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롭게 보는 사주 이야기 - 이정호 선생의 사주 이야기
이정호 지음 / 한겨레출판 / 2005년 12월
평점 :
절판


명리학을 접한다는 것은 결코 수월한 일이 아니다. 생활 주변의 환경이 명리학과 무관하다면 특히나 그러하다. 간명학에 대한 대중들의 견해차이가 크고 미신으로 치부하기 일쑤인 사회적 풍토가 큰 몫을 하기 때문이다. 

명리학의 근원을 찾아가다보면 성리학과 마주하게된다. 성리학에서 발원한 명리는 생활의 발견을 연구하고 참고하는 명리와 순수학문적인 성리학으로 갈라졌고 근간은 같으나 성리학은 성리학은 양지에서 빛을 보았고 명리학은 터부시되는 음지로 숨어버렸다. 

 심지어는 명리학을 미신으로 치부하며 자신의 노력과 소신으로 인생을 살아가는데 저해되는 요인으로 터부시되기에 이르른다. 그러나 근원이 같은 두가지 중 명리학은 터부시되고 성리학은 떳떳한 학문이 되었다는 것은 시대의 산물이자 이이러니이다.  

새롭게 보는 사주이야기는 초보자들이 이해하기 매우 쉽도록 했다는 점에서 그 이점이 있다. 그러나 저자는 명리에 대해서 상당한 연구와 진척이 있어보이지만 책의 내용에서는 상당부분 명리의 학문적 성과를 애써 깍아내리는 느낌이든다. 

형충파해의 작용을 애써 부인하려는 태도가 역력하다. 더우기 육효의 괘가 주는 의미를 애써 깍아내리고 있다. 이는 두가지로 이해할 수 있다. 하나는 저자가 육효에 대해서 자신이 없거나 알고는 있지만 독자에게 괘의 의미를 지나치게 강조하지 않으려는 의도이거나... 독자로서 느낀 점은 저자의 육효에 관한 풀이가 충분히 연구되지 않았다는 쪽이다. 육효의 정확성을 무시하는 저자의 태도로 보아 추측할 뿐이지만 말이다. 

여하튼 형충파해의 작용에 대한 저자의 견해는 의도적으로 그 영향력을 애써 감추려한다는 느낌이 짖다. 그러나 연구가 깊이를 더해갈 수록 형충파해의 작용이 그 얼마나 크게 작용하는지를 경험한 분들이라면 저자와 견해를 분명히 달리할 것이다. 

좋은 점이라면 오행이 명리에서 작용하는 이치를 매우 쉽게 서술했다는 점이다. 그러므로 초보입문자들에게 장점과 단점을 모두 던져주는 책이라하겠다. 그러므로 취할 것은 취하고 버릴 것은 버리는 지혜를 발휘하며 읽어야  하는 책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