클라라와 태양
가즈오 이시구로 지음, 홍한별 옮김 / 민음사 / 2021년 3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가까운 미래, 한 가게에 인공지능 로봇 클라라가 전시되어 있다. “에이에프”라고 불리는 로봇들은 주로 아이들을 위해 봉사하도록 설계된 것으로 보인다. 어느 날 드디어 햇볕이 잔뜩 내리쬐는 쇼윈도에 배치되어 가게 밖 풍경을 눈에 담고 있던 클라라는 조시라는 이름의 소녀를 만나게 된다. 그리고 바라던 대로 조시네 집으로 가서 새로운 생활을 시작하게 된다.


조시는 아팠다. 작품 속 정확히 어떤 병인지 묘사되지는 않지만, 점점 쇠약해져 가고 있다는 것은 분명해 보였다. 그리고 클라라는 그런 조시를 위해 자신이 할 수 있는 모든 일을 하고자 했다. 그게 심지어 자신의 일부를 내어주는 일이라고 하더라도. 그리고, 기적이 일어난다. 인공지능이 만들어 낸 기적이라니... 이 모순적인 상황.





시작은 클라라가 경외하는 태양에게 하는 기도였다. 마치 인간들이 신을 섬기듯, 클라라는 자신에게 힘을 주는(태양열을 이용해 작동하는 듯하다) 태양을 경배한다. 인공지능에게도 마음이라는 것이 있을까? 작품 속에서도 이에 대한 질문이 여러 차례 등장한다. 클라라는 그런 질문을 받을 때마다 열심히 노력하겠다는 대답을 한다. 마음은 노력으로 가질 수 있는 걸까.


클라라가 태양을 대하는 모습만 보면, 이미 마음과 비슷한 걸 갖고 있는 것만 같다. 클라라는 이미 프로그램 된 수준을 넘어 과학적으로 설명되지 않는 숭배라는 의식을 갖고 있다. 무엇보다 클라라는 조시를 정말로 사랑했다. 단지 자신의 주인을 위해 최선의 서비스를 다한다는 수준을 넘어 자기희생의 단계까지 이른다. 정말로 그런 일이 가능하냐의 문제를 미뤄놓고, 우선 그런 일이 가능하다면, 우리는 그 인공지능에게 마음이라는 게 있다고 해야 할까?


어쩌면 작가는 이런 구성을 통해 인공지능과 기계에 대한 무엇이 아니라, 인간성이란 무엇인가 하는 질문을 던지고 있는 것일지도 모르겠다. 사실 인간이라는 존재는 은근 자기 자신을 제대로 보지 못하는 경우가 많다. 이런 식으로 제3자의 눈을 통해 조명할 때야 비로소 뭔가 보인달까.





작품을 읽다보면 자연스럽게 클라라에게 이입하게 된다. 어린아이와 같은 경이감으로 세상을 바라보는 폼이 퍽 귀여우면서도, 군데군데 클라라가 기계임을 보여주는 설정들도 함께 등장하는데 그게 또 약간 짠하다.(이 모든 감정도 클라라를 단순한 기계 이상으로 보기 때문일 것이다) 예를 들면 클라라는 조시가 남자친구인 릭과 함께 있을 때 창가의 단추의자에 앉아 (마치 가구에 불과한 것처럼) 밖을 쳐다보고 있고, 저녁이면 불 꺼진 주방에 남아 냉장고가 내는 “편안한” 웅웅거림을 들으며 그 옆에 서 있다.(좋은 묘사다)


특히 책의 마지막 장면이 퍽 서글프다. 처음에는 조시와 같은 나이 또래였던 클라라였지만, 조시는 자라고 있었고 클라라는 제자리였다. 클라라는 언제와 같은 “마음”일 수 있지만, 사람의 마음은 시간의 흐름에 따라 변한다. 상황을 더욱 “비극적”으로 만드는 건, 클라라의 그 “한결같음”이다. 단순히 어린 아이의 변덕이라고만 치부할 수도 없는 게, 우리 모두가 그렇게 하곤 하니까. 어린 시절을 함께 했던 ‘물건들’은 자라면서 점차 자리를 다른 것들에 내어주기 마련이다. 그런데 클라라는 “물건”이었을까?


확실히 노벨문학상을 받은 작가다운 묘사력이 인상적이다. 생각해 보니 이 작가의 원작을 바탕으로 만들었던 영화 “네버 렛 미 고”도 굉장히 인상적으로 봤던 기억이 있다(몇 안 되는 추천 영화 중 하나다). 그렇다고 너무 난해하거나 그런 문장들도 아니니, 기회가 된다면 꼭 손에 들어볼 만하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8)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