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택트 1
칼 세이건 지음, 이상원 옮김 / 사이언스북스 / 2001년 1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수많은 영화들을 통하여 우리는 우주를 여행하는 방법에 대해서 보아왔다. 스타워즈와 스타게이트가 대표적인 영화였고 로스트 인 스페이스도 나름대로 볼만한 영화였다. 이렇듯 다양하게 제시된 방법 중에서 콘택트는 가장 근접한 방식을 제공하고 있다는 점에서 매우 가치가 있는 소설이라 하겠다.   

우주를 여행을 이해하는데는 몇가지 필요한 이론들이 있다. 그 중 콘택트에서 제시하고 있는 이론들을 약소하게 살펴보면.... 

1. 워프항법   
이는 "타임 머신+ 블랙홀"을 사용한 방법이다. 타임머신은 광속보다 빠른 속도로 항해하는 방식이다. 시간을 거슬러갈 달릴 수 있는 방법이기는 하지만 이론적인 결함이 있다. 과연 광속을 초월하는 방식의 기계를 만 들어 낼 수 있을 것인가... 

우주선을 만들되 블랙홀을 이용할 수 있도록 설계하는 것이라면 훨씬 더 이론적이며 설득력이 있을 것이다. 이는 사실상 타임머신이라고 보기는 어렵다. 우리가 알 던 타임머신은 연대를 조작해넣으면 그 시간대로 기계가 사람을 데려다주는 방식이었다. 그러므로 블랙홀을 이용하는 것이 유력한 현재의 이론을 대입해 볼 때 자체로는 결함이 있다. 블랙홀의 웜홀이 아닌 다른 방식의 이론이 나올때까지는 적어도...  

 우리는 영화에서 비교적 저속으로 날아가던 우주선들이 갑자기 광속으로 돌진하는 장면을 만난다. 한 마디로 순간적으로 워프를 하는 것이다. 현재 이 워프항법 타임머신의 이론과 다를바가 없어 설득력이 없다.    
 최근 물리학 박사 제럴드 클리버라는 사람은 워프 항법이 기존의 물리학 이론으로도 빛의 속도를 뛰어넘어 이동하는 방법이 불가능 한 것이 아니라고 주장했다. 다만, 우주의 반 중력인 암흑에너지를 이용해야 한다고 한다. 즉, 중력의 힘을 받고 있는 비행체가 암흑 에너지의 힘을 이용하여 반중력 상태로 워프를 한다는 것이다. 끌어당기는 힘에 대한 상대적인 반발력을 이용하자는 것이다.    
하여튼, 알아두어야 할 중요한 것은 현재까지 워프를 하기 위해서는 블랙홀에 접근을 해야 한다는 점이다. 빛이 휘어지는 공간이 블랙홀이고 그 곳에서 반발력을 얻어 공간 이동을 할 수 있다는 이론인데....  

  

2  웜홀 이용하기 
 3차원에서 구현해 낼 수 있는 방법을 우리는 알지 못한다. 웜홀은 4차원에서의 접근법을 요구할 것이기 때문이다. 우리는 바로 이 4차원적 접근법을 고려해야 할 것이다. 그 예를 들어주고 있는 영화가 있었다. 아주 오래전인 97년 작으로 현재까지 그 어떤 영화도 이보다 우주 여행의 방법론에서 정답에 근접한 영화는 없다고 생각한다. 바로 콘택트이다.

주인공은 분명히 베가성에 다녀왔다고 주장한다. 이 부분을 설명해줄 수 있는 이론은 상대성 이론일 것이다.
  
상대성 이론
지구인들에게는 찰나의 시간이지만 주인공이 가져갔던 카메라에는 분명 18시간 분량의 흔적을 남기고 있다. 물론 녹화된 내용은 없다. 이것은 지구의 시간과 주인공의 시간대가 달랐기 때문이다. 지구의 공전 속도가 가지는 시간의 흐름과 주인공이 웜홀을 지나며 3차원을 뛰어넘어 4차원의 공간으로 들어섰던 때의 시간의 흐름 차.... 두 시간대의 상대적인 흐름 차이가 바로 그런 결과를 가져온 것이었다.
그럼 녹화 내용이 없는 것은? 당연한 일이다. 만약 녹화내용이 남아 있는 것으로 시나리오를 잡았더라면 이는 엉터리 시나리오였을 것이다. 3차원에서 3차원적인 이론으로 만들어진 기록계가 4차원 이상의 내용을 기록해 낼 수는 없는 노릇이 아니던가...    

