성도는 우리 가족뿐입니다
김민철 지음 / 죠이북스 / 2023년 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제목만 봐도 어떤 내용일지 짐작이 가는 책이다. 이천의 한 상가 건물 지하에 위치한 교회, 그리고 부임한 지 10년이 되었지만 여전히 아내와 자녀들만 함께 예배하고 있는 상황(물론 중간에 함께 예배했던 분들이 계시긴 했다)이 저자가 묘사하고 있는 현실이다. 목회자로서 참 낙담이 될 수밖에 없는 상황.


책 전반에 걸쳐서 이런 상황을 어떻게 저자가 느끼고, 감당하고, 극복하고 있는지 꾹꾹 눌러쓴 흔적이 보인다. 오래된 상가 지하의 교회가 그렇듯, 여름엔 습하고, 겨울엔 추운 상황, 가끔은 배관에 문제가 생겨 예배실 한 가운데로 물이 흥건하고, 아마도 냄새도 심할 것이다. 그 가운데서도 저자는 예전을 따라 예배를 꿋꿋이 진행해 나간다. 일견 그게 무슨 고집처럼 느껴질 수도 있지만, 애초의 교회의 사이즈라는 것이 어디 정해져 있는 게 아닌 이상, 매주 가족과 함께 예배한다는 것이 크게 이상한 일은 아니지 않은가.


저자 역시 다양한 시도를 해 본 것 같다. 교역자가 바뀌었으니 현수막도 걸어보고, 이런저런 프로그램을 광고하기도 하고, 쓰레기봉투를 나누어주거나 하는 식으로 나름 해볼 수 있는 것들을 해 봤지만, (책에 따르면) 저자가 오기 전 교회의 이미지가 워낙에 좋지 않아서 어쩔 수 없었다는 문장이 자주 보인다. 도대체 어떤 일이 있었기에 그랬을까 궁금해지는 부분. (교회성장학과 관련해 반면사례로서도 좀 조사해 볼 필요가 있을 듯.)





이 모든 상황에도 불구하고 저자가 다른 선택을 하지 않고 계속 현재 자리에서 현재의 상황을 유지하는 이유가 무엇일까. 경제적으로 여유가 있는 게 아닌 상황에서 보통 이런 경우라는 다른 교회 부교역자로 들어가거나(나이 때문에 제한될 수도 있긴 하다), 현재 있는 곳을 정리하고 다른 곳에서 새로운 목회지를 찾아볼 수도 있을 텐데 말이다. (어떤 게 맞고 틀리고의 문제는 아니다)


책 가운데에도 내적 소명과 외적 소명에 관한 이야기가 등장한다. 내적 소명은 내가 이 일로 부름을 받았다는 확신을 가리키고, 외적 소명이란 그 일에 실제로 뛰어들었을 때에 어느 정도 열매가 보일 때를 말한다. 이 기준에 따르면 저자의 (적어도 이천에서의) 목회사역은 외적 소명 부분을 검토해 봐야 할 것 같은데, 저자는 이를 좀 다르게 읽어낸다. 적어도 아직까지 이 사역을 하면서 생계가 이어지고 있으니 좀 더 해도 된다는 사인이 아닐까 하는. 뭐 나 역시 비슷한 생각으로 살고 있으니 뭐라 할 말은 없지만, 나와는 다르게 저자는 가족도 있으니...


사실 어떤 감동이나 그런 것 보다는 염려가 더 많이 드는 독서였다. 왠지 모를 동질감, 그리고 이왕이면 이런 분이 좀 더 잘 됐으면 좋겠다는 격려와 안쓰러움이 복합적인 그런 감정이랄까. N잡까지 하면서도 자신이 지금 하고 있는 일을 계속 하고 싶다면, 그렇게 하는 게 맞다고 본다. 앞서도 말했지만, 교회의 표준 사이즈라는 게 어디 정해져있는 게 아니라면, 이런 교회도 하나 존재하는 게 나쁘지 않을 것 같다.


비록 현재 교인은 없지만, 저자 주변에는 많은 사람들이 있다. 그를 불러서 강사로 세워주시는 선배 목회자들, 그에게 기꺼이 일을 맡겨주신 출판사 사장님, 특히 교회에 물이 샌다는 말을 듣고 함께 와서 수리에 동참해 준 지역의 동료 목회자와 성공회 신부의 이야기는 인상적이었다. 이런저런 인연으로 저자를 만나 함께 성경을 공부하고, 깊은 대화를 했던 여러 사람들도 아마 저자의 사역을 계속 이어갈 수 있게 하는 힘이 되었을 것이다.





전체적으로 에세이에 가까운 책이지만, 그 가운데 날카로운 교계의 현실에 대한 비판도 보인다. 저자가 처음 고흥에 가서 농사를 지으며 교회를 개척하려고 했을 때, 감리교 교단의 지방 조직 내 알력다툼을 원만히 끝낸답시고 양쪽 파벌에서 지지하는 개척인가를 모두 허락하지 않기로 했던 사건이라든지, 재정적으로 여유가 없는 교회들에서 은퇴를 해야 할 목사의 전별금을 후임 목회자가 부담하는 조건으로 목사를 청빙한다던지 하는 것들은 한국 교회 내 고질적인 악습이다.


그리고 저자와도 밀접하게 관계있는 소위 목회자의 이중직 문제다. 저자가 속한 감리교단에서는 2016년 이중직을 금지하되 미자립교회에 한해서는 허락한다는 결론을 냈다고 한다. 애초에 미자립교회의 목사자들을 먹여 살릴 것도 아니면서, 일까지 하면 안 된다고 금지한다는 발상 자체가 어이가 없긴 하지만, 저자는 이런 결정에 대해서도 좀 더 깊은 지적을 한다.


이런 결의는 교단에서 목회자를 책임지지 않겠다는 의미로 느껴진다는 것. 차라리 이중직을 금지하고, 목회자들에게 최저생계비(전부가 아니면 일부라도)를 지급한다던가, 또는 생계에 곤란을 겪는 목회자들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좀 더 적극적인 행정을 하는 대신, 그저 이중직을 풀어 줄 테니 알아서 먹고 살라는 식으로만 느껴졌나 보다(물론 꼭 그런 취지로 개정된 건 아니겠지만).


각 교단에서 운영하는 직영 신학교에서는 한 해에도 수천 명의 졸업생들을 배출하고 있지만(물론 그 가운데는 제대로 된 교육을 안 한 곳도 적지 않을 것이다), 그들의 사역의 진로에 대해서는 별다른 고민을 하지 않는다. 모두 개인이 알아서 해야 할 일이라는 식이다. 가톨릭처럼 그들의 거취를 중앙의 행정에서 조절하는 식이 아니라도, 근본적으로 목회자 수요와 교계 현실에 대한 고민이 필요한 상황인데, 관련 논의가 등장한 지 20년은 훨씬 넘은 것 같은데도 여전히 대안은 없어 보인다. 어어 하다가 0.7 이하로 내려가 버린 출생률처럼, 아마 이 문제도 결국 파국으로 끝나버리진 않을까.



저자의 선택에 완전히 공감이 가지는 않는다. 그러나 저자의 “도전”에 박수를 보내고는 싶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