배고픔의 자서전
아멜리 노통브 지음, 전미연 옮김 / 열린책들 / 2006년 5월
평점 :
구판절판


배고픔, 나는 이것을 존재 전체의 끔찍한 결핍, 옥죄는 공허함이라 생각한다.


 

 요약 。。。。。。。                                                  

 

        유명한 아멜리 노통브의 자전적 소설의 완결판인 듯 하다. 이전에 읽었던 ‘이토록 아름다운 세살’이 그의 세살 이전의 유아기를 다루고 있고, ‘사랑의 파괴’에서는 유년기의 이야기를 그렸다면(그리고 아직 읽지 않은 ‘두려움과 떨림’이 나머지 기간을 그렸다고 한다), 이 책 ‘배고픔의 자서전’은 작가 자신의 이전 모든 책들을 종합한 유소년 시기에 대한 종합적 그림이라고 부를 수 있으리라.

 

        벨기에 외교관의 딸로, 일본에서 태어나 세 살까지 지내다가 중국으로 이주, 다시 뉴욕과 방글라데시, 동남아의 여러 나라들을 거치면서 자아를 형성했던 저자의 독특한 이력이 이 책을 통해 잘 나타나고 있다.


 

 

        이 책의 특징은 단순히 자신의 과거 이야기를 나열하는 것으로 그치지 않는다는 점이다. 이미 전작인 ‘이토록 아름다운 세 살’에서는 어린아이 특유의 자기중심적 사고를 키워드로 해 사물을 분석해냈고, ‘사랑의 파괴’에서는 이데올로기라는 문제를 유년기 아이의 눈으로 그려냈다면, 이번 작품에서는 ‘배고픔’이라는 주제로 이야기를 풀어나간다.

 

        저자가 생각하는 ‘배고픔’은 단순히 위장이 비었음을 알려주는 신호가 아니다. 저자는 존재 자체가 보여주는 근원적인 ‘결핍’을 배고픔이라는 말로 그려낸다. 이 작품에서 어린 아멜리는 사랑에 배고파하고, 점차 뒤로 사라져가는 어린시절을 안타까워한다. 원하는 것을 얻지 못하는 ‘배고픔’을 채우기 위해 책을 읽고, 더 많은 사고를 하며 생각의 깊이를 키워나가는 주인공. 이제는 저자의 글쓰기 스타일에 빠지게 되어버렸다.


 

 

 감상평 。。。。。。。                                             

 

        언제부턴가 그 이름만으로 책을 펼치게 만드는 몇 명의 작가들이 생겼다. 이 책의 저자 아멜리 노통브도 그런 사람들 중 한 명이다. 어린 시절 경험했던 많은 여행들은 역시 사람의 생각의 지평을 많이 넓혀주는 듯 하다. 외교관 아버지를 둔 것이 작가로서의 저자의 정체성을 형성해 나가는 데는 매우 큰 영향을  준 부분인 듯.(내 경우는 아쉽게도 그다지 많은 경험이 없는 부분이다.)

 


        책에 등장하는 여러 나라들의 모습을 인상적인 단상의 형태로 그려내는 능력은 어린 시절 형성된 것일까? 나도 배우고 싶은 능력이다. 깊은 사색이 담긴 한 문장. 나도 당장 여행이라도 떠나야 하는 건가. ㅡㅡ;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