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림으로 보는 시간의 역사 까치글방 142
스티븐 호킹 지음 / 까치 / 1998년 5월
평점 :
구판절판


오늘에 이르기까지 대다수의 과학자들은

우주가 무엇인가를 기술하는 새로운 이론을 개발하는 데에 너무 집착한 나머지

우주가 왜 존재하는가라는 물음은 제기할 수 없었다.



 

 

  요약 。。。。。。。                                                  

 

        여기저기서 아인슈타인 이래로 최고의 수재라고 부르는 스티븐 호킹 박사의 유명한 책이다. 일반인들에게는 루게릭 병에 걸려 온 몸이 뒤틀려진 채로 전자 휠체어에 앉아 힘겨운 말로 강연을 하는 모습으로 더 깊게 각인되어 있는 인물이다.

 

        이 책은 물리학 책이다. 저자는 기초적인 물리학 법칙들에 관한 설명으로 시작해, 점차 그 범위를 우주의 지평까지 넓힌다. 특별히 저자를 일약 스타덤에 오르도록 만들어준 블랙홀에 관한 설명을 한 뒤, 자연스럽게 우주의 기원을 설명하기 위한 노력, 최종적으로는 전 우주의 움직임을 모두 포괄할 수 있는 대통일 이론에 관한 가능성을 간략하게 타진하는 데까지 잇는다.



 

  감상평 。。。。。。。                                              

 

        책 제목 앞에 붙은 ‘그림으로 보는’이라는 말 때문에 책의 내용이 원래의 책보다는 평이하다거나 좀 더 간단해졌다는 생각을 하는 것은 오산이다. 이 책은 호킹의 ‘시간의 역사’에 나오는 여러 이론들을 이해하는데 도움을 주기 위해 몇몇 그림을 덧붙이고, 사진을 추가한 책이었다.(결과적으로 내용이 달라진 것은 거의 없어 보인다.;;)


 

 

        책의 말미에 저자도 언급했듯, 최근에 들어서 과학 기술의 발달은 일반인들로서는 도저히 따라가지 못할 정도로 앞서 나가고 있다.(물론 이 ‘앞서’ 나간다는 말에는 ‘가치판단’이 전혀 개입되어 있지 않다.) 때문에 나와 같은 ‘보통’ 사람은 이 책에 등장하는 각종 이론들을 정확히 이해하는데 무척이나 애를 먹을 수밖에 없었다.(솔직히 그렇게 하고도 모두 이해하지는 못했다.) 따라서 책을 읽은 지 얼마 되지 않아 이내 전략을 이 책을 모두 이해하는 데서, 책이 말하는 큰 그림을 개략적으로 습득하는 것으로 바꿔야만 했다.


 

 

        저자는 온 우주를 설명하고자 하는 대통일이론을 꿈꾼다. 물리학자가 자신의 전공과 연관해 가질 수 있는 가장 큰 꿈이 아닐까 싶은 부분이다. 하지만 저자는 순수하게 물질적 이론만으로 이 작업이 가능하다고 생각한다. 과연 그럴까. 사실상 어떤 부분에서는 ‘인류원리’와 같은 전혀 필연적이지 않은 가설이 한 역할을 하고 있는 것 ‘엄밀성’에 있어서 문제가 있는 게 아닐까.

 

        마지막 부분만 보자면 저자는 언뜻 최후의 단계까지 도달하게 되면 철학과의 재 만남까지 가능할 것이라고 생각하는 듯하지만, 실상은 물리학이 만들어 놓은 토대와 틀 안에서만 제한적으로 기능할 철학을 상정하고 있다. 철학에게서 사고의 자유를 빼앗고 수족관 안에서 뛰어 놀라는 식의 이야기가 아닐까.


 

 

        물리학이라는 학문에 관해 약간의 흥미를 느끼도록 만들어 준 책이다. 저자가 거의 완전히 유물론에 경도되어 있는 듯하다는 점이 약간 아쉽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9)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