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명리 명강 - 하나의 원리로 실전까지 통하는 사주역학의 정석
김학목 지음 / 판미동 / 2016년 3월
평점 :
늘 그러하지만 저서의 서문을 매우 중시하는 일인이다. 서문에서 저자는 “시간은 공간의 흐름이고 공간은 시간의 내용이다.” 라고 적고 있다. 이는 시간과 공간의 유기성을 설명한 아인시타인의 사유와 다르지 않다. 명리는 우리가 살아가고 있는 시공에 담긴 음양 오행론이라는 점을 인식하며 이 책을 읽어가야 하는 이유이다.
더불어 명리에 대한 통념을 넘어 ‘수양을 위한 공부’로 인식하는 저자의 입장에 적극 공감하는 바이다. 오행에 대한 바른 이해는 절대성을 가지는 타자에 의존하는 사유를 뛰어 넘는다는 저자의 사유가 특기할만하다 하겠다.
「명리명강」을 일독한 후의 사적인 견해는 다음과 같다.
우선, 명리에 입문하려는 독자에게 기초 지식을 이보다 더 잘 설명해주고 있는 책은 만나본 적이 없다는 것이다. 특히 음양 오행의 요체를 매우 이해하기 쉽도록 첨언해주고 있다. 더불어 동양 철학의 이해를 돕는데 수고로움을 아끼지 않는다. 입문자들의 입에 맞는 오행의 작동 원리와 음양론은 타의 추종을 불허한다고 보아도 무방하다. 대표적인 예가 10천간과 12지지에 대한 저자의 견해 피력이다. 더우기 오화(午火) 와 사화(巳火)에 대한 음양론은 대단히 인상적이었다. 당연한 설명이라고 여길지도 모르지만 巳午의 음양론은 전문가들 사이에서도 갑을 박론의 대상인 것이다.
사실, 대부분의 명리서 들은 동양철학의 이해를 전제로 하기 때문에 이해를 위한 핵심 부분을 도려낸 경우가 허다하다. 그러나 명리 명강은 동양철학의 사유로 시작하여 끝을 맺는다. 이 책을 인정하고 싶은 이유이다. 일반적인 해당 서적들은 작정하고 배우겠다는, 작심을 한 사람들을 위한 출판물. 즉 기초지식을 이미 겸비한 독자들을 대상으로 한다. 하여 기본적인 전문 용어에 대한 설명이 전무하다시피 한다. 대표적인 예가 사주정설 혹은 추명가이다. 사주정설은 그 내용이 탁월하여 전문가들도 초보들에게 흔히 권하는 책이다. 비록 핵심적인 내용을 가졌다고는 하나 설명을 도려낸 사주정설은 일반 독자들에게는 힘에 부칠 수밖에 없다. 이는 내용이 알차면서도 쉽게 권할만한 책이 딱히 없다시피 하다는 반증이기도 한 것이다. 명리란 이런 것이다, 라고 선언은 하고 있지만 설명이 철저하게 배제된 기존의 해당 서적들은 마치 고등학생들에게 수학의 정석과도 같은 책이다. 독학으로 보다는 학원에 가야만 비로소 쓸 수 있는 그런 참고서 말이다.
「명리명강」은 접근성 측면에서 타의 추종을 불허한다고 본다. 물론 이러한 시도가 전에 없었던 것은 아니다. 아쉬 쉽게 설명하려 시도한 책이 있었는데 접근성이라는 장점을 보여주기는 했으나 핵심 부분에서 치명적인 결함, 아니 오류를 가지고 있었다. 오류를 필터링을 할 정도의 독자라면 이미 초보는 아니므로 애초의 의도 와는 달리 읽으나 마나한 책이 되어버렸다. 하여 입문용으로 추천하는데 꺼릴 수 밖에 없었다.
명리명강은 입문하려는 독자들에게 기존의 전문서들이 가지는 장애물을 완벽하게 허물에 버렸을 뿐만 아니라 완성도가 매우 높은 책이다. 물론 책 한권으로 특정 분야를 섭렵할 수 있다는 생각은 바람직하지 않다는 점은 누구나 잘 알고 있으리라 믿는다.
위에서 언급한 장점도 장점이지만 독자로서 가장 큰 장점으로 꼽고 싶은 내용은 따로 있다. 저자는 명리를 바라보는 바른 입장을 매우 잘 설명하고 있다. 명리를 공부하는 사람이 가져야 할 태도, 바로 그것이다. 사적으로는 명리 그 자체보다 더 중요한 덕목이 따로 있다고 생각하는 일인이다.
이는 마치 검술(劍術)을 익히려는 자가 가져야할 태도만큼이나 중요한 사항이다. 검술을 단지 검술만을 위해 익히게 될 때, 검을 잡은 그 손은 자비를 모르게 된다. 검의 날을 예리하게 세우고 휘두르기로는 기탄이 없게 된다. 주위의 사람들은 그 검기에 놀라고 위협을 느끼게 된다. 이는 술(術)만을 목적으로 검을 익혔기 때문이다. 검을 들기 이전에 먼저 손에 들어야 하는 것이 바로 道이다. 검에 도가 있음을 모르고 익히게 되면 자신은 물론 반드시 사람을 상하게 하기 마련이다.
