수 있을 텐데, 사실 생각해 보면 이런 사람들이 어디 한두 명이던가.





인격을 가진 생명체의 창조라는 면에서 성경의 창조 이야기를 떠올리게도 한다. 외로움을 견디다 못해서 자신의 짝이 될 만한 존재를 만들어 달라고 프랑켄슈타인을 찾아온 괴물의 이야기는 성경의 비틀린 베리에이션처럼 보이기도 하고. 하지만 이 부분에서는 별다른 추가적인 전개는 보이지 않는다.


현대에도 다양한 의미로 해석될 수 있는 작품이긴 하다. 과학의 무절제에 대한 비판으로도, 외모지상주의에 대한 비판이나 비인간 생명체와의 공존에 관한 사유도 가능하다. 배경 묘사도 좋아서 다양한 장소와 계절이 잘 느껴지기도 한다. 좋은 문학작품이라는 의미.


댓글(0) 먼댓글(0) 좋아요(4)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