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도이폐한 책

 

능력이 되지도 않으면서 멋모르고 읽다가 더 이상은 읽을 수 없었던 책이 있다. 어느 시점부터는 이해를 동반한 진도를 나갈 수 없던 책, 바로 「리만가설」이다. 저자는 일반인들이 이해하기 좋도록 겁나 쉽게 쓰려고 노력했다고 밝히고 있다. 그 말을 믿었나...나는 진짜로 그렇게 믿었다. 그런데 막상 책을 펴보니 내게는 완전 어려웠다. 처음에는 읽어가기가 쉽도록 달콤하게 잘도 썼다.. 소수를 최초로 떠올린 가우스의 가족관계는 물론, 소심했던 그의 성격까지 소개한다. 남의 사생활을 들추어주니 더 흥미로웠던 지 원... 평소의 버릇 중요한 부분에 밑줄을 좍좍 그어 가며 말이다.

 

 

그러나 쪽수를 넘길수록 조금씩 조금씩 더 어려워지더니 급기야 중간을 넘어서니, 아... 도저히 더 이상 읽어나갈 수가 없다. 이거는 수학을 잘해도 한참 잘해야 읽을 수 있는 내용이었다. 어쩌면 대학 전공 수준의 수학 실력이 필요할지도 모른다는 생각이 들었다. 5분의 3을 지나는 시점에서 말 그대로 두 손 두 발 다 들었다. 반도이폐!

 

많은 20세기의 수학자들이 씨름하면서 시간을 다 보낸 이 빌어먹을 「리만가설」을 읽어보겠다고 덤볐다니.. 아, 증말.... 주제를 몰라도 한참을 몰랐다. 이 책을 최고의 걸작이라고 평하는 폴란드의 로만(Roman) 이라는 사람은 도대체 어떤 냥반이란 말인가...

당대 최고의 수학자 데이비드 힐버트(DAvid Hilbert)는 국제 수학자회의에서 다음과 같이 말했다고 한다. “불행히도 우리는 그 가설의 참․거짖 여부를 아직도 증명하지 못하고 있다”, 라고...

 

나는 책을 읽은 당시 100자평일 이렇게 썼다, “뫼뷔우스의 뮤 함수와 임계선을 타고 오르지 못했다...ㅠㅠ but, 수학은 아름답다...”(진의는 의심됨). 그리고 리뷰에 고백했다. “내 자신이 난제를 이해하지 못해서일까.. 애써 이해하려하지 않아도 된다는 생각하며 위안 삼았다. 그러나 이 책을 읽는 것만으로도 나는 이 책이 주는 수학의 아름다움을 느꼈다면, 믿어줄 사람이 없을 것 같으다. 별을 다섯 개 주고 싶지만 중간부터 이해를 하지 못한 책이라 4개만 주련다.. 다른 분들이 분명 별을 5개 줄 것이다...나보다 더 잘 이해한 독자 분들께서 말이다..”

 

 

불구하고 끝까지 읽을 책

 

 

온전히 이해할 수 없었으나 끝까지 읽은 책이 있다. 「100년의 난제 푸앵카레 추측은 어떻게 풀렸을까?」이다. 이 책 또한 나의 능력을 넘어서는 책이다. 과거에는 100자평을 곧잘 쓰곤 했는데, 당시 나는 100자평을 이렇게 썼다, “페럴만을 존경한다....결코 그가 난제를 해결해서가 아니다...” 라고.

 

학자들은 지식의 최전선에 있는 사람들이고 존경의 대상이며 때로는 선망의 대상이지만 학자의 또 다른 모습을 잘 보여주는 영화가 있다. 「굿 윌 헌팅」이 바로 그러하다. 주인공 윌 헌팅은 자신이 풀이한 문제를 MIT 공대의 수학 교수가 보는 앞에서 불태워버린다. 바로 그때, 명예를 우상처럼 아끼는 제랄드 램보 교수는 불에 타고 있는 종이를 허겁지겁 줍는다. 탐욕으로 가득 찬 보물 탐험가가 실수로 보물을 바다 속에 빠트리고는, 가라앉고 있는 보물들을 바라보면서 기겁하여 전신을 부들부들 떨듯 말이다. 자신은 풀 수 없는 식의 답이 그곳에 있기 때문이다. 풀이가 불에 타버리고 있으니 교수는 그 얼마나 안타까웠을까... 그 장면을 보는 나는 되려 그 교수가 너무나도 안타까워서 언제 보았는지 기억나지 않는 그 영화의 한 장면이 각인되었다. 그러나 페럴만은 그런 류의 학자가 아니다. 그에게 경의를 표하는 마음으로 이해할 수 없는 공식들이 열거되고 있지만 끝까지 읽었다. 나는 여전히 이 책의 내용을 이해하지 못하고 있다.

