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주석의 옛 그림 읽기의 즐거움 1
오주석 지음 / 솔출판사 / 2005년 11월
평점 :
구판절판


 

그림에 관심을 가지고 흥미롭운 책들을 읽은지 꽤되어간다. 동양의 미술과 서양의 미술을 함께 읽어가는 즐거움은 아마도 미술에 관심을 두고 하나 둘씩 책을 읽어가는 즐거움을 느껴보신 분들은 잘 아실 것이다.  

서양의 그림과 동양의 그림은 그 발상이 다르고 그러므로 관점이 전혀 다르다. 생각이 다른 화가들이 그림을 그리는 결과물이 주는 차이점은 온도차가 너무나 달라 이토록 다르단 말인가...하는 생각을 떨칠 수가 없다.  

서양의 그림은 관찰자의 시각에서 출발한다. 그러므로 화가 자신이 중심이되고 모든 그림의 대상은 자기중심에서 출발하는 투시도법을 사용할 수 밖에 없다. 이 투시도법은 그림을 바라보는 시각을 한 곳에서 출발하게 한다. 단조로울 수 밖에 없다. 물론 서양의 화가들은 서양의 철학을 자신만의 필치로 담아냈다는 점이 동양의 그림과 차이점이며 동시에 공통점이라는 점을 염두에두고 읽어낸다면 성공적인 그림읽기라고 볼 수 있을 것이다. 

반면, 동양의 그림은 관찰자가 많다. 즉, 시점을 다양화하였는데 그 이유 또한 동양적인 사고에서 출발한다. 그림을 그린 사람이 주역에 통달한 경우라면 하늘과 땅의 자연의 이치와 오행의 원리를 담아 그림을 그린다. 겸재 정선의 금강산 전도가 그 대표적인 예라하겠다. 동양 그림의 시점은 자신을 벗어나 타인이 되기도하고 하늘에서 내려다보고 또 아래에서 올려다보기도하며 중간에서 바라보기도 한다. 나아가 우주의 관점이 되기도 한다. 이러한 시점을 한폭의 그림에 올올이 담아낸 화가들이 바로 우리의 화가들이었다. 이는 서양의 그림이 주는 투시도법과는 매우 다른 투시법이라 할 수 있다. 

서양화이든 동양화이든 그림을 바라보는 기본은 읽기이다. 독화의 묘미를 놓치고서는 그림을 보고있다고 말할 수 없다. 그림은 보는 것이 아니라 읽어내는 독화이기 때문이다. 시점을 읽어내고 그림을 그린이와 마치 하나가 되는 마음으로 서로의 생각을 읽어내기라도 하듯 그렇게 독화를 이해하는 것이 그림의 필수적인 감상이다.  

우리의 교과서는 왜 이런 우리 그림의 우수함을 전달하려 하지 않는 것일까...동양화와 서양화를 가르치는 교과서에서는 이러한 그림의 감상법을 충분히 가르칠 수 있다고 본다. 그러나 사실상 우리의 미술 교과서는 너무 이론적인 측면만을 강조한 나머지 학생들의 흥미를 유도하는데 실패하고 있다.   

우리 그림의 특성이 분명 서양화의 그것과는 다르다. 민족의 정체성을 더욱 배워 서구의 그것과 구별할 수 있도록 가르칠 수 있는 매우 좋은 매체는 미술일 것이다. 우리의 것을 제대로 알고 서구의 것을 안다면 우리의 것을 애지중지하는 앞으로의 세대들에게서 정체성을 잃지 않을 수 있도록 함과 동시에 자신들의 소중함을 일 깨울 수 있을 것이다. 그림 읽기의 즐거움을 몇몇 관심이 있은 사람들만 즐길 수 있도록 하는 시대의 사고를 벗어나 이제는 그 폭을 넓혀야 할 때라고 생각한다. 그런 점에서 오주석의 이 도서는 매우 가치가 높다고 생각한다. 

오주석의 옛 그림 읽기의 즐거움은 읽어본 사람들만이 알 수 있을 것이다. 그리고 많은 우리의 한국인들이 읽었으면 하는 바램은 우리의 그림이 아주아주 훌륭하기에 더욱 클수밖에 없다. 결코 읽어서 후회하지 않을 이 책이 널리 읽히기를 바라는 마음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