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도 버린 사람들
나렌드라 자다브 지음, 강수정 옮김 / 김영사 / 2007년 6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우리의 신라시대를 거쳐 조선시대의 전기에 이르기까지 향, 소, 부곡이라는 특수 행정구역이 있었다.  신라에서 시작된 것으로 추정이되며 조선 전기에 785개가 존재했다고 한다. 이러한 열등한 계급을 가진 집단이 인도에도 있었으니 약 3500년 전으로 거슬러 올라가는 카스트제도의 시작이 이와 같다.  

3500여년 전 아리아인들의 침입이 있은 후 현재의 인도에 거주하던 드라비다인들은 정복당한 민족으로 아리아인들의 정치적인 희생양이 되어 카스트라는 족쇄로 옭매인 것이다. 우리는 흔히 카스트제도를 4개의 계층으로 이해하고 있다. 마지막 계층이 수드라라고 교과서에서 배웠기 때문이다.  

그러나 '신도버린 사람들'을 읽어보면 5개의 계층임을 알 수가 있다. 이 책의 전반부에는 '달리트' 라는 말이 흔히 등장한다. 그 달리트가 바로 수드라의 밑에 있는 5번 째 계층인것이다. 그런데 왜 우리의 교과서는 우리에게 4개의 계층만을 가르치고 있는 것일까...아마도 한국의 교과서에서도 인도의 마지막 계층인 달리트를 인간으로 생각하지 않았다고 생각할 수 밖에 없다. 물론 공식적인 계층으로 불리지 않을 수도 있다. 그러나 엄연히 존재하는 계층이 바로 달리트들이다. 

 이 책은 그 달리트 출신의 성공을 일군 차세대의 대통령이 될 인물이 쓴 책이다. 한 번 달리트이면 영원한 달리트라는 점을 고려해보면 엄밀히 말해서 이 책의 저자는 분명 달리트이다. 우리의 행, 소, 부곡과는 차이점이 있다면 우리는 조선 전기에 없어진 제도였지만, 달리트는 법으로는 차별하지 않도록 되어있으나 사실상 지금까지 차별을 받고 있는 대상이라는 점이다. 

달리트가 어떤 존재인지를 극명하게 보여주는 경전이 있다. 바로 그 이름도 유명한 힌두의 마누법전이다. 마누 법전에는 다음과 같이 써있다.. 

베다를 들으면 귀에 납물을 부을 것이요 

베다를 암송하면 그 혀를 자를 것이며 

베다를 기억하는 몸뚱이를 둘로 가를 것이다.. 

그 얼마나 섬짖한 경전의 내용인가...   물론 그 대상은 달리트이다... 

그들의 침이 땅을 더럽힌다고 오지그릇을 목에 걸고 다녀야했고 더러운 자신들의 발자국을 지우기위해 엉덩이에 빗자루를 매달고 다녀야 했던 달리트...눈물겨운 달리트의 삶을 이 책은 보여주고있다. 과연 인류애란 누구를 위한 것인지...소크라테스가 노예제도의 필요성을 강조하던 것과는 달리 석가모니는 카스트제도를 부정했더는 점은 그나마... 

눈물겨운 한 대목을 요약 소개하고 싶다. 

어느 날 다무는 일을 나가는 아버지를 억지로 따라나섰다. 햇살이 너무 거세고 목이 탓다. 나무 그루터기에 물통이 있었다. 바바(다무의 아버지)는 "부탁드립니다. 아들녀석이 목이 말라서 그러니 물 한 모금 먹게 해주시겠습니까?" 라고 말했다. 나는 땅에 쪼그리고 앉아 컵을 달라고 손을 내밀었다. '이 xx 좀 보게! 감히 이걸 만지겠다고? 아니 이걸 나한테서 받아들 수 있다고 생각하는 거야?' 남자가 손바닥에 물을 부었는데 받은 물은 반은 그대로 새어나갔다. 나도모르게 손을 도 치켜들었다. '내려, 손 내리라니까!' 나는 그렇게 얼굴을 손바닥에 뭍고 물을 마셨다. 

그런데 말이야. 소니. 뒤를 돌아보았더니 아까 그 개가 물통에서 물을 핥고 있는거야! 그 때 처음으로 마하르보다는 차라리 개로 태어나게 낫겠다는 생각이 들었어. 

이 책은 저자의 가족들(어머니와 아버지)이 달리트로서 그 어떤 일생을 보냈는지 마치 한 편의 드라마를 보여주듯이 전개시킨 행장이다. 인도의 구세주나 다름없는 '마하트마 간디' 마저도 달리트에게 호의적이지 못했다. 책에서 말하고 있듯이 과연 간디는 마하트마로서 자격이 있는 사람일까...이 책을 통하여 간디의 새로운 측면도 바라볼 수 있는 기회를 준다.  

이책은 한 달리트 부부가 어떤 생각으로 아이들을 교육시킸는지에 관한 일련의 과정들도 보여준다. 끊임없이 인간의 존재와 정체성에 대한 고뇌를하며 인생을 힘겹고도 열심 살아가는 다무와 소누, 어쩌면 가장 인간적인 모습을 보여준다. 늘 정정당당하게 살아가는 그들이 왜 그토록 고통을 받았으며 어떻게 이를 극복해갔는가의 과정이다. 교육의 중요성을 부각시킨다. 그러나 교육 그 이전에 현실에 대한 자각과 꿈을 가지는 것이 본질적인 전제조건임을 다무를 통해서 잘 알 수 있다. 그러므로 교육의 전제 조건은 자각이며 정체성을 되찾는 일이다.   

 더불어 우리는 이 책을 통해서 인간에 대한 사랑이 무엇인지, 무엇이 인간에 대한 사랑이 아닌지를 알 수 있다. 인간이 태어나서 할 일이 무엇인지...깨닫게 해준다... 마지막으로 매우 인상깊은 저자의 말이 기억에서 사라지지 않는다. 불가촉천민을 인간으로 인정하지 않고 짐승보다 못하게 취급하고, 공용 우물에서 물도 마시지 못하게하는 종교라면 그것은 종교라고 물릴 가치가 없다.  

 저자는 이 세상의 모든이들에게 묻는다. 종교는 인간을 위한 것인가?  그 대답은 너무나도 뻔하지만 신중하게 재고해야 할 필요가 있는 질문이며 그 대답일 것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6)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