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기 들어오는 자, 모든 희망을 버려라 - 세계 역사를 바꾼 스탈린그라드 전투 590일의 기록 서해역사책방 7
안토니 비버 지음, 안종설 옮김 / 서해문집 / 2004년 6월
평점 :
절판


전쟁의 본성은 원시적이면서도 동시에 고도로 복잡한 두 가지 감정을 만들어 냈다.
민간인을 처형하라는 명령을 받고 머뭇거리는 병사들이 전혀 없었던 것은 아니지만,
그들에 대한 동정심은 왜 여자와 어린애들이 전투 지역에 얼씬거리느냐는 식의
비논리적인 분노로 변질되어 버렸다.

 

  요약 。。。。。。                                                

         상당히 의미심장한 책 제목이다. ‘여기’가 어디길래 ‘모든 희망을 버려야’ 한다는 말인가. 이 책은 제 2차 세계대전 당시 독일과 소련 사이에 벌어졌던 전쟁을 소재로 하고 있다. 특히 그 중에서도 스탈린그라드라는 도시에서 벌어진 양 군의 치열했던 전투가 중심 내용이다.

 


        사전에 최후통첩도 없이 갑자기 소련을 공격한 독일의 히틀러. 비록 극비리에 진행되기는 했으나, 대규모 병력의 이동과 재배치 움직임은 이미 소련의 정보기관에 입수되었다. 그러나 히틀러와 마찬가지로 자신만의 세계에 빠져서 자신의 판단만이 올바르다고 생각하는 소련의 독재자 스탈린은 이러한 모든 징후들은 무시해버린다.

 

        이 오판에 따른 결과는 너무나 참혹했다. 이후 수 백 만 명의 소련군인들이 죽었고, 천만에 달하는 민간인들의 희생도 결코 가볍지 않은 것이다. 히틀러도 마찬가지다. 초반에는 강력한 기세로 소련 땅 곳곳을 밀고 들어갔지만, 곧 닥쳐온 영하 수 십도를 가볍게 넘어버리는 추위와 모든 상황을 혼자서 통제할 수 있고, 그래야 한다고 생각한 히틀러의 과대망상은 상황을 더욱 악화 시킨다.

 

 

        파죽지세로 스탈린그라드까지 이른 독일군. 그리고 엄청난 민간인들과 군인들의 희생에도 불구하고 자신의 이름을 딴 도시를 끝까지 사수하라는 명령을 내린 스탈린. 전투의 초중반은 독일군의 우세로 진행되었지만, 엄청난 영토와 인구에서 나오는 소련군의 기적적인 생산력은 ‘천왕성 작전’이라는 거대한 반격, 포위 작전을 성공케 한다. 그리고 다시 여기에 이어지는 엄청난 독일군의 피해.

 

       직접 전장에는 한 번도 나와 보지 않은 채, 탁상공론이나 일삼으며 자신의 생각만이 옳다고 생각하는 두 명의 고집스러우면서 능력까지 없는 독재자들로 인해, 스탈린그라드에서는 얼마나 많은 사람들이 희생되었는가.

        

 

 

  감상평 。。。。。。                                             

 

        오랜만에 읽은 두꺼운 역사관련 책이다. 저자는 마치 현장을 따라다니는 종군기자처럼, 시시각각으로 변하는 전황을 보고하고 있다. 물론 이런 글쓰기 방식은 600페이지에 달하는 이 책의 분량을 생각할 때 자칫 지루하게 느껴질 수도 있지만, 수 백 만의 병사들과 그보다 몇 배나 많은 민간인들의 피해가 생생하게 실려 있기에 매 페이지를 안타까움과 이러한 상황을 초래한 독재자들에 대한 분노를 안고 읽게 된다.

 


        스탈린그라드라는, 어찌 보면 별 전략적 가치도 없는 거점 하나를 두고, 양국의 두 독재자가 마치 자존심 싸움을 하듯 엄청난 수의 인명과 물자를 물 쓰듯 투입하는 모습은 그 자체가 독제정체의 비효율과 후진성을 잘 드러내 주는 예라고 할 수 있다. (전쟁 자체의 정당성을 잠시 뒤로 미뤄두고 생각하자면) 일선의 담당자들의 모든 의견을 묵살하고 자신만의 의견을 강요하는 독재의 전형이다. 두 명 모두 전쟁에 관한 어떠한 책임도지지 않았고, 도리어 자신의 논리만을 되풀이하며 정당화하는 궤변만을 늘어놓지 않았는가.


 

        이 책에서 잘 드러나는 부분 중 하나는, 이러한 지도자들의 무능력함에도 불구하고 맡은 임무를 성실히 수행하는 일선의 병사들의 모습이다. 자국군이 전멸될 것을 뻔히 알면서도 정략적 목적을 위해 이를 외면해버리는 비열한 히틀러와, 자신은 뒷전에 앉아 끊임없이 오판을 하면서도 자신의 개인 비밀경찰들을 동원해 사람들을 맹목적인 희생으로 몰아넣는 스탈린의 모습이 강조되면 강조될수록 말이다.


 

        책에 등장하는 전쟁의 참혹한 모습은 나를 더욱 강한 반전론자로 만들어 주었다. 과연 수많은 사람의 인격과 생명까지 희생하며 지켜야할 정치체제가 이 세상에 있는가? 국가가 사람보다 우선이라는 극단적 생각을 하는 사람들치고, 직접 자신의 목숨을 바쳐 일하는 사람이 적은 것을 보면 정말로 중요한 게 뭔지는 자명하지 않은가. 초점은 사람에게 있지 다른 것에 있는 것이 아니다.


 

        약간 두꺼운 점만 감내할 수 있다면, 2차 세계대전의 한 부분을 읽어내는 데 좋은 책.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