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섯 밤의 애도 - 고인을 온전히 품고 내 삶으로 돌아가기 위한 자살 사별자들의 여섯 번의 애도 모임
고선규 지음 / 한겨레출판 / 2021년 1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2022년 우리나라에서 한 해 동안 자살로 생을 마감한 사람의 수는 12,906명이다. 그 중 남성이 9,019명, 여성이 3,887명으로, 남성 쪽이 두 배 이상 높다. 인구 10만 명 당 자살자 수를 가리키는 자살률 평균은 24.1명으로, 같은 기간 OECD 평균인 11.1명을 두 배 이상 초과하는 압도적 1위를 마크하고 있다. 2위인 리투아니아는 지난 2017년까지는 우리보다 높았으나, 지속적으로 감소하는 추세여서 2018년 이후로는 우리가 독보적인 1위라고 한다.


10대에서 30대까지의 사망원인 1위가 자살이고, 4, 50대의 경우에는 사망원인 2위에 해당한다. 사고나 질병이 아니라 스스로 목숨을 끊는 사람들의 수가 이렇게 많다는 건, 개인적인 삶의 영역으로 들어가기 이전에 당장 인구 감소가 심각한 상황에서 국가적인 생산력 감소의 큰 위협이기도 하다.


물론 이 문제는 단순히 경쟁력이나 생산력 따위의 숫자로 환산할 수 있는 무엇 이상이다. 때문에 자살자에 관한 다양한 사회적 연구나 관심도 요즘엔 늘어나는 것 같다. 그런데 그 초점이 언제나 자살예방에만 맞춰져 있는 것 같다. 물론 예방은 중요한 일이지만, 일단 벌어지고 난 후에는 금세 또 다른 예방으로 넘어가버린다는 게 문제다. 자살 이후에는 남겨진 가족이나 친구들(자살 사별자)이 있고, 그들의 삶에도 큰 영향을 끼친다는 걸 간과해버리는 것이다.


이 책은 바로 그 자살 사별자들에 관한 내용이다. 심리부검이라는, 사망자가 어떻게 그 상황에 이르게 되었는지 그 심리상태를 사후에 추정해 나가는 분야에서 일해 온 저자가, 실제 자살 사별자 다섯 명과 함께 여섯 번의 자조모임에서 나눴던 대화를 바탕으로, 이들의 회복과정에서 필요한 것들을 천천히 되 집어 본다.




사실 가까운 사람들 중에 자살로 세상을 떠난 사람이 없었기에, 개인적으로 이 문제가 어느 정도로 심각할지 대해서 제대로 생각해 본 적이 없었다. 책을 읽고서야 비로소 이들이 어떤 고통 가운데서 하루하루를 살아가는지 조금이나마 짐작해 볼 수 있었다.


가까운 사람이 죽었을 때 당연히 남겨진 사람들은 큰 충격을 받게 된다. 그런데 자살 사별자의 경우 이들은 그 이상의 죄책감까지 갖곤 한다. 내가 좀 더 신경을 썼더라면 그런 선택을 하지 않았을 지도 모른다는 생각이 그들을 사로잡는 것이다.


책 속에 이런 내용이 있다. 많은 자살 사별자들은 그날, 특정 순간의 이미지, 신체감각, 기억들에 꽤 오랫동안 붙잡혀 산다는 것이다. 이 기억은 자신도 모르는 새 오랫동안 사별자의 삶을 억누른다는 것. 치유되지 않은 상처는 스스로에게, 또 함께 사는 가족들에게도 생채기를 낸다.


그런데 우리는 그들의 마음에 상처와 고통을 더할 때가 있다. 때로는 무신경한 말로, 또 때로는 편견과 아집에 싸인 채로 그들을 대하기 때문이다. 안 그래도 마음에 무거운 돌덩이가 얹혀 있는 사람들에게 자꾸만 그 위에 또 다른 돌탑을 쌓고 있는 것이다.(이 점은 안타깝게도 교회도 마찬가지인 것 같다. 자살 문제에 관련해서 교회에 속한 일부는 확인할 수 없는 자신의 신학적 사유를 가지고 유가족들을 더 괴롭히기만 한다)




앞서의 통계를 다시 생각해 보면, 한 해 13,000명이 자살을 하는 상황에서 가족과 친구, 동료 등을 포함하는 자살 사별자들은 그 몇 배가 매년 생겨날 것이다. 대충 10만 명으로만 잡아도, 10년이면 100만 명의 사별자들이 생겨난다. 우리 사회는 이들을 위한 충분한 배려와 도움을 줄 수 있는 그런 사회일까?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