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성룡 - 설득과 통합의 리더
이덕일 지음 / 역사의아침(위즈덤하우스) / 2007년 5월
평점 :
구판절판


 

유성룡은 나에게는 매우 매력적인 인물 중 한 분이다. 책의 뒷 표지에 써있는: 위기 돌파 능력, 비전의 제시 능력, 탁월한 국정 수행 능력, 뛰어난 외교력, 유연한 사고, 날카로운 인재 발탁 능력등 저자가 쓴대로 통합의 리더이기 때문이 아니다.  그에게는 그 보다 더 매력적인 인간적 모습이 있기 때문이다.  

그러한 능력으로 치자면 삼성의 이건희나, 히딩크는 물론 이에 못지 않는 능력을 가지고 있는 인물들은 헤아릴 수 없이 많다고 생각하기 때문이다. 그러나 이런 측면만이 인간을 매력적으로 만드는 것은 아니다.  

 유성룡은 전쟁이 끝나가는 시점에서 북인 이이첨의 탄핵 상소로 실각하기까지 파란 만장한 국정과 전쟁의 한 가운데에 서있었던 인물이었고, 전란 극복의 첨단에 서 있었지만 후대 잘 알려진 인물은 아니라고 생각한다.  

 훌륭한 인물은 유구한 우리의 역사 속에서 찾아보기 어렵지 않지만 서애 유성룡 선생이야말로 널리 알려져야할 인물이라고 생각하게 만든다. 유성룡의 정치인으로서 인물됨을 잘 알 수 있는 대목은  어느 당파에 가담하고 있기보다는 당파가 나뉘는 것을 염려하였던 몇 안되는 인물 중 한 사람이라는 점이다.  또다른 대표적인 분이 율곡 이이선생님이셨다. 

 유성룡과 친분이 있었던 이순신장군 역시 어느 당파에 휩쓸리지 않았지만 유성룡과의 친분 때문에 모진 고초를 여라차례 당하기도 했었다. 당파란 적정 수위를 넘지 않는다면 발전적인 정치 모델로 그 역할을 원활하게 해 나가겠지만, 조선의 당쟁과 같은 상황에서라면 국가의 발전은 뒷전에 두고 정권 장악에 혈안이 되어버리기 일쑤여서 조선의 백성들은 편할 날이 거의 없었다고 해도 과언은 아니었다. 

유성룡은 국가의 안위를 먼저 염려했고 당파의 화해를 위해 융곡 이이와 함께 노력했다. 그런 유성룡이 깊이 깨우침이 있었던 것은 성리학이기 보다는 오히려 앙명학이었다고 한다. 양명학은 성리학의 가르침과는 달리  

"성인의 마음은 천지만물로 일체를 삼으니 세상의 사람에 대해 내외원근의 구별을 두지않고, 무릇 혈기 있는 것은 모두 형제나 친 자식으로 여기어 그들을 안전하게 하고.... 대인은 천지 만물을 한 몸으로 삼는 자다. 그는 천하를 一家 같이 여긴다. 이는 의도적인 것이 아니라 그 마음의 仁이 본래 그러하기 때문이다..." 라는 놀라운 주장을 가지고 있었다고 한다. 

유성룡은 이 가르침에서 귀천의 차별이 없음을 알고, 전란 중에 속오군을 설치하기에 이르른다. 속오군은 양인 뿐만 아니라 천민과 양반까지도 포함하는 군대였다. 양반과 천민이 한 무리에 섞여 재낼 수 있었던 것은 바로 유성룡의 이러한 생각에서 비롯된 것이었다. 

나라를 지키는데 양반 빼고, 천민 빼고나면 지킬자가 몇이나 남겠는가...물론 이는 전시의 특수한 상화이라는 점을 감안한다면 자연스러운 일 같지만 실상은 가히 혁명적인 일이 아닐 수 없었다. 그 결과 전란이 끝나고 다수의 천민들이 그 신분에서 벗어나는 결과를 초래하고 있기 때문이다.  

이러한 유성룡의 발상은 골이 깊었던 조선 성리학 주도 하의 사회 제도의 근간을 흔드는 사건이라고 볼 수 있다. 나아가 유성룔은 율곡 이이가 건의가 불발로 끝났던 대미수공법의 실천을 강력히 주장했다. 전주들의 강력한 반발에도 불구하고 이토록 대미수공법을 추진하게된 배경에는 백성들의 생활 안정이 중요하다는 생각의 발로였다.  

 유성룡은 이런 생각에 미치자 선조에게 강력한 상소를 올린다. 가히 혁명적인 세제개혁안이라 할 수 있는 대미수공법의 엔진에 시동을 건 것이다. 공납의 폐단은 조선의 가장 고질적인 문제였다. 그러나 이러한 문제를 혀결하려고 나선 인물은 몇 안되었다. 조광조의 개혁드라이브도 실패로 끝난 상황에서 당쟁이 불꽃이 튀는 마당에 백성의 고달픈 인생을 돌볼 마음의 여유를 정치인들은 가지지 못하고 있었던 것이다. 오죽하면 거유 송시열 마저도 대미수공법에 반대를 하고 나섰을까...정말 실망 대실망의 송시열이다.  

유성룡의 강력한 드라이브로 결국 대미수공법은 간신히 실행되게 되었다. 그러나 사대부들의  반발은  거셌다. 장치 일선의 관료들은 물론 각도의 감사들과 고을의 수령들까지 들고일어서 반대를 하였다고하니 어이가 없을 뿐이다... 

그러나 유성룡을 실각시킨 서인들은 유성룡이 힘들여 만들 시스템을 역시 도루묵으로 만들어버렸다.  그 얼마나 고독하고 힘들었을까... 백성을 사랑하는 지극한 마음을 나눌 수 있은 그럴 듯한 관료들이 별로 없었으니 말이다.. 

역사는 이토록 훌륭한 선비 유성룡을 조명하려하지 않는다. 최근에서야 징비록과 서애집, 유성룡이라는 이름으로 몇종의 서적이 출간되었다. 그나마 뜻있는 사학자들의 노력이라고 하겠다. 그러나 대다수의 주류 사학자들은 자신들의 계통이 아닌 훌륭한 선조들을 아예 거들떠 보지도 않는다. 그렇게 뭍혀져가는 인물들은 이제는 새롭게 조명할 필요가 있고, 그분들께 감사하며 배움의 기회를 가질 수 있기 바라는 마음이 크다... 서애 유성룡께 깊이 감사드린다...

  이 책은 그러한 유성룔선생의 자취를 낫낫이 조명해주고 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