철학 콘서트 2 철학 콘서트 2
황광우 지음 / 웅진지식하우스 / 2009년 2월
평점 :
구판절판


철학 콘서트 1의 감동이 역시 2에서도 이어지고 있다. 2권에서는 기대하던 아리스토텔레스에 대한 지면을 할애했다.  사실 소크라테스의 제자였던 플라톤을 읽노라면 늘 가슴이 답답하곤했다. 철저한 귀족주의 중심으로 일체의 감성을 배제한 채 10세 이후부터 일체의 계획아래에서 철인으로서 통치를 하기위한 훈련을 해야한다. 플라톤에 따르면 국가는 철인이 통치해야하는데 국가를 통치하기위해서는 인간이 가지는 모든 감성을 쪽 뺀 상태에서 오로지 이성을 통해서만 정치에 개입을 해야한다.   

오죽했으면 철인은 결혼도 해서는 안된다...아니..엄밀히말하면 부부공유를 해야하는 것이다. 미쵸...워낙에 이론에 집착하던 플라톤인지라 철인과 결혼에 관한 대목에서는 웃음이 터지지 않을 수 없는 부부의 공유...플라톤이 생각하는 철인은 일체의 감정에 휘둘려서는 안된다..

또 그에 의하면 모든 사물에는 눈에 보이지 않는 비물질적인 이데아기 있어 그 이데아의 세계만이 불변의 진리인 것이 플라톤의 생각이었는데 이는 정말 감옥이 따로없다는 생각이 들곤했다. 이 감옥에서 인간을 해방시킨이가 있으니 바로 플라톤의 제자 아리스토텔레스였다. 플라톤 밑에서 공부하느라 정말 답답해서 애 깨나 먹었을 것이다. 아리스토텔레스는 이렇게 나의 답답함을 일소시켜준 인물이다. (칸트를 읽을 때나 플라톤을 읽을 때는 정말 나는 도대체 뭔가...하는 자괴감에 빠지기 쉽상이다)  

그러한 아리스토 텔레스였건만...그는 인간의 차별을 조성하였고 여성에 대한 매우 편견에 사로잡혔던 인물이었다. 여성은 마치 불완전한 존재로서 남자가 되려다 만 실패작처럼 생각했다. (이 점은 대단히...실망스러운 부분이다)  과연 그토록 머리가 똑똑했던 아리스토 텔레스도 노예를 당연하게 여겼으며 인권에 대해서는 전혀 무지했었다니...그리고 여성의 지위를 마치 불완전한 인간으로 천시하여 아리스토텔레스 이후의 세계 역사로부터 현대에 이르기까지 여성의 지위는 늘 낮게 평가되어왔다... 아리스토텔레스마저 자신이 처한 상황에서 벗어난 사고를 할 수 없었단 말인가...평등한 인간에 대한 사랑을 찾아볼 수 없는 아리스토텔레스여...당신도 어쩔 수 없는 서구인이며 편견에서 벗어 날 수 없는 존재였는가....지금까지의 여성 편견에 대한 책임을 아리스트텔레스에게 묻든다면 부당하다 말할 수 있는 철학자가 손들어보셔요~ '여성'이라는 의미의 단어도 wo-man이라는 사실을 우리는 잊지 말아야 할 것이다... 죄다 철학자들 덕분이다...

  이러한 점에서 저자가 세종대왕을 한 사람의 현자로 지목한 것은 대단히 환영할 만한 일이다. 세계의 역사는 알렉산더를 대왕이라 칭하고 있다. 우리 한국인들도 서구인이 떼들어대는 사관의 힘을 이기지 못하고 덩달아 알렉산더는 대왕이라고 알고있다. (어린이 도서인 위인전기에 알렉산더니 마르코 폴로니 아니면 에디슨이니....더욱 기도 차지 않는 인물이 있으니 바로 콜럼버스 아니던가...우리나라의 광고에도 떡하니 콜럼버스는 모험의 대가로 소개하고 있는 무지한 실정이다...그가 죽인 아메리카의 인구가 얼마인데...그는 금과 돈이 되는 모든 것을 빼앗으려 그리스도의 이름으로 아메리카의 원주민들을 학살한 살인마와 다를바가 없다...이 모든 것은 서구사관이 우리를 지배하고 있기 때문이다..) 