 

3) 오컴의 ‘면도날’ 이론

유의해 볼 대목은 오컴의 ‘면도날’ 이론이다. '모든 조건이 같은 자연에 관한 두 가지 이론이 있을 때, 간단한 쪽을 채택한다는 이론이다. 즉, 불필요한 이론이나 가설은 면도날로 잘라 내버린다는 이론으로 필연성이 없는 개념을 아예 배제시켜 버리라는 것이다. 그편이 그저 간편하기 때문만이 아니라 그편이 더 아름답기 때문이다.

 

4) 드레이크 방정식
아무도 믿어주는 이가 업자 영화 속의 주인공은 이렇게 말한다. 우리의 은하에는 천억개의 별이 있는데 (요즘은 2천 억개라고 함) 그 중 공기가 있을 확률이 백만 분의 일 또 그중 생명체가 있을 확률이 백만 분의 일...... 이런 식으로 우리 은하 안에는 적어도 백만 개의 서로 다른 문화를 가진 지적 생명체가 존재한다는...뭐 그런 것이 바로 '드레이크 방정식'이다.                        

드레이크 방정식: 
N = R* x fp x ne x fl x fi x fc x L    
 

N: 우리 은하 안에 존재하는 교신 가능한 지적 문명의 수( 알기를 원하는 값)
R*: 우리 은하 안의 생명체 탄생에 적합한 별의 발생률  = 우리은하 안의 별의 수/평균 별의 수명
fp: 그 별들이 행성을 갖고 있을 확률 (0에서 1 사이)
ne: 별에 속한 행성들 중에서 생명체가 생존 할수 있는 행성의 수    
fl: 조건을 갖춘 행성에서 실제로 생명체가 탄생할 확률 (0에서 1 사이)
fi: 탄생한 생명체가 지적 문명으로 진화할 확률 (0에서 1 사이)
fc: 지적 문명체가 다른 별에 자신의 존재를 알릴 수 있는 통신 기술을 갖고 있을 확률 (0에서 1 사이)
L: 통신 기술을 갖고 있는 지적 문명체가 존속할 수 있는 기간 (단위: 년) 

 

이 방정식을 이용하여 다시 계간값을 넣어보면 이렇게 된다.  

N =  R*              fp            ne         fl                fi           fc             L  

      10/gr          0.5            2          1               o.5          1           10000  

의 값을 대입한 결과 50,000 이라는 엄청난 값이 도출되었다. 드레이크 방적식의 값에 의하면 5만이라는 믿을 수 없는 값이 나온 것이다. 그러나 문제는 L값, 즉 L값이 작거나 너무 크다면 다면 그들의 전파를 수신 할 수 없을 지도 모른다. 특히 L값이 아주 클 경우 우리의 문명보다 훨씬 앞서가 있는 생명체일 것이다. 그렇다면 지구의 운명은...이제 다 죽은거다^ 너무 강자를 만나게 된다는 것이다. 


어쨌든 소설과 영화의 결론은 이러하다. 아직 명확하게 증명해 낼 수는 없지만 우리가 3차원에 존재하고 있는 한 우리의 3차원은 4차원에 포함되어 있고, 우리의 3차원과 4차원은 별개의 것이 아니라 어느 부분에서인가 접할 것이라는 주장을 하고 싶었던 것이다. 그러므로 우리가 우주를 여행하고 싶다면 비행선을 타고 어디론가 쉭~ 날아갈 것이 아니라 바로 우리가 있는 그 자리에서 우리와 공존하고 있지만 아직은 지각하고 있지 못하는 4차원과 만나는 접점을 찾아내는 방식일 것이라는 주장이다. 그 수송선이 바로 어디론가 떠나지 않고 주인공이 베가성에 다녀왔다는 것이 이를 암시하고 있다 하겠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