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주석의 한국의 美 특강
오주석 지음 / 솔출판사 / 2005년 5월
평점 :
구판절판


 

오주석의 저서를 하나만 읽어본 사람이라면 그의 모든 책을 읽어보고 싶은 마음을 가질 것이다. 내가 우리의 그림을 너무 모르고 있었다는 생각 때문이기도 하고, 한국의 그림이 주는 감동은 자신을 돌아보고 한국인의 정체성에 큰 영향을 끼치기 때문이리라... 

이 책을 읽고 느낀 두 가지가 있다. 물론 이 책을 읽기 전에는 미처 생각해본 적이 없거나 잘못이해하고 있었던 것이 있다.  우선 잘 못 이해하고 있었던 것은 '예술에는 국경이 없다'이다.  그렇다. 그동안 나는 사랑에 국경이 없다고들 하는 것 처럼 예술에도 국경이 없다고 생각해왔다. 오주석이 경험한 한국 예술에 대한 이해로부터 공감할 수 있는 부분은 국경이 있는 예술이다. 그렇다고 국수주의적인 사고를 더욱 공고히 하며 한국의 예술의 우수성을 외치며 살아가게 되었다는 뜻이 아니다. 다만 예술에 대한 나의 생각은 오주석의 책을 읽고 난 후의 생각은 전혀 그 반대의 결론에 도달하게 되었다는 것이다. "예술의 담벼락은 세상에서 가장 높다.' 라고... 예술은 평생 예술로 밥을 먹고 살아가는 전문가이든 아니든 간에 너무나 높고도 보이지 않는 벽을 가지고 있다...그 벽을 허무는 과정은 문화 상대주의를 인정하고 끊임없이 공부하고 연구하는 일 밖에는 없다는 깨달음이다. 문화적 상대주의를 전제로 하지 않는 한, 그는 진정한 예술가가 아니며 예술전문가라고 말 할 수 없다는 결론에 도달했다...  

 또 한 가지 절실히 느끼긴 것은 '예술의 가치는 어떻게 결정되는가' 이다.. 정답은 '예술의 가치는 자국민의 의식속에 있다.' 이다. 이는 또다른 발견이나 다름이 없을정도로 전혀 인식하고 있지 못하던 뜻밖의 소득이다. 부끄럽게도 나는 우리의 문화의 깊은 생각을 미처 읽어내지 못하고 있었다. 그러므로 선조들의 정신세계를 이해해려 하지 않았다는 뜻과도 같다. 제 아무리 공부를 열심히하고 학식이 높은 사람이라해도 선조들의 정신세계를 이해하려하지 않는다면 결국 부끄러움을 느낄 것이다. 자신의 생활 터전에 대한 정신세계의 무지는 스스로의 문화에 대한 무지이며 이는 예술의 가치를 알아보지 못하게되는 결과를 가져온다. 

 모나리자의 황금비율에 대해서 많은 분들은 잘 아실 것이다. 모나리자의 얼굴과 나머지 상반신과의 비율은 1: 1.618 이고, 모나리자의 얼굴의 위치는 전체적으로 1:1618의 비율이며, 코의 좌우 비율도, 입의 비율도, 안면의 비율도, 왼쪽 턱이 있는 부분의 비율도....모두 전체적인 그림의 틀과 인체의 관계속에서 모두 1:1618 의 비율을 가진 다는 것이다. 그리하여 모나리자는 신비스러운 미소를 우리에게 주며, 보는 사람으로하여금 편안함을 준다는 것이다. 이는 비단 모나리자만의 것은 아니다. 그리스 시대의 파르테논 신전의 건축도 이와 같은 미학적 비율에의하여 건축되었다.  

