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녀의 눈동자 1939 내인생의책 푸른봄 문학 (돌멩이 문고) 1
한 놀란 지음, 하정희 옮김 / 내인생의책 / 2007년 1월
평점 :
절판


우리는 이미 너무나도 많은 것을 뺏겼지만,
우리 내부에 있는 것은 우리가 내주지 않는 한,
우리가 포기하지 않는 한,
절대 그들이 뺏어갈 수 없다.

 

 

 

 줄거리 。。。。。。。                                                  

 

        우리나라로 치면 ‘전사모(전두환을 사랑하는 모임)’쯤 될까? 독일에도 비슷한 단체가 있다. ‘신 나치주의(Neo-Nazism)’가 그것이다. 히틀러의 나치정권을 찬양하고, 그 신조를 오늘날에 다시 되살리려는 시대착오적 집단. 유럽이나 미국 쪽에서는 실제로 유대인들이나 유색인종에 대한 린치, 방화를 비롯한 각종 범죄를 저지르기도 한다니, 어지간히 정신에 문제가 있는 놈들이다.

 

 

        이 소설의 주인공인 힐러리는 바로 그런 신 나치주의 집단에 얼마 전 가입한 소녀다. 사실 뭐 투철한 계급의식이나 사회에 대한 문제의식 때문에 들어간 건 아니었다. 어머니에 대한 반항감으로 인해 밖으로만 돌다가, 브래드라는 역시 약간 불량기 있는 철없는 남자를 만나 빠졌고, 그로 인해 가입하게 된 것이다. 오토바이 뒤에 타고 도로를 질주하는데서 자유를 느끼고, 브래드와 함께 일탈행위를 하는데서 기쁨을 얻게 된 힐러리. 어느날 일어난 오토바이 사고는 힐러리를 의식불명의 상태로 이끈다.

 

        그렇게 병원에 입원하게 된 힐러리. 자신의 의식은 분명히 있지만, 사람들은 그녀의 의식이 깨어있다는 것을 알지 못하게 된다. 그리고 그런 상태에서 힐러리는 알 수 없는 꿈에 계속 빠져든다. 꿈 속에서 힐러리는 샤나라는 이름의 폴란드 계 유대인 소녀로 변한다. 시대는 제 2차 세계대전 당시. 단지 유대인이라는 이유만으로 샤나와 그의 가족은 갖은 고통과 핍박을 받게 되고, 자신이 이유 없이 증오하던 유대인이 된 힐러리는 이 경험을 통해 많은 것을 깨닫는다.


 

 

 감상평 。。。。。。。                                                 

        알라딘 서평단에 신청했던 것이 당첨되어서 무료로 받게 된 책이다. 아싸.


 

        제 2차 세계대전 당시 나치의 유대인 대학살(홀로코스트)을 배경으로 한 유대인들의 고통이라는 주제를 다루고 있다는 점에서, 전에 읽었던 임레 케르테스의 『운명』이라는 책과 매우 유사하다는 느낌을 받았다. 다른 점은 주인공의 성별쯤?

 

        물론 두 책에서 좀 더 다른 점도 있었다. 『운명』에서 주인공은 고통이라는 상황 자체가 가져다주는 정화(淨化)라는 주제를 심도 있게 살피고 있는 반면, 『소녀의 눈동자』의 주인공에게 고통은 고통일 뿐이다. 그것은 무의미한 것이고 거기서 어떤 의미를 찾으려는 것은 말 그대로 불필요한 것에 불과하다.(p. 260) 이 책은 인간이 다른 인간에게 부여하는 근거 없는 폭력과 강제를 통해, 반어적으로 인간의 숭고한 가치를 강조하는 듯 하다.


 

 

        이런 주제를 효과적으로 드러내기 위해 저자는 샤나의 경험을 매우 실감나게 그리고 있다. 만약 내가 『운명』을 읽지 않고 이 책을 봤다면 이 책의 이런 부분에 높은 점수를 주었겠지만, 사실 상황에 대한 묘사만 보자면 크게 다를 바가 없었다. 오히려 『운명』이 좀 더 깊은 사색과 고민을 담고 있다. 하지만 그래도 이 책에 담긴 실감나는 묘사는 나치의 반인륜적인 만행을 널리 알리는데 효과적일 수 있다.


 

 

        아쉬운 것은 이 책의 구성이다. 저자는 힐러리와 샤나라는 두 인물의 교차를 통해 무엇인가 효과를 기대했던 것으로 보이지만, 사실 이 둘 사이의 유사점이란 소녀라는 점만 빼면 거의 없다. 물론 힐러리가 유대인 소년 하나를 괴롭히고, 꿈 속의 샤나가 유대인이 되었다는 점도 유사점이라고 할 수는 있지만, 단지 그것뿐, 내용상의 연결점은 별로 없다. 힐러리와 샤나의 상황 역시 매우 다르다. 힐러리의 문제는 어머니와의 의사소통의 부재이고, 샤나의 문제는 나치에 의한 이유 없는 고난이다. 굳이 이런 구성을 사용해야만 하는 이유가 무엇인지...

 

        또 하나, 책의 곳곳에 적어 둔 성경 구절들은 내용 전개에 그다지 녹아들어가지 못하고 있는 듯한 느낌이다. 굳이 그런 식의 인용을 할 필요가 있었을까? 각 구절들의 정확한 의미에 대한 설명도 없이 다짜고짜 들이미는 것은 구성상 좋은 방법은 아닌 듯 싶다.


 

 

        주제나 묘사는 좋지만, 구성이 아쉬운 작품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