군주론 - 바티칸의 금서 돋을새김 푸른책장 시리즈 4
니콜로 마키아벨리 지음, 권혁 옮김 / 돋을새김 / 2005년 6월
평점 :
구판절판


마키 아벨리즘이라는 표현이 있다. 국가의 유지 발전을 위해서는 그 어떤 수단과 방법도 좋다는 정치적 이념을 뜻하는 말이다. 냉정하고 차가운 정치의 현실을 그 어떤 고전보다 잘 전달해주는 책이 바로 군주론이다. 군주가 더 이상의 전쟁과 폭력을 예방하기위해서 차라리 가혹한 한 번의 폭력으로 모든 가능한 폭력과 전쟁을 미연에 방지하는 것, 그 것이 바로 마키아벨리즘인 것이다.  

마키 아벨리의 군주론에서 주장하는 내용들을 음미하기 전에 한가지 기억해두어야 할 것이 있다. 마키 아벨리는 이 군주론이라는 책을 과연 왜, 그리고 어떤 근거를 바탕으로 저술하였는가이다. 이 책을 저술하게된 동기는 지극히 간단하다. 마키 아벨리가 권력을 원하고 있었다는 것이 이 책을 저술하게된 이유이다. 메디치가의 군주에게 자신의 유용함을 알리기 위한 저술인 것이다. 물론 그는 군주의 마음을 얻는데는 실패했다. 마키아벨리의 이론들이 마음에 들지 않았던 것일까?? 

그러면 마키 아벨리는 어떤 것들을 근거로하여 이 책을 저술하게되었는가?  이 또한 매우 간단한 문제이다. 마키 아벨리는 피렌체의 군주를 위해, 아니 자신의 권력 확보를 위해 역사를 활용한다. 군주론의 대부분은 마키아벨리보다 앞섰던 시대의 역사를 분석한 결과물들이라는 점을 놓쳐서는 안될 것이다. 마키 아벨리는 자신보다 앞선 역사들을 반추하고 그 결과를 철저하게 분석했던 것이다.

마키 아벨리는 알렉산더가 다리우스 왕국을 정복한 직후 사망에 이르게되지만 결코 반란에 봉착하지 않는다는 역사적 사실을 일 예로 설명한다. 마키아벨리는 그 이유를 투르크와 프랑스의 통치 유형에 따른 역사적 사실에 입각한 분석으로 설명하고 있다. 이는 역사에 대한 철저한 연구를 바탕으로 하고 있는 방증이며 군주론에서 다루고있는 주장들은 조목조목 이러한 역사의 인식에서 온것 들이다. 

군주론을 읽으면서 우리가 군주론에 대한 비평을 가하기 전에 깨달아야 할 것이 있다면 바로 우리의 역사 인식이다. 마키아벨리가 군주론의 토대를 둔 것이 역사의 분석이었던 것 처럼 우리가 주목해야 할 부분도 역시 그러하다. 이러한 점으로 볼 때, 군주론이 고전으로 자리매김한 것은 지난 500년간 세계 역사 리더들의 지침서였기 때문이라기 보다는 독자에게 역사인식이 그 얼마나 중요한가를 깨닫게 해주기 때문이 아닌가 생각하게 만든다. 역사의 올바른 인식은 우리의 현재를 형성하고 있는 근간이며 그 현재는 우리의 미래와 직결되어있다는 사실을 직시해야 한다. 마키아벨리가 역사의 철저한 분석과 인식으로부터 군주론이라는 고전을 남겼듯이 우리 또한 우리의 역사 혹은 세계의 역사를 제대로 바라볼 수 있는 인식을 형성해야 할 필요성을 느끼게한다.  

나아가 마키아벨리즘을 낳은 군주론의 저자는 우리에게 커다란 정치적 화두를 던진다. 결과가 좋다면 과연 존재하는 모든 수단은 정당화될 수 있는가? 한 번의 단호한 폭력과 처절하고도 완벽한 전쟁으로 더 많은 전쟁과 폭력, 그리고 사회적 혼란을 종식 시킬 수 있다면 군주는 당연하게도 그 한 번의 동원 가능한 모든 수단을 무차별 사용해도 좋은가?   

물론 군주론이 말해주고있는 군주로서의 중요한 덕목들 중 배울 점이 있다. 현대의 정치가와 과거의 군주가 가져야할 자질과 조건들은 공통적으로 일치하는 부분이 있을 것이다. 이 부분은 분명히 현대의 정치가들에게 요긴한 내용들일 것이다. 시대는 변했으나 정치라는 것은 시대가 바뀌어도 여전히 존재하기 때문이다. 어쩌면 일부의 정치가들은 긍정적인 측면보다는 부정적인 측면을 이용할 수도 있고, 이 책임을 마키아벨리에게 떠널길 수 있는 요인들도 상당히 많다고 본다. 부디 정치인으로서 자신의 악행을 마키아벨리에게 떠넘기는 일은 없기를 바란다. 더불어 정치인이든 정치인이 아니든간에 군주론이 던져주는 화두가 있다.

군주론은 말하고 있다. 군주는 시민의 안전과 평화를 위해서 도덕적 방법을 던져버리고 냉정하고도 치열한 승리의 공식을 택해도 좋다고...우리에게 던져주는 마키아벨리의 화두에 정답은 존재하는 것일까...우리가 군주론을 마치고 생각에 잠겨야할 부분이다. 우리는 과연 어떤 근거로 사고를 해야하는 것일까...다양한 정의론이 있을 것이고, 도덕과 왕도정치가 있을 것이다. 여기에서 또한 절대로 빼놓을 수 없는 것이 하나 있으니 바로 우리의, 아니면 타자들의 역사이다. 마키아벨리가 역사적 실증을 통하여 군주론을 저술하였듯이 우리도 역사를 하나의 도구로 활용하여 사고할 수 있을 것이다.  

물론 마키아벨리도다 훨씬 좋은 사고의 도구들이 존재하고있다. 사고가 누적되어왔고 정의론도, 도덕론도, 당시에는 존재하지 않던 복지론도 우리는 가지고 있다. 나아가 새로운 국가론을 가지고 있는 우리의 현실이지만 마키아벨리가 우리에게 던져주는 숙제의 답을 내리기란 요원하기만하다. 이는 군주론을 읽는 모든 독자들이 스스로 찾아야하고 정치의 일선에 있는 정치가들이 스스로 찾아야할 과제인 셈이다. 독자의 한 사람으로 마키아벨리의 의견에 적극 동감하기에는 어려움이 있다. 그러나 그의 군주론은 500년이 지난 지금에도 숙제를 던져주고 있음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9)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