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격
아멜리 노통브 지음, 김민정 옮김 / 열린책들 / 2005년 7월
평점 :
구판절판


 그것만 기분 나쁜 게 아냐.

더 싫은 건 아름다움을 규격화하려는 그 권위적인 자세라고.

아름다운이란 게 사람에 따라 달리 보이지 않는다면 무슨 가치가 있겠어.

 

 

  줄거리 。。。。。。。                                                 


        누구도 가까이 가고 싶어 하지 않을 정도로 못생긴 주인공 에피판. 그런 그의 앞에 어느 날 천사 같은 그녀 에텔이 나타났다. 예술영화에 출연할 추남 배우를 모집한다는 광고를 보고 찾아 간 영화제작소에서 대번에 거절을 당한 에피판은(너무 못생겨서란다..;;), 집요하게 물고 늘어지다가 도리어 관계자들로부터 봉변까지 당하고 만다. 비참한 마음에 피까지 흘리고 있는 그에게 다가와 친절을 베풀어 준 사람이 에텔이었다. 너무나 사람 좋은 성격에, 자신의 외모 따위는 전혀 고려하지 않는 듯한 모습을 보여주는 에텔에게, 에피판은 단숨에 빠져버린다.


 

        미녀와 그를 사랑하는 추남. 어디서 많이 본 설정이다. ‘노트르담의 꼽추’. 이야기 속의 에피판의 별명 중 하나도 바로 콰지모도다. 하지만 에피판은 스스로를 콰지모도의 운명과 동일시하기를 거부한다. 자신과 에텔은 동화 속 미녀와 야수와는 다른 관계라고 스스로에게 끊임없이 되뇐다. 어린 시절부터 성적인 억눌림 속에서 자라왔던 그는 무의식적으로 일반적인 이야기 속의 성적인 결합으로 끝나는 해피엔딩에 대한 거부감을 가지고 있다.


 

        이야기가 계속되면서 에피판은 놀라운 사기극을 꾸민다. 추남 모델이 되기로 한 것. 아름다운 것들로만 온통 도배가 된 무대에 식상해하고 있는 사람들에게, 추남이 등장함으로써 신선한 자극을 줄 수 있고, 또 그로 인해 모델들이 더욱 돋보일 수 있다는 명목이다. 용케 이 제안이 받아들여졌고 그는 놀라운 성공을 거두게 된다. 심지어 미인대회의 심사위원이 될 정도로.


 

        자, 이제 엄청난 성공과 명예를 얻게 된 에피판. 그와 에텔의 관계는 이제 어떤 식으로 발전이 될 수 있을까? 어느 날 에텔이 사랑하는 사람이 생겼다며 그에게 도움을 요청하면서 이야기는 미궁으로 빠져든다.

 


  감상평 。。。。。。。                                                 

 

        아멜리 노통브의 소설. 그것만으로도 뭔가 기대감을 가지고 끝까지 읽어나가도록 하는 힘이 있다.

 

 

        이 소설에서 저자는 추남을 주인공으로 등장시킨다. 그리고 이 추남의 생각과 말을 통해 이 시대에 만연한 외모지상주의, 물신숭배사상, 각종 위선과 자기기만을 있는 그대로 폭로한다. 굳이 이 이야기의 주인공이 말 그대로 일그러진 사내여야만 하는 이유가 여기에 있다. 그는 이 시대의 속물근성을 온몸으로 체험할 수 있는 인물이기 때문이다. 그는 모든 사람들로부터 천대와 무시를 받았지만, 한 번 그의 명성이 높아지자 모든 사람이 그에게 관심을 보이고 찬사를 바친다. 이보다 더 확실한 고발이 또 있을까?

 

       하지만 더 큰 고발은 마지막에 있다. 그토록 세상을 경멸하며, 자기의 ‘숭고한’ 이상을 위해 살 것처럼 보였던 에피판 자신도, 결국 그런 세상과 그다지 다를 바가 없는 인간이었음이 드러나기 때문이다. 에텔의 말처럼 에피판 역시 그저 예쁘게 생겼기 때문에 에텔을 사랑하는 인물에 불과했다. 저자는 마지막에 주인공을 던져버림으로써 애초에 목적했던 바를 너무나 분명하게 그려내고 있다.


 

        오늘날 시대사조의 위선과 자기기만에 대한 저자의 고발은 매우 통쾌하지만, 그러기에 책을 덮고 세상을 바라보면서는 왠지 모를 씁쓸함이 더 묻어나온다. 같은 저자의 이전작, ‘적의 화장법’과 비교될만한 소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