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신의 연대기 - 지워진 믿음의 기록
이창익 지음 / 테오리아 / 2021년 1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표지 디자인이 재미있다. 새롭게 만든 건 아니고, 조선시대 민간에서 흔히 사용하던 일종의 부적 표상과도 같다고 한다. 세 마리의 물고기가 머리를 가운데로 모아 하나의 머리를 만들고, 거기에 눈이 하나가 있다. 아니, 정확히 말하면 몸이 세 개인 하나의 물고기, 일목삼신어(一目三身魚)다. 주로 눈에 뭔가 병이 생겼을 때 치유를 기원하며 만들어 붙였다고 한다. 물고기의 하나뿐인 눈에 못을 박아두고는, 내 눈의 병을 낫게 해주면 못을 빼주겠다고 위협하는 문구와 함께.



이 책은 20세기 초 우리나라(조선, 일제강점기, 대한민국)에서 유행했던 다양한 미신들을 신문이나 공식 기록물 등을 참고해 나름 정리해 준 책이다. 책에 소개되는 미신들의 수준이 꽤나 다이내믹하고 버라이어티하다. 오랫동안 비가 오지 않을 때, 동네 여성들이 나서 근처 산의 신성한 곳을 향해 오줌을 싸거나, 신성한 구역에 묻힌 시신을 파내버리는 건 오히려 약과였다.


별다른 치료법이 없었던 나병에 걸린 사람들이 아이들을 비롯한 다른 사람들의 신체를 먹었다는 신문 기사는 수없이 등장하고, 몇몇 지역에서는 전염병에 걸려 죽은 아이의 시신을 땅에 묻지 않고(그러면 땅이 더럽혀진다는 미신) 줄에 매어 공중에 달아놓는 풍장이 유행하기도 했다. 우리 조상들은 얼마나 하드코어한 삶을 살았던 건지.


책의 후반 두 개 장은 당시 전국적으로 유행하던 신흥종교들을 다룬다. 수십 명의 여성을 첩으로 삼고, 교인들이 바친 돈으로 주지육림에 빠져 살았던 대표적인 사이비종교 백백교의 교주 이야기(아, 요즘도 비슷한 광인이 만든 사이비가 있지 않나)와 그 자식들과 제자들이 만든 분파들의 이야기를 쭉 따라가고 있으면 어질어질하다.





단순히 다양한 기사들을 항목에 따라 배열해 놓았을 뿐이지만, 책은 거기에서 그치지 않는다. 왜 그런 미신들이 당시 유행했는지에 대해 나름 합리적인 추론을 해 보려고 애쓴다. 사람의 손가락을 잘라 먹고, 간과 쓸개를 빼 먹는 나병 환자들의 모습에서는 그 만큼 병이 주는 절망감이 컸음(87-88)을 읽어내고, 시신을 공중애 매달아 두는 풍장은 전염병의 급속한 확산으로 채 제대로 된 장례를 치를 수 없었던 상황(178-179)을 보는 식이다.


또, 당시 유행하던 다양한 신흥 종교에 대한 탄압에서는, ‘조선적인 종교’의 탄생을 저지하려는 정치적인 계산이 있었을 것이라고도 추론(34)한다. 일견 나름 일리가 있는 추정들이다. 사람이 사람의 신체를 먹고(사실 이건 다른 맥락에서는 극진한 효의 상징으로 여겨지기도 했다), 정신병을 치료하겠다면서 죽을 때까지 복숭아나무로 만든 도구로 때리고 하는 짓을 아무 이유 없이 한 거라고 넘어가기는 쉽지 않으니까.


하지만 그렇게 뭔가 이유가 있겠거니 하고 합리화하고 넘어가기엔 확실히 여기 소개된 사건들이 충격적이고 엽기적이다. 일제강점기였던 당시 일제당국에서 한 분석, 그러니까 당시 조선 민중의 비과학적이고 충분히 비판적이지 못한 사고에 기인한 것이므로, 서둘러 개화를 시켜야 한다는 주장도 쉽게 부정하기가 어렵다.


그러나 당시 사람들의 판단을 오늘날의 잣대로만 평가하는 건 확실히 조심해야 할 부분이다. 오늘 우리의 판단에, 오늘날의 상식과 과학의 대답이 전제되어 있고, 그것에 충실한 사고의 결과가 도출되었다면, 과거에도 그건 마찬가지였을 테니까. 물론 그래도 인육은 좀...



조금은 선정적으로 느껴질 수도 있는 내용들이 많지만, 기본적으로 당시의 역사 자료를 잘 정리해 둔 책이다. 좋은 자료로 사용될 수 있을 듯.


댓글(0) 먼댓글(0) 좋아요(7)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