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사형수 최후의 날
빅토르 위고 지음, 한택수 옮김 / 궁리 / 2004년 2월
평점 :
절판
고백컨대, 여전히 희망을 가졌기 때문에 조금 전에는 두려웠다.
다행히 지금은 더 이상 바라지 않는다.
제목에서 뭔가 의미심장한 느낌을 받는다. 사형수 최후의 날. 제목대로 이 책의 내용은 사형 판결을 받은 한 젊은이가 감옥에 갇혔을 때부터, 실제 사형이 집행되기까지 느낀 심리를 묘사하고 있다. 빅토르 위고라는, 레미제라블로 유명한 작가의 글이라서 더욱 관심을 가지고 뽑아 든 책이다.
사형수라.. 사형수는 어떠한 감정을 가지게 될까. 이제 얼마 후면 죽게 된 그에게 죽음이란 어떤 의미를 가지고 있으며, 또 삶이란 어떻게 다가올까. 레미제레블로 인간성에 관한 깊은 통찰을 보여주었던 빅토르 위고는 이 문제를 ‘영혼의 고통’이라는 측면으로 접근한다.
결론부터 말하자면, 위고는 사형제도를 반대하고 있다. 그에게 있어서 사형이란 단지 육체적인 생명만을 죽이는 것이 아니라, 영혼까지도 조금씩 갉아내는 무서운 행위이다. 위고는 사형이란 살인의 의미 그 이상의 것이 아니다.
아무도 나를 증오하지 않고, 모두 나를 동정하며, 그리고 모두 나를 구할 수 있는데도 그들은 네 아빠를 가지고 그렇게 할 것이다. 그들은 나를 죽일 것이다. 마리, 넌 이것을 이해하겠니? 침착하게, 예식을 차려가며, 좋은 일을 하듯이 나를 죽인단다! 아! 이럴 수가!
이 외에도 위고는 다양한 장치들을 통해 사형제도가 갖는 부당함을 강변하고 있다. 책을 읽는 내내 저자의 이러한 주장의 타당성을 검토해보게 되었다. 과연 사형이란 저자의 말처럼 어떠한 존재이유를 갖지 못하는 불합리한 형벌인가..
어쩌면 위고가 접한 사형의 방법이 기요틴이라고 부르는 참수형이었기 때문에 더욱 반감을 갖게 된 것은 아닌가 하는 생각을 해 본다. 그것도 사형을 집행하기 전에 광장에서 큰 소리로 사람들을 불러 모은 다음 이루어지는 공개처형 말이다. 아마도 이러한 집행절차가 저자에게 더욱 큰 혐오감을 주었을 것이다.
한편, 주제와는 별도로 문학적인 영역에 있어서도 역시 위고는 탁월했다. 마치 자신이 직접 사형수가 된 것처럼 문장을 진행시켜나가고 있다. 특히 주인공을 둘러싸고 있는 여러 인물들을 통해 주인공이 처한 상황의 비극성을 심화시키는 부분은 정말 멋졌다. 비록 번역된 글이긴 했으나 역시 세계적인 작가의 솜씨라는 것을 느낄 수 있었다.(번역자에게도 박수를 보낸다.)
읽고서 의견 나눌 사람을 찾아봐야하는 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