 

모르면서도 끝가지 읽어 간 책이 또 하나 있다. 「의지와 표상으로서의 세계」. 학생 때의 일이다. 당시 책이 겁나 두꺼웠다. 잘 이해가 가지 않았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끝까지 읽은 것은 오기가 발동한 탓일 것이다. 이해는 잘 못하지만 끝까지 읽어는 보겠다는 그런 류의. 마지막 장을 넘기기까지 꼬박 한 달이 걸렸다. 몇 권을 쌓아놓고 있었지만 다른 책들은 엄두를 내지 못했다. 어느 부분은 지루함을 느끼기도 했고, 어느 부분은 정말 흥미롭다는 생각을 하기도 했다. 롤러코스터를 타는 기분이 들었다. 결국 제대로 이해를 하지 못한 책이지만 끝까지 읽었다는데 의미를 둔 그런 책이었다. ㅠ...

 

 

 

 

친구따라 강남 간 책

 

남들이 읽는다고 주제를 모르고 친구 따라 강남 간 책이 있다. 물론 다 읽었고 당연하게도 나는 좌절했다. 다름 아닌「그림으로 보는 시간의 역사」이다. 다행히 난이도를 낮춘 책이 이후 출간되었다. 독자들의 원성이 자자했다고 한다. 난이도가 높다는 것이었고 이에 부응한 책이 새로 출간된 것이다. 나는 이 책을 구입, 다시 읽고 있는 중이다. 「그림으로 보는 시간의 역사」, 이 책의 전설은 결코 괴담이 아니다. 전설적인 그 괴담은 널리 알려져 있다시피 ‘호킹 지수’ 이다. 호킹 지수 5를 기록한 이 책은 그 난이도를 잘 말해주는 조사 결과였다.

 

호킹은 자신과 물리학자들이 어떤 일을 하는지 대중들에게 알리고 싶어 했다. 대중 강연도 마다하지 않았던 호킹은 책을 통해 더 많은 독자들과 만나고 싶었던 것이다. 하여 「그림으로 보는 시간의 역사」를 내기로 결정했다. 그러나 대중을 위한 물리학을 알리는 일은 결코 수월한 일이 아님을 호킹은 잘 알고 있었다. 하여 호킹은 신중했고 이 책을 기획하는데 아주 많은 시간을 소비했다. 무지 쉽게 쓰려고 노력했지만 첨단 물리학이 어디 녹록한 내용이던가. 호킹은 책을 써 놓고도 고민하지 않을 수 없었다. 책의 출판사를 결정하는 일이었다. 가급적 널리 알려진 출판사를 택하려고 애썼다. 급기야 공항 내 서점에 책을 다수 집어넣는 출판사를 택하기로 했다.

 

그러나 또 다른 문제에 부딪혔다. 바로 편집자였다. 편집자가 책의 내용을 이해하지 못할 경우 자신이 원하는 책을 출간하지 못할 것이라 생각했다. 호킹은 편집장을 만나기로 했다. 자신의 책을 내줄 편집장에게 자신이 책에 쓴 내용을 가르치기로, 물리학을 공부시키기로 한 것이다. 이 두 사람은 1년여 이상의 시간에 걸쳐 가르치고 공부했다. 편집장은 호킹의 가르침으로 물리학의 내용을 이해했다. 「그림으로 보는 시간의 역사」는 호킹의 이러한 철저한 준비과정과 노력을 통해 세상에 나온 책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호킹 지수 5를 기록하는 참담한 결과를 맞이했다. 수많은 사람들이 호킹과 그의 책을 사랑했지만 제대로 이해할 수 있는 독자들은 거의 없었다. 국내의 어느 천체물리학 전공 교수는 고백했다. 자신이 이 책의 내용을 온전히 이해한 시점은 대학원에서 논문을 준비하면서 였다고... 한마디로 「그림으로 보는 시간의 역사」는 대학에서 물리학을 전공하는 대학생들 에게도 버거운 책이라는 것이다. 그런 책을 친구 따라 강남 가듯 덤볐으니... 참담할 수 밖에....

 

그러나 호킹의 그 아름다운 마음은 온전하게 전해온다. 마치 그의 마음을 읽는 듯 한 느낌이 드는 책이다. 다감하고 친절한 그의 마음 말이다. 결국 ‘레오나르도 몰로디노프’ 라는 인물이 호킹의 이 책을 좀 더 쉽게, 나와 같은 독자들도 이해할 수 있도록 쉽게 풀이하여 새로이 썼다고 한다. 제목은 '짧고 쉽게 쓴 시간의 역사'이다. 그렇다고 내가 이 책을 이해할 수 있는 능력자라는 말은 아니다. 호킹의 원저보다 조금 더 알아들을 수 있다는 말일 뿐.

 

돌아보니 스스로 좌절한 책이 한 둘이 아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중도이폐하는 일이 생기거나 이해를 하지 못하면서도 끝까지 읽은 책들에 대한 애정은 식지 않는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