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을 위한 음악 - 교회음악의 역사, 고대 이스라엘에서 현대 가스펠까지
요한 힌리히 클라우센 지음, 홍은정 옮김 / 좋은씨앗 / 2024년 3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교회음악의 역사에 관한 책은 오랜만이다. 아마 학부 시절에 한 권 본 것 같으니 시간이 꽤 지났다(사실 그 책은 교회음악사만 담겨 있던 것은 아니었던 것 같다). 이 책은 구약 시대의 종교음악부터 시작해 현대(20세기 초중반)의 가스펠 음악까지, 말 그대로 찬송이라고 불릴만한 음악의 역사를 전반적으로 훑어가는 책이다.


그리고 앞서 교회음악이라는 단어로 시작했지만(실제로 책의 대부분은 여기에 할애되어 있지만), 방금 언급했던 것처럼 저자는 이를 단순히 교회 안에서 연주되고 불리는 음악만이 아니라, 고대 이스라엘 사람들이 했던 찬양까지 거슬러 올라간다. 물론 이 부분은 성경에 언급된 악기나 곡조에 관한 기록 등을 언급하는 정도지만.


역시 마찬가지로 초기 기독교 시기의 찬양에 관한 언급을 간단히 한 뒤, 본격적으로 교회음악이라고 할 수 있는 그레고리오 성가에 관한 내용이 따라온다. 흔히 이 성가들은 대교황이라고 불리는 인물들 중 하나인 그레고리우스 1세 때 교황청이 주도해 만들어진 것으로 생각하지만, 저자는 당시 교황들에게는 그럴만한 힘이 없었으며 오히려 이 노래들은 (당시 서부와 중부 유럽을 지배하고 있던) 프랑크족의 것이었다고 단언한다. 그리고 좀 더 세부적으로 들어가면 아일랜드 출신의 수도사들이 이 작업에 큰 공헌을 했다고.





그 다음은 종교개혁 시기 개혁자들의 음악이었다. 개혁자들의 성격에 따라 교회 음악에 대한 입장도 달랐는데, 어지간한 건 그대로 남겨두었던 루터와 모든 걸 다 새로 만들기를 원했던 츠빙글리, 그리고 그 둘 사이의 칼뱅은 교회음악에 대해서도 꼭 그처럼 차이를 보였다. 전반적으로 이 시기를 거치며 청중은 그저 듣기만 했던 교회음악이 청중이 적극적으로 참여해 함께 부르는 식으로 발전한 것은 큰 변화였다.


한편 그레고리안 성가의 가장 큰 특징은 역시 단선율의 음 위에 성경 속 가사를 얹은 것이었다. 쉽게 말해 하나의 음이 이어지는 노래였다는 것이다. 노래라기보다는 시처럼 들리기도 하는 독특한 형식이다. 하지만 시간이 지나면 좀 더 많은 음이 함께 어우러지는 다선율 음악이 만들어지기 시작한다. 저자는 이런 변화의 대표자로 팔레스트리나라는 작곡가를 꼽는다. 참고로 이 장부터는 주요 작곡가들(바흐, 헨델, 모차르트, 멘델스존)을 중심으로 서술된다. 바흐와 헨델에서 가장 화려하게 빛났던 교회음악은 점차 교회 밖으로 나와 세속화의 길을 걷는다.


책의 마지막 장은 가스펠 음악에 할애되어 있다. 저자는 몇 번이고 “아프로아메리칸”이라는 학술적 용어로 부르는, 그러니까 흑인들의 음악에서 시작된 가스펠은 노예로 끌려온 그들의 역사와 떼어서 생각할 수 없다. 특유의 소울과 브루스 리듬, 독특한 창법 등이 더해지면서 곧 가스펠은 교회음악은 물론 세속 음악계에서도 중요한 자리를 차지하게 된다.





어떤 것의 역사를 공부하는 건 흥미로운 일이다. 고작해야 수십 년을 사는 인간이 절대로 다 경험할 수 없는 수백, 수천 년의 역사를 훑어가는 건 마치 우리의 한계를 극복하는 문을 살짝 열고 한 발을 내딛는 느낌을 준다. 내가 역사를 읽을 때마다 설레는 이유다.


이 책은 교회음악에 관한 오랜 역사를 한눈에 볼 수 있도록 도와준다. 물론 세부적으로 들어가면 좀 전문적인 음악 이론과 관련된 내용이 나와 다 이해하기는 어려웠던 것도 사실이지만, 이런 책을 읽어갈 땐 그런 부분은 과감히 쓱 훑고 지나가면 그만이다. 사실 이 책의 중심은 그런 세부적인 음악 변화보다는 그런 변화들이 어떤 사회적 양상의 변화와 연결되어있는지를 살피는 것에 있으니 말이다.


다른 모든 제도나 문화, 양식들처럼, 교회도 시대적 상황에 맞춰 다양한 옷을 입어왔다. 교회 음악도 마찬가지다. 각각의 시대에 살던 사람들은, 단지 이전 시대의 음악을 반복하기만 한 게 아니라, 자기 시대에 맞는 음악을 새롭게 만들어 냈다. 어떤 이들은 새로운 음악이 경건하지 못하다고 경계하기도 하지만, 그런 식의 반항은 역사의 큰 파도 앞에서 곧 묻혀버린다(하지만 여전히 이런 주장을 하는 사람들은 사라지지 않고 있다).


주제가 주제다 보니 자연스럽게 저자의 신학적 입장도 묻어나올 수밖에 없다. 독일에서 태어나 신학을 공부하고 한때 루터교 목사로도 일했던 저자는, 정확한지는 모르겠지만 계몽주의의 세례를 축복으로 여겼던 초기 자유주의자들에게 우호적인 입장으로 보인다. 물론 이 부분이 전체 역사를 훑어가는 데 큰 지장을 주지는 않지만, 기계적인 중립을 지키거나 모두를 어느 정도 시니컬하게 평론하는 태도가 최선인 것은 아니니까.


교회음악에 관해서 이만큼 정리된 책도 없는 듯하다. 관련 정보를 위해서 한 번 읽어볼 만한 수작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7)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