처음 읽는 서양 철학사 - 서양의 대표 철학자 38인과 시작하는 철학의 첫걸음
안광복 지음 / 웅진지식하우스 / 2007년 11월
평점 :
절판


그 어떤 분야의 경험이든 걸음을 내딛는 순간은 한 개인에게 지대한 영향을 끼칠 가능성이 매우 높다. 개인의 경험과 환경이 앞으로 나아가는 그 개인에게 끼치는 영향력의 중대함을 말하고자 함이다. 안광복 선생님의 '처음 읽는 서양 철학사'는 그동안 읽어본 책 중에서 개인에게 가장 큰 영향력을 긍정적으로 끼치게될 최고의 책이라 말하고 싶은 이유도 그와같다. 모든 분야의 접근에는 그에 알맞는 조건과 환경을 전제로한다. 그것이 우연이든 아니든 간에...  

설사 우연으로라도 이 책을 읽게되는 독자들에게는 앞으로 일생동안 철학을 가까이하게 좋은 계기가 되어주리라 믿는다. 철학을 머리아픈 골치꺼리 정도로 인식하고 있는 사람들이 있다. 나 역시 그런 사람 중 하나이다. 그러나 이 책을 접하는 순간, 철학은 더이상 골치아프거나 머리를 지근거리게하는 그런 대상이 아니다. 반대로, 철학의 매력을 한껏 느낄 수 있고 매우 흥미진진한 생각의 보고임을 깨닫을 가능성이 매우크다. 많은 서양의 철학을 다룬 책들이 고개를 절래흔들도록 하지만 안광복의 이 책은 왜 그토록 철학을 매력덩어리로 변모시키고 있는 것일까... 그리고 서양의 철학자들이 쓴 책을 직접 읽고 싶게하는 이유는 무엇일까...

이유는 간단하다. 저자가 마르크스와 그의 생각을 소개하면서 썼던 바로 그 말, "찰학은 시대의 산물"이라는 점을 배경으로 하고 있기 때문이다. 철학에대한 선입견을 가진 대다수의 독자들에게 스파링이 없이 본게임으로 안내하는 많은 책들은 독자들로하여금 '역시나~' 하는, 선입견을 확인시켜주기 일쑤였다. 그러니 철학관련 서적을 또다시 읽는 실수를 하지 않으려하는 것은 당연한 귀결인 듯 하다. 

그러나 이 책의 저자 안광복선생님은 고등학교에서 학생들을 가르치는 선생님이라고 한다. 선생님은 공부할 내용에 익숙하지 않는 학생들에게 새로운 것을 가르치는 분이다. 저자 선생님은 한마디로 어떻게 가르쳐야하는 지를 잘 알고 계신분이라는 생각을 하지 않을 수 없다. 그렇지 않고서야 서양의 철학관련 서적을 이토록 흥미롭게 썼을리가 없다. 이 책의 매력은 인류에 지대한 영향력을 행사했던 유명한 철학자들을 소개했다는 점이 아니다. 우리와는 거리가 너무도 멀게만 느껴지는 그' 철학자' 들에게서 인간적인 냄새를 느낄 수 있도록 저술했다는 점이다. 우리와는 거리가 너무 멀기만한 철인들이 아니라 우리처럼 일생을 살아가면서 그들이 접했던 환경과 경험들을 토대로 철학적 고뇌를 했고 그들의 사고는 자신들이 처했던 환경속에서 나왔다는 점이다. 우리와 전혀 다를바가 없는 상태에서 말이다...  

이러한 철인들의 인간적 냄새는 우리도 철학적인 사고를 얼마든지 할 수 있고 그들의 철학적 사고를 바탕으로 훨씬 더 진보한 독자 개개인적인 사상을 꿈꿀 수 있다는 공감의 근간이 되어준다는 점이다. 철인과의 거리을 아득하기만한 거리감으로 전달했던 기존의 철학서들과 확연한 차이점을 가진 이 책은 그러므로 우리의 옆으로 바짝 다가설수 있다. 우리가 철학으로 다가서기보다는 오히려 철학이 우리의 곁으로 바짝 다가서고 있다는 이 느낌...바로 '처음 읽는 서양 철학사' 가 우리에게 전해주는 느낌이다.  

