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image.aladin.co.kr/product/1260/20/cover150/8960901113_1.jpg)
영등포구 당산동에 가면 서민 씨의 생가가 있다.
평범하다면 평범한 그 공간이 서민 씨네 네 식구가 살았던 곳이다.
여러 권의 영양가없던 책만 쓰던 서민 씨가 각광을 받은 건 2011년 가을에 출간한 <현대기생충백서> 덕분이었다. 출판사 대표 메피스토의 말이다.
"처음 읽을 때부터 물건이다 싶었습니다. 뭐랄까, 우리로 하여금 기생충이 되고 싶다는 마음이 들게 했거든요. 제가 원래 선인세 같은 건 잘 안주는데, 그 책을 보자마자 선뜻 1천만원을 건네 줬습니다."
전 세계적으로 2천만부 가량이 팔린 그 책은 서민 씨를 국제적 스타로 만들었다.
"기생충에 대해 일반인들에게 알려주고 싶었어요." 서민 씨는 그 책이 대단한 아이디어의 산물은 아니었다고 말한다.
"교양과목 때 학생들한테 가르쳤던 내용을 옮겼을 뿐이어요. 근데 그게 그렇게 잘팔릴 줄은 몰랐어요. 그 덕분에 이십년이 넘도록 전세금을 팍팍 올려주면서 살 수 있었죠."
![](http://image.aladin.co.kr/Community/paper/2011/0814/pimg_747250153689048.jpg)
서민씨가 주로 쓰던 컴퓨터도 역시 평범했다.
"중고로 샀어요. 12만원인가 주고요. 인터넷이 잘되면 글을 쓰는 데 집중하지 못할 것 같아서 일부로 사양을 낮게 잡았어요. 물론 모니터는 좋은 거지만요."
서민 씨는 이 컴퓨터로 하루 2시간씩 꼬박꼬박 글을 썼다.
"술을 마시고 온 날엔 그 다음날에 4시간을 썼어요. 언젠가는 일주일 내내 술을 마셔, 일요일에 14시간을 쓴 적도 있어요."
![](http://image.aladin.co.kr/Community/paper/2011/0814/pimg_747250153689050.jpg)
서민 씨의 방에서 눈에 띄는 건 모자 컬렉션이다. 메이저리그 야구팀의 모자만 100개에 달하고, 매일매일 모자를 바꿔 썼다고 한다.
"그냥 젊게 보이려고 쓴 거예요. 그 덕분에 예쁜 아내를 만났죠 하하."
서민 씨의 아내는 책을 안쓰고 농땡이만 피우던 서민 씨를 채찍으로 때려가며 책을 쓰게 한 걸로 유명하다. 방에 가둬둔 채 하루 분량을 다 쓸 때까지 풀어주지 않을 정도였다.
"책은 안쓰고 어찌나 요리조리 빠져나가는지, 가만 놔두면 안되겠더라고요. 그래서 옥션에 들어가 채찍 두벌을 구입했죠."
아내의 엄지손가락에 굳은 살이 박힌 걸 보면 채찍질을 얼마나 했을지 짐작이 간다.
![](http://image.aladin.co.kr/Community/paper/2011/0814/pimg_747250153689051.jpg)
서민 씨는 글이 안써질 때면 이 슬리퍼를 신고 산책을 했다.
![](http://image.aladin.co.kr/Community/paper/2011/0814/pimg_747250153689052.jpg)
서민 씨 방에 놓인 책장. 책이 생각보다 적은 건 살던 아파트에서 도서관을 만든다고 책 기증을 부탁해서였다.
"그때 한 500권 이상 기증했죠 아마? 다른 분들도 제법 책을 기증한 걸로 알고 있어요. 근데 그로부터 십년이 지난 지금까지도 도서관이 지어지지 않은 걸 보면 아무래도 제가 속은 거 같아요."
![](http://image.aladin.co.kr/Community/paper/2011/0814/pimg_747250153689053.jpg)
서민 씨가 글을 쓸 때마다 입었던 반바지. 이 바지를 입어야 글이 잘 써졌다고 한다.
이름처럼 서민적인 풍모, 재벌2세이면서도 소박한 삶을 살았던 서민 씨는 현재 군포에서 테니스장을 운영하며 살고 있다. 그때의 선풍기는 지금도 돌아가고 있을 거다. 힘차게.
![](http://image.aladin.co.kr/Community/paper/2011/0814/pimg_747250153689054.jp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