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제로 보는 한국사 2 - 고려편, 교양인을 위한 우리 역사 87가지 이야기
이정란 지음 / 고즈윈 / 2005년 1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요즘은 충격적인(?) 고려사 관련 도서가 나와있어 무척 흥미롭게 읽고 있는 중이다. '역사=어렵다'라는 등식을 깨는 도서인지라 더더욱 흥미롭게 읽고 있는 중에, 출간 한지는 몇년이 흘렀지만,  눈에 띄는 좋은 고려 관련 도서가 바로 이 책이 아닌가 생각한다. 

이 도서의 특징은 역사적인 긁직 굵직한 사건들을 다루기 보다는 고려인들의 삶과 생활에 중점을 두고 엮어간 도서이다. 그렇다보니 우리가 잘 몰랐던 고려인들의 생생한 삶을 만나는 듯한 반가움을 주는 책이다. 우린 지금 이렇게 살고 있는데, 고려인들인 당신들은 그렇게 사셨군요...라고 말이다.  

흔히, '역사'하면 커다란 역사적 사건을 중심으로 도서를 출간하기 쉽상이다. 고려 때 있었던 대외관계 속에서 벌어졌던 수많은 전쟁들을 중심으로 말이다. 박진감있는 내용이며 자극적인 내용인지라 어필하기 수월할지는 모르겠다. 그런데 이 도서는 그런 역사적인 획을 긋는 중심 사건을 다루고 있지는 않다.

주제는 주는 평범한 일상들과 사회 제도에서 찾아 볼 수 있는 서민적 관점이라고 보면 된다. 과거제도를 시행하면서 생긴 에피소드와 좌주와 문생간의 긴밀한 관계는 이 책을 읽는 즐거움을 더해주고 있다.  

글쟁이들의 모임이었던 죽고칠현과 시회(詩會)는 당시 고려사회의 시대적 상황을 설명하는데 좋은 소재가 되어주고 있다. 여기서 특기할 만한 사항은 이규보였다. 일반적으로 알려진 이규보의 모습은 고려의 명문장가이고, 몽골의 칩입을 진정표로 물리쳤으며, 국사책에서도 나오는 동국이상국집을 쓴 장본인으로 알려진 정도이다. 그런데 이 책을 보면 그런 이규보의 진정한 인물됨을 잘 알수 있게 해주고 있어 무척 흥미롭다. 한마디로 이규보는 최충헌의 눈도장을 찍기위해 거지 발싸개같은 짖을 서슴치 않았다. 백성들이 주린 배를 욺켜쥐고 죽어갈 때, 그 폐해를 한탄하는 기록을 남긴 인물이었지만 알고보면 백성들의 피고름을 빨아먹은 장본인 중의 한 사람이었다는 사람은 좀 충격적인 이규보의 모습이었다. 

  현대의 우리 교육 열기는 그 어느 나라보다 더 뜨겁다. 그런데 고려를 살펴보면 최초의 종합 대학이었던 '국자감'은 한 때 그 열기가 대단해 학생의 인원수가 1.000명을 넘었다고 한다. 유럽과 비교하면 수백년을 앞서는 우리 최초의 대학이었던 것이다. 물론 사립학교 였던 구재학당은 물론 12도는 고려의 뜨거운 학구열을 대변하는 기록이이다. 3명의 아들을 과거에 합격시킨 어머니께는 녹봉과 봉작이 주어졌다고 하니, 국가적으로도 학구열을 장려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이 책은 대중사회의 모습을 중심으로 서술한 책이다. 그러므로 백성들의 생활을 잘 살펴볼 수 있는 매우 좋은 도서라고 생각한다. 고려의 우리 선조들이 살아온 발자취를 안타까운 마음으로 읽지 않을 수 없었다.  

축제와 놀이 문화도 잘 소개해주고 있고, 더욱 인상적인 내용은 가족관이라고 볼 수 있다. 조선에 와서 무너진 고려의 가족관은 남자, 장자 중심 사회였다. 그러나 고려의 사위나 며느리가 대신하고, 외가쪽도 마찬가지였다. 내외를 구별하는 않고 상속및 제사 풍습은 현대인들이 배워야할 모습이 아닐까 생각하게한다. 

고려장이라는 말이 있지만, 실상과 다른 잘못 전해진 내용임을 이 책을 통해 잘 알 수가있다. 종종 잘못 전해지고 내용들을 정확하게 할 수 있는 기회를 준다.  

이성계가 위화도 회군을 하면서 고려가 조선으로 넘어가기까지의 좋은 사회적 관점의 내용을 담고 있어 친근하면서도 기꺼운 마음으로 읽을 수 있었다. 이 책을 써준 저자께 감사드린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8)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