정복의 규모를 말하자면 알렉산더는 상대도 되지 못하는 한 사람이 있으니 그 사람은 바로 찡기즈칸이 아니던가...찡기즈칸이 정복한 나라의 수는 87개국도 넘으며 정복한 땅은 알렉산더보다 8배가 넘는 땅을 꿀꺽하지 않았던가. 차라리 그런 점에서 서구인들이 치욕으로 여기고있으며 말도 꺼내지 않은 찡기즈칸을 대왕이라 칭하는 것이 어떨까... 

그러나 알렉산도도 찡기즈칸도 대왕이라 칭할 수는 없는 인물들이라고 생각한다. 진정 대왕이란 호칭은 따로이 붙여줄 이가 있으니 바로 우리의 세종일 것이다. 세종은 알렉산더나 찡기즈칸처럼 거대한 땅을 정복했던 왕은 절대로 아니다. 오히려 왜구로부터 수많은 노략질을 당하고 중국의 권세에 눌려 외교적으로는 힘 한 번 제대로 써보지 못한 군주가 아니던가... 그런 세종을 대왕이라 칭하고 싶은 이유는 무엇인가... 

많은 분들이 이미 알고있겠지만 세종은 세게에서는 최초로 남자에게도 출산휴가를 준 군주였다. 여자 노비가 아이를 출산하면 100일의 출산 휴가를 주도록 한 장본인이었던 것이다. 과연 중세 봉건주의 시대에서 노예에게 100일의 휴가를 주라고 명을 내렸던 군주 있었으면 손들어보셔요~ 그것도 남자에게 출산 휴가를 주라고 했던 임금은??   물론 세종의 백성을 사랑하는 마음이 그얼마나 전달되었는지는 알지 못한다..그러나 법령을 그처럼 제정한 세종의 애민 사상은 소크라테스나 플라톤, 아니 아리스토텔레스에 견줄바가 아니다... 

 그럼 공자에 견주면 어떨까...사랑에 관한한 공자는 철저히 차별적인 사랑을 주장한 인물이다. 그리고 수기이안인이나 군군신신, 부부자자라는 공자의 말씀은 우리의 지배층에게 선비는 선비 다워야하고 쌍놈은 쌍놈 다워야 한다는 이상한 논리로 변질되어 버리곤 했다. 결국 공자의 사상이나 주자의 사상은 집권 세력들의 지배를 위한 논리로 교묘히 활용되고 말았다. 공자는 스스로 이혼을 했다고 한다. 그토록 예와 인을 강조하고 가르치던 인물이 자신이 갈 길 앞에서 처자는 길림돌이 되어버렸다는 이야기이다...  

세종은 절대로 사상가로 알려진 분은 아니다. 그러나 세종대왕의 정치는 그 어떤 사상가의 입에서 나오는 소리보다 더욱 목소리가 큰 애민정신이 배어있다. 봉건시대였던 15세기에 세수에 관한 결정사항을 위하여 6개월 여에 걸쳐 거의 20만에 가까운 백성들의 여론을 조사했던 군주 있으면 손을 들어보시라... 당시의 관료들은 세종 대왕의 이러한 결정에 아마도 혀를 내둘렀을 것이다. 궐에서 자기들이 어련히 알아서 잘 결정할 일을 그토록 많은 시간과 인력을 들여 미천하기 이를데 없는 백성들의 의견을 수렴해야 한다니...아마도 기가 찬 일이었을 것이다. 

이러한 여론조사는 오로지 백성의 편의를 위한 결정이었다. 조금이라도 백성들에서 편리한 방법을 모색하려는 임금의 백성에 대한 사랑이 녹아있는 정치를 하고자 했던 분이었다. 과연 알렉산더가 이처럼 했을까...아니면 찡기즈칸이나 엘리자베스가 이러한 애민정신을 가졌을까...  

오로지 세종대왕만이 했던 애민정신의 결과물이라고 밖에는...백성을 사랑하는 마음으로 한글을 창제한 일은 애써 거론 할 필요도 없을 것이다. 자...이제 세종대왕 말고 그 어떤 과거의 군주가 과연 대왕이라는 호칭을 원하려는가... 저자께서 세종대왕을 현자들이 등장하는 철학 콘서트에서 소개한 것은 아마도 이러한 세종대왕의 마음을 알아주었던 덕분이라 믿는다... 

정녕 사랑하는 마음이 어떤 것인지 그 유명한 서양의 소크라테스 에게서도 아니요, 유교의 교주인 공자의 입을 통해서도 아니요 바로 우리는 세종대왕의 실천을 통하여 배울 수 있을것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