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화관에 간 클래식
김태용 지음 / 페이스메이커 / 2019년 10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좋은 영화에는 좋은 음악이 함께 있다. 오랫동안 기억에 남는 장면을 가만히 반추해 보면 그 자리에 인상적인 음악도 있었다는 걸 깨닫게 된다. 한 예로 “지금 만나러 갑니다”라는 일본 영화가 있었다. 그 땐 처음으로 영화관에 가기 시작하던 때라 꽤 큰 감동을 오래도록 느꼈었는데, 우리나라에서 같은 영화를 리메이크를 한다는 소식을 듣고 다시 영화관에 갔었다. 소지섭과 손예진이라는 나름 연기력 괜찮은 배우들이 출연했음에도 예전과 같은 감동은 느끼지 못했었는데, 역시 가장 주된 이유는 원작의 해바라기밭에서 나왔던 특유의 BGM 같은 게 리메이크판에서는 들리지 않았기 때문이 아니었나 싶다.


영화음악은 극의 분위기를 만드는 데 핵심적인 요소 중 하나다. 아무리 잘 만든 스릴러나 공포영화도 배경음악이 빠지면 밋밋하기 그지없는 영상이 된다. 그런데 그 배경음악 중에는 새롭게 만들어낸 것들도 있지만, 이미 존재하는 클래식 중에서 고른 곡들도 있다. 이 책에서 다루고 있는 곡이 바로 그 영화 배경음악으로 사용된 클래식이다.





책은 한 편의 영화 속에 삽입되어 있는 클래식 곡들을 찾아내 설명하는 식으로 구성되어 있다. 영화의 어떤 장면에서 어떤 곡이 사용되었는지(여기에서 간략한 영화의 줄거리도 소개된다), 그 곡이 만들어진 배경은 무엇인지 하는 것들이 있어서 관심 있는 사람들에게 재미를 줄 수 있을 것 같다.


보통 이런 책에 실린 영화들은 오래된 것들이 많아서 어지간히 영화 쪽에 정통한 사람이 아니면 모를 만한 고전들이 잔뜩 실려 있기 마련인데, 이 책의 경우는 최신 영화들이 잔뜩 실려 있어서 접근성에서 좀 더 낫다. 스물두 편의 영화가 언급되는데, 세어보니 딱 절반은 열한 편의 영화는 이미 본 것들이었다. 그래서 좀 더 반갑기도 했고.


다만 내가 보지 못했던 영화의 경우 내용을 충분히 이해하는 데 어려움이 있을 수밖에 없다. 이런 종류의 책이 가지는 한계랄까. 뭐 그래도 어느 정도 영화에 대한 감각이 있다면 충분히 넘어갈 수 있는 부분.


사실 개인적으로 좀 더 어려웠던 부분은 클래식 쪽이었다. 역시나 교양 수준의 책 몇 권 가지고는 더듬어 가기도 쉽지 않은 게 클래식인 듯. 이번 책을 읽고 든 생각인데, 앞으로 당분간은 이런 종류의 책을 손에 들지 않을 것 같은...;;


댓글(0) 먼댓글(0) 좋아요(4)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