이러한 미학적 기준은 서양의 논리학과 이성주의에 기반을 두고 있다. 서양의 수학자들마저도 감탄하도록 만들었던 그들의 미학은 현대에 이르러 아이팟 혹은 신용카드에도 적용이 되고 있다. 가지고 있는 신용카드나 아이팟의 비율, 그 비율이 바로  바로 황금비율인 것이다.  이러한 문화적인 이해는 서양의 예술에 투영된 미적 가치를 사고하는 바탕이 된다. 더불어 서양인들에게는 자신들의 예술에 대한 가치를 더욱 높이 부여할 수 있는 근간이된다. 그러므로 세계인들의 예술에 대한 평가도 그에 걸맞도록 고양되는 결과를 가져온다. 이 얼마나 바람직한 예술적 가치의 도미노현상인가...

그러나 우리 예술에 대한 세계인들의 인지도는 매우 저조한 편이라고 할 수 있다. 즉, 우리 문화의가치를 제대로 알아보지 못하고 있다는 뜻이다. (우리만 제대로 알아봐주면 되지...라는 생각은 반대다) 이러한 이유에는 우리도 큰 일조를 했다고 볼 수 있다. 우리가 우리 문화에 대한 가치를 알아보지 못하고 있기 때문에 세계인들의 시선도 우리 문화를 제대로 알아보지 못한다는 뜻이다. 한국의 예술은 역사와 사상에 근간을 두고있다. 고려의 탱화와 석가탑들이 예이며, 조선의 그림들이 그 좋은 예이다.

또한 그림을 그리던 사람은 '화공'만이 아니었다. 이름난 한국의 선비들은 물론 민화를 그렸던 이름없는 민초들이 있었고, 그들의 그림은 한국의 사상을 고스런히 담아내고 있다. 우리만의 것, 우리만의 문화를 그림에는 물론 '(도)자기'에서도 쉽게 발견할 수 있다.  

 오주석의 '한국의 미 특강'은 우리에게 우리들의 선조들이 그렸던 그림에 대한 가치를 발견하게 해준다. 그림 뒤에 숨어있는 비가시적 가치는 가시적인 그림에 투영된다. 그 눈에 보이지 않는 가치를 알아보지 못한다면 그림은 숨을 멈추게된다. 즉, 우리의 그림들은 생명을 더이상 이어가지 못한다는 뜻이다. 우리의 것에 생명을 불어넣어주어야 할 몫은 바로 그들의 후예인 우리들의 것이다. 우리가 우리의 문화가 숨을 쉬며 살아가도록 하는 것이 우리가 할 일이다. 우리의 손길을, 우리의 마음을 간절히 기다리고 있는 우리의 예술들이 많다.  

그저 우리가 알아봐주기만 하면 우리들의 문화는 비로소 그 숨을 들이 쉴 것이다. 우리의 자녀를 우리가 사랑해주지 않는다면 과연 누가 그 아이를 소중하게 여겨줄 것인가...우리의 예술도 이치가 같다. 우리의 것을 우리가 사랑해주어야 세계인들도 우리 것의 소중함을 깨닫게 될 것이라는 이야기이다. 그럴려면 우리 것에 대한 공부를 좀해야 하지 않을까....ㅠㅠ  

최근 한국의 여러가지 문화재들이 세계의 문화유산에 등재되었다. 한국의 문화가 점점 더 세계인들에게서 인정을 받고 있다는 반가운 이야기이다. 그러나 제 아무리 세계인들이 우리의 것을 인정 해준다 한들 우리가 우리의 가치를 알아보지 못한다면 무슨 소용이 있단 말인가... 이런 점에서 오주석의 '한국의 미 특강'은 우리에게 우리 것을 알아봐주는 안내자의 역할을 정녕 잘해주고 있다. 현재는 고인이된 오주석선생께서 작고하기까지 심혈을기울여준 노력은 절대로 헛된 일이 아님을 안다.  또한 한국의 많은 분들께서 오주석이 해낸 일을 인정해주기를 바란다. 정말로 오주석은 큰 일을 해낸 분이다.

늦게나마 고인의 명복을 빌며 고인의 노력에 깊이 깊이 고마운 마음을 전해드립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6)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