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번에는 현대 기독교사다. 이 시기 교회를 설명하는 가장 두드러진 특징은, 세계화에 발맞추어 전 세계적인 선교가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어느 정도 그 성과를 거두었다는 점일 것이다. 물론 선교는 중세에도 다양한 지역에서 이루어졌지만, 그 범위와 깊이가 크게 늘어난 것은 교통과 통신의 발달 때문이니 말이다.
그래서 책 역시 선교운동을 설명하는 것으로 시작한다. 서구 열강이 세계 각지로 세력을 떨치면서 그와 함께 교회도 그 영역을 넓힐 수 있었던 것. 여기에는 제국주의적 선교라는 비판적 지점도 분명 존재하지만, 당시 말 그대로 목숨을 걸고 선교지로 떠났던 수많은 이름 없는 헌신자들의 노력을 그 한 마디로 폄훼하는 건 부당한 일일 것이다.
또 하나 현대 기독교를 설명하는 용어는 ‘복음주의’다. 그 정의부터가 쉽지 않은 이 신학적 입장은 시대에 따라 그 범위와 내용이 상당히 달라졌다. 하지만 오늘날 (그 이름 때문인 것인지) 상당히 많은 이들이 자신을 복음주의자라고 소개하고 있는데, 거기 담긴 뉘앙스는 “성경과 기독교에 대해 건전한 상식적 믿음을 가지고 있는 사람” 정도인 것 같다.
복음주의가 중요한 것은 앞서 언급했던 전 지구적 범위의 활발한 선교활동에 이 그룹에 속한 사람들이 끼친 큰 영향력 때문이다. 대표적으로 마틴 로이드 존스나 존 스토트, 빌리 그레이엄 같은 인물들이 있고, 분명 오늘날 기독교계는 이들의 공헌에 힘입어 성장한 면이 있다.
이외에도 현대 기독교는 다양한 모습으로 분화되기도 했다. 대표적으로 개인적인 영성이 강조되는 신앙의 흐름이 있고, 오순절주의로 대표되는 은사주의적 흐름이 또 한 편에 있다. 두 차례의 세계대전을 거치면서 유토피아적 이상을 포기한 채 현실에 천착하는 자유주의적 흐름이 나타난 것도 눈여겨 볼만한 지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