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양 선비, 우정을 논하다 - 마테오 리치의 《교우론》과 마르티노 마르티니의 《구우편》
마테오 리치.마르티노 마르티니 지음, 정민 옮김 / 김영사 / 2023년 1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16세기는 대항해시대의 정점이었다. 이 시기 유럽 각국은 아시아로 향했고, 이 바람을 타고 이제 가톨릭교회의 주요 조직으로 성장한 예수회 출신의 선교사들도 중국에 도착했다. 그 스타트를 끊은 인물이 바로 마테오 리치다.


오랫동안 절대군주제가 유지되어 오던 중국에서, 리치는 무엇보다 이 귀족계층과의 친분 없이 선교는 불가능하다고 판단했던 것 같다. 그래서 이들에게 접근하기 위한 방식으로 유학의 옷으로 갈아입는다. 그 과정에서 다양한 저술들이 나왔는데, 그 중 초기의 것으로 이 책에서 소개하고 있는 “교우론”이라는 책이 있었다. 이름에서 알 수 있듯 친구를 사귀는 일과 관련된 내용인데, 정확히는 서양의 다양한 격언이나 고전의 일부를 발췌해서 중국어로 소개하는 책이다.


그리고 약 반 세기 정도가 지난 후, 다시 예수회 출신으로 중국에서 비슷한 사역을 했던 인물이 있었으니 마르티노 마르티니다. 그 역시 앞서 리치의 작업과 비슷한 순서로 교우 관계에 관한 서양의 격언과 고전을 소개하는 책을 썼으니, 그 책이 바로 “구우편”이었다. 이 책은 “교우론”과 “구우편”이라는 두 권의 책의 전문을 그것의 원출처와 함께 실어 소개하는 책이다.





교우론이 처음 나왔을 때 당시 명나라 지식인들 사이에 크게 유행을 했다고 한다. 세계가 자기들 중심으로 흘러간다고 믿어왔던 중국인들에게 먼 서양에도 오래된 문명이 존재했다는 사실만으로도 신선한 충격을 주었을 것이다. 여기에 (마테오 리치의 적절한 편집이 들어갔겠지만) 서양의 격언이 유학의 그것과도 상통하는 면이 있다는 점도 그들에게 더욱 흥미를 자아내는 부분이었을 거고.


반면 마르티니의 책의 경우 리치의 것만큼의 유행은 하지 못했던 것 같다. 책 후반에 그 이유에 대해 편역자의 생각이 좀 실려 있긴 한데, 개인적으로 가장 중요한 요인은 이미 비슷한 책이 앞서 나와 있는 상황에서 단순히 확대 증보판만으로 눈길을 끄는 데는 무리가 있지 않았을까 하는 점과, 그새 중국의 왕조가 명에서 청으로 교체되었다는 점 또한 고려해야 할 부분이 아니었나 싶다.


짧게 짧게 인용을 하고 있는 리치의 글과 달리, 마르티니의 책은 좀 더 길게 설명이 붙는다. 애초에 이런 식의 격언들은 짧고 굵은 게 여운이 남는 게 아닐까 싶지만, 마르티니의 생각은 좀 달랐나 보다. 그래도 두 권의 책에 다양한 시대를 지나면서 여러 문인들이 덧붙인 서문들까지 읽다 보면, 동서양의 만남이 꽤 흥미롭다.




친구를 사귐에 관한 다양한 조언들로 가득 채워져 있는 책이다. 살아가면서 중요해 보이는 것들이 여럿 있지만, 나이를 먹을수록 결국 사람이 가장 중요하다는 생각이 많이 든다. 그리고 여기에서 중요한 건, 어떤 사람을 만날 것인가 뿐 아니라 내가 어떤 사람이 될 것인가이기도 하다. 이런 면은 역시 옛 사람들의 조언에 귀를 기울여 보는 것도 분명 도움이 되지 않을까 싶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8)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