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교회탐구센터에서 나온 기획물을 몇 번째 읽어본 것 같다. 그리고 읽을 때 늘 드는 생각은 노력이 눈으로 보이는 괜찮은 기획이라는 것이다. 우선은 한국교회에서 잘 하지 못하는, 아니 하지 않는 통계적 조사를 충실히 시도하고 있다는 점이고, 그 결과를 가지고 단지 몇몇 사람들의 감이 아니라 사회학적 결론을 내려고 있다.
이런 종류의 자료들은 그 자체로 무엇인가를 말한다기 보다는, 그 자료를 가지고 어떤 식으로 계획을 세우고 실행할 지가 중요하다. 물론 여기에 나온 조사 결과가 우리가 익히 알고 있는 것과 아주 다른 내용이었던 건 아니지만, 그래도 이렇게 객관성을 어느 정도 가지고 있는 조사의 결과를 보는 건 좀 다른 느낌이니까.
몇 가지 통계가 눈에 들어온다. 교회 출석 전 다른 종교 활동에 참여한 적이 있다고 대답한 결과가 30%를 겨우 넘길 정도였다는 것(종교 탐색 후 기독교를 선택한 게 아니라는 말이다)과 신앙을 갖게 된 주요 이유로 삶에 생긴 여러 가지 문제들을 꼽은 인원이 거의 90%에 달한다는 점이다. 또, 주요 전도자로서 가족이나 친척이 30%, 이웃이 10%, 직장동료가 8%로 “아는 사람”이 하는 거의 절반에 달했는데, 흔히 교회에서 하는 노방전도나 지하철을 오고가며 주문을 외우는 식의 전도가 효과가 그리 없다는 걸 보여주는 게 아닌가 싶다.
그리 두껍지도, 어렵지도 않은 내용이다. 목회를 하고 있다면 한 번쯤 참고삼아 볼 만한 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