도를 잊은 검술사는 검을 빼어 화려하게 휘두를 줄은 알되, 언제 왜 어떻게 그 검을 사용해야 하는가 하는 명분 없는 칼잡이가 될 뿐이다. 심지어는 돈을 주면 주저함을 모르고 사람도 해질 마음의 준비가 되어있는 사람이 된다. 이런 이를 검술사라고도 하고 검객이라고도 하며 칼잡이라고도 한다. 검을 다스리는데 도가 따라야 하는 이유이다.
명리도 이와 다를 바가 없다. 칼잡이는 허리에 찬 칼을 보고 그가 위험한 인물인 줄 알고 멀리 하겠지만, 명리술사는 티가 나지 않아 조우하면 다치는 수가 있다. 무방비 상태에서 마주칠 수 있는 존재가 명리술사이니 그 얼마나 위험한 존재인가... 하여 때로는 무슨 살(殺)을 없애주겠다는 명분으로 고가의 부적 장사를 하는 술사들이 허다한 실정이다. 어찌 가지고 태어난 살을 부적으로 막아 낼 수가 있으랴... 이는 술사들이 자신들의 이를 쫒아 혹세무민하는 대표적 사례라 하겠다. 명리의 도를 망각하면 흔히 일이 이렇게 된다.
저자는 바로 이러함 점을 분명하게 밝히고 있다. 저자의 태도에 경의를 표하는 바이다. 도가 명리에 앞설 때 명리는 바르게 쓰일 것이고, 명리의 길을 바르게 걷는 자 상대방에게 상처가 아닌 치유를 줄 것이라 믿는다.
그렇다고 아쉬움 점이 아예 없는 것은 아니다.
저자는 “격국용신론과 같은 이론을 기준으로 이 책을 비판하지 말고, 이렇게 사주를 볼 경우 이 이론 자체에 무슨 문제가 있는지 실제로 체험해본 다음에 비판해주기를 부탁 드린다.”(297쪽) 라고 썼다.
허나, 용신 없는 간명이 과연 가능한 일인지 저자에게 되묻고 싶다. 용신은 글자를 읽어가는 열쇠라는 점을 저자께서 그 누구보다 더 잘 아시리라 믿는다. 용신은 글자를 풀어가는 방향키이다. 내로라는 전문가들도 갑을 박론하는 것이 용신이 아니던가. 배가 산으로 간다는 말은 바로 용신을 잘못 잡았을 때 정확히 들어맞는 말이다. 이는 마치 용입수를 모르고 득파와 좌향을 잡는 것과 무엇이 다르단 말인가..
이런 관점으로 볼때, 독학 입문자들에게 명리를 안내하는 제대로 된 책이면서도 간명의 필수적인 용신을 생략한 것은 입문자들에 대한 저자의 배려일 것으로 생각하지 않을 수 없다. 용신을 잡는 일은 간명의 핵심이기에 그만큼 어려운 일이기도 하다. 하여 독자들께 용신을 언급하여 그 난해함을 인식시키지 않으려는 저자의 배려가 깃든 저술이라 생각하는 것이다. 사정이 이러하다보니 용신을 언급하지 않은 점은 저자의 고육계라 여기는 바 이고, 그렇다면 영 이해할 수 없는 것은 아니다. 다만 마음이 아플 뿐이다.
하여 격국까지는 아니더라도 용신에 대해서는 따로이 책을 내에 자세히 설명하는 것이 저자께서 할 일이 아닌가 생각하는 바이다. 명리명강에서 흔히들 어렵다고 여기는 바를 이토록 쉽게 설명할 수 있는 능력을 가진 저자가 아니던가. 기왕 시작한 마당에 용신을 이해시키고 자신과 가족들을 더욱 잘 이해할 수 있는 경지에는 올려 놓아주시기를 당부 드리고 싶을 뿐이다.
혹시라도 명리를 알고 싶은 독자 분들이 계시되 선생님이 없는 경우라면 이 명리명강을 여유를 가지고 독파하시기 바라는 바입니다. 혹여 이해가 가지 않는 부분이 있다면 잠시 쉬었다가 재차 읽어보시면 이 책이 전달하고자 하는 내용을 이해하실 수 있으리라 여깁니다.
PS : 깜박 할 뻔 했지 말입니다.
천을귀인에 대한 저자의 부연은 정말로 유익했다. 흔히 대가의 반열에 올라있다는 분들도 신살을 대수롭게 여기지 않는 분위기이다. 되려 명리와는 별 관계가 없는 냥반들의 입에 더 자주 오르내리는 실정이니 말이다. 저자의 말씀대로 합형충을 파해보다 훨씬 더 무겁게 쓰는 것은 자명하나 신살은 흔히 그렇지가 못하다. 명리가 들이 주로 언급하는 신살로는 그 많은 것들 중에 겨우 괴강, 백호, 역마, 양인, 도화, 홍염, 귀문, 상문 정도이다. 그런데 오랜 임상 후 전문가로서 천을귀인을 이토록 실감나게 언급하신 저자는 처임이지 말입니다. 이건 신선한 충격이지 말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