식물, 국가를 선언하다 - 식물이 쓴 지구의 생명체를 위한 최초의 권리장전
스테파노 만쿠소 지음, 임희연 옮김, 신혜우 감수 / 더숲 / 2023년 3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책 제목이 독특하다. 식물이 국가를 선언하다니, 이젠 어디서 말하고 사고하며, 심지어 조직까지 만들 줄 아는 똑똑한 식물이 태어나기라도 했다는 말인가. 물론 다행히 그런 일이 일어난 건 아니다. 식물이 국가를 선언한다는 말은 일종의 비유적인 표현으로, 식물을 포함한 다양한 생물들이 사는 지구의 생태계 전체를 고려한 새로운 생활 패턴은 어떠해야 하는지를 설명하는 책이다.


사실 책을 읽기 전에는 일각에서 주장하는 “동물권” 운운하는 식의 과도한 감상주의가 담겨 있으면 어쩌나 하는 불안도 살짝 들었다. 동물에 대한 학대를 줄이자는 주장에는 공감하지만, 인권에 대한 정의도 제대로 힘든 마당에 동물의 정치적 권리를 보장해야 한다는 주장은 지나쳐 보이는 게 사실. 하지만 이 책의 경우 “식물(의 정치적)권(리)” 같은 걸 말하는 건 아니다.



저자가 지적하는 건 결국 우리가 살아가는 지구는 인간들만을 위한 공간이 아니라는 점이다. 오히려 그 개체수로만 보면 식물 쪽이 훨씬 더 많다. 또, 지구의 환경을 지금처럼 유지하는 데에도 식물이 가장 큰 공헌을 하기도 한다. 태양으로부터 오는 에너지를 사용할 수 있는 형태로 바꾸는 것은 오롯이 식물이 하는 일이니까. 하지만 우린 지구의 운명을 결정하는 데 그런 식물은 별로 고려의 대상으로 삼지 않는다. 일리가 있는 말이다.


또, 책은 환경을 파괴하는 다양한 행위들에 대한 경계를 담고 있다. 그리고 동물적 방식보다 식물적 방식(예컨대 비중앙집중적인 네트워크 형태, 지속 가능한 자원의 소비 등)이 생태에 좀 더 적합하다는 내용도 보이고. 이런 내용을 읽다 보면 옳지, 옳지 하는 생각이 들긴 하는데, 그래서 현대인들이 과연 현재의 편리함을 포기할 수 있을까 하는 의문이 들기도 하고, 그래서 식물적 삶의 방식으로 살아가면 모두가 정말 행복해 질까 하는 의심도 든다.





식물에 관한 책이지만 생각보다 다양한 영역의 이야기가 등장한다. 개중에서 가장 인상적이었던 건 오히려 천문학과 관련된 내용이었는데, 우주에 지적 생명체가 존재할 가능성을 묻는 “페르미의 질문”에서 저자는 우주에 생명체가 흔할 것이라는 생각은 우리 행성을 과소평가한 것이라고 대답한다. 지구가 이토록 멋진 환경을 갖고 있기에, 이 정도는 어디든 가능할 거라고 지레짐작하는 것일 뿐이라는 지적.


언제부턴가 지구에서 쓸 만한 게 다 사라지면, 혹은 지구가 살기 힘들 정도로 망가지면, 지구 밖 다른 행성을 찾아 이주를 하면 될 거라는 생각이 널리 퍼져 있는 것 같다. 생각해 보면 굉장히 편한 기대다. 여기에 필요한 기술적 문제도 문제지만, 인류가 그렇게 지구를 가볍게 떠날 수 있을까. 이곳을 망쳐놓은 것도 인간인데, 그걸 교정할 생각을 못하고 또 다른 곳으로 간다면 그곳 또한 망가지기만 하지는 않을까.(전 우주적인 민폐족이 될지도...)



사실 이 책의 특징은 책의 구성 형태다. 책 제목이 국가를 선포한다는 내용이고, 내용은 여기에 맞는 일종의 헌법과 비슷한 권리장전을 선언한다는 식으로 꾸며져 있다. 1조는 “지구는 생명체의 공동주택으로 모든 생물이 그 주권을 가진다”라는 내용이고, 나머지도 비슷한 식으로 구성되어 있다. 각 조문은 책의 각 장의 내용으로 이어지는 식.


자연과 환경보호 등을 다룬 책 치고는 수월하게 읽힌다. 나름의 위트도(이 책의 구성 형태 자체가 그렇다) 담아내려고 하고 있고. 다만 수준 높은 위트는 그걸 알아듣는 사람에게 필요한 걸 텐데 얼마나 (특히나 여기 나온 이야기들을 들어야 할 사람들 중에서) 알아들을까 싶은.(아.. 사람이 점점 비관적이 되어 간다. 하지만 환경 문제에 대해선 그럴 수밖에..)


댓글(0) 먼댓글(0) 좋아요(9)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