때로는 독자로하여금 철인에대한 연민을 느낄수 있게하는 이 책에 대하여 찬사를 과연 그 어떤 말로 대신해야할지 모르겠다. 이 책을 써준 저자께 그저 깊이 감사할 따름이며 이런 인간적인 냄새를 느낄수 있는 철학서들을 계속해서 써주시길 바라는 마음으로 고마움을 대신하련다...  

마지막으로 글을 읽는 머리속에서 맴돌며 내내 떠나지 않는 일관된 생각 두가지가 있었다. 하나는 바로 철학자들의 배경이다. 이는 물론 이 책의 저자가 의도한 바와는 아무런 관련이 없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철학자들의 배경은 대부분 부유하거나 명문가 출신들이라는 점이다. 철학의 아버지라 불리는 탈레스마저도 밀레투스의 명문가 출신이었다. 심지어 대부분의 철학자들과는 달리 약자의 편에서 철학을 전개시켰던 마르크스마저도 부호의 가문 출신이다. 물론 명문가가 아닌 목사의 아버지를 둔 흄과 성당지기인 아버지와 농부 가문의 어머니를 둔 하이데거를 제외하면 대부분 경제적인 불리함을 느끼지 못한 사람들이라는 공통점을 가진다.  

이는 2500년 전의 풀라톤에도 적용이 된다. 플라톤의 가문도 아테네 최고의 정치 명문가였으니 말이다. 서양 사상의 뿌리인 고대 그리스 철학의 체계를 완성한 아리스토텔레스의 아버지도 마케도니아의 어의 출신이다.  아우렐리우스와 아우구스티누스는 논외로 하고라도 귀족의 아버지를 둔 코마스 아퀴나스등 고대에도 철학자들의 배경도 마찬가지였다. 과연 철학자가 되기 위해서는 경제적으로 자유로워야하는지...고대의 탈레스로부터 20세가 가장 중요한 철학자 중의 한사람이라는 가다머에 이르기까지 배경이 탄탄하다. 배경이 이들보다 못한 사람들이 덜 똑똑해서라기보다는 기회가 덜 주어졌기 때문이라고 생각하니 마음이 매우 무겁다. 배경이 두둑하지 못한 사람들에게도 철학자로서의 뜻을 펴는 날은 과연 오려는가.... 

두번째는 서양 사상가들이 끼친 현대의 자화상이다. 근대의 산업혁명을 기점으로 인류는 그야말로 혁명적인 변화를 겪어왔다. 시대의 흐름에 가장 큰 영향을 끼치는 것은 사상이다. 시대의 철학을 바탕으로 사회는 변화하도록 되어있다. 당대의 시대정신이 사회에 고스런히 반영되기 때문이다. 그 시대정신의 배후에는 철학이 빛의 서려있다. 이는 빛의 근원일 것이다. 그 빛이 인간에게 어떤 길로 안내하느냐에 따라 행로가 달라질 수 있다. 현대의 자화상으로 미루어보건데 '서양의 철학은 서구의 사회를 과연 올바른 곳으로 인도했는가?' 라는 의문을 떨쳐버릴 수가 없다. 서구의 사상은 동양의 사회와 아메리카, 즉 모든 지구의 사회에 영향을 끼쳐왔다. 인간의 발길이 닿는 모든 곳에 말이다. 그러나 과연 세계는 서구의 영향 아래에서 행복했는가? 인간 존재의 목적은 행복의 추구라고 아리스토텔레스는 외쳐댔다. 현대의 서구인들은 그 행복을 누구의 행복이라고 생각했던 것일까...그들의  행복일까 인간의 행복일까... 

그토록 철학적 사유를 많이해왔던 서구의 사상가들은 현대의 자화상에대한 책임에서 자유롭다고 말할 수 있는 것인가...이는 서구의 철학자들에게 던지고 싶은 처음이자 마지막 질문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8)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