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중국 속 고구려 왕국, 제 - 중국 역사책에는 있지만 우리 국사책에는 없는
지배선 지음 / 더불어책 / 2007년 3월
평점 :
품절
최근 중국의 역사 왜국이 그 도를 넘어서고 있다.
만리 장성은 서쪽 감숙성의 가욕관에서 동쪽 산해관까지 이르는 약 6.350km의 길이로 1만 2천 7백리로 알려져 있었다. 동쪽 산해관으로 나 있는 장성은 바다를 만나 그곳에서 막을 내리고 있다. 만리장성은 우리 대한민국 사람들이 붙여준 이름이 아니라 중국 사학자들의 실록이며 중국인들이 붙인 이름이다.
그런데 최근 그 만리장성이 살아났다. 지난해(2009년 4월) 중국은 그 성의 길이를 죽죽 늘여서 랴오닝성의 호산산성까지로 잡았고 2.500km가 더 늘어난 8.800km 이상이라고 발표한 것이다. 만리 장성이 동물도 아닌데 그 길이가 자란 것이었다. 그러면 호산 선성은 어디인가... 바로 고구려의 박작성이 있는 곳이라고 한다. 만리장성 늘려멱기 전 그곳에서 중국 사학자들이 발굴한 결과 발표문에 따르면 '고구려의 축성법으로 쌓은 성이다'라는 기록하고 있던 곳이라는 이야기다.
고구려의 축성법과 중국의 축성법은 그 방법이 판이하게 달라 약간의 설명만 듣는다면 어느 것이 고구려의 城이고 어느 것이 중국의 城인지 일반인들고 쉽게 구별할 수 있을 정도이다. 그런데 중국은 만리정성의 길이를 과거 고구려의 영토까지 늘리고 늘려먹고 있다. 뻔한 중국 사서의 기록도 무시하고 늘려먹는 저의는 간단 명료하다. 우리의 역사 역사를 중국에 편입시켜 고구려 옛 영토 분쟁을 미연에 차단하고자 함이다.
이런 시점에서 "중국 속 고구려 왕국, 제"라는 도서에 관심이 갔다. 저자는 중국 역사서에는 있지만 우리 국사 교과서에는 없는 나라가 바로 제나라라고 했다. 그렇다면 중국의 역사서에서도 기록하고 있는 제나라를 우리는 아예 가르치려고 하지 않는 것일까...이유는 두가지 일 것이다.
첫 번 째 이유:
고구려의 유민들로 이루어졌던 齊가 존재했던 시대는 당나라 때였다. 게다가 제나라의 위치는 중국 대륙의 한 복판이나 다름없었다. 수나라와 당나라는 당시의 '고구려'를 '고려'라고 칭했다. 고구려의 연개소문도 고려 사람이라고 생각했다고 한다. 왕건도 나라를 고려라 칭했다. 문제는 중국과 고려의 국제적 관계속에서 찾아 볼 수 있다. 왕건이 창건한 고려의 왕들은 중국의 재가를 받아야만 그 권위가 섰기 때문에 중국 혼란의 시대였던 5대 10국 시대에도 제가를 받으러 중국으로 사신을 보냈던 것이다. (5대 10국으로 찢어진 중국의 어디로가서 제가를 받아야 하나....듣도 보도 못한 후주라는 나라에서 받았다고 한다...) 하여튼 고구려는 당의 눈치를 보지 않을 수 없었을 것이고, 고구려의 유민들이 이룩한 제(齊)나라에 관해서는 입도 뻥끗하지 못했을 것이다.
고려사를 쓴 조선에서도 사정은 마찬가지였다. 이성계는 죽을 때 까지 왕이라는 호칭을 사용해보지도 못하고 죽었다. 이성계가 중국 황제의 서명이 있는 허가서를 받지 못한 탓이었다. 이성계에게 내려진 호칭은 왕이 아니라 '권지국사'라는 타이틀이었다. 잠시 국사를 돌보는 사람이라는 뜻이라고 한다. (3대 임금 태종 때나 되어서야 이방원이 겨우 겨우 허락을 받아냈다. 이때 이방원이 얼마나 기뻤던지 가뜩이나 부족한 국내산 말을 죄다 가져다 중국에 바치는 바람에 말을 타고 출퇴근하던 조선의 정승들도 걸어서 다녔을정도 였다고 한다. 조선의 말이 이때 잠시 씨가 말라버렸다. 이런 젠장....)
조선도 입장은 마찬가지 였으니 고구려의 유민들이 이룩했던 齊나라에 관해서는 입을 꾹 다물어야 했던 것이다. 감쪽같이 뭍혀진 제나라...슬프다....
두 번째 이유:
고구려의 유민 이정기가 일군 제나라의 역사가 고스란히 파뭍힌 보다 실질적인 이유는 현대의 우리 역사가들이라고 본다. 고려나 조선의 입장을 생각해보면 이해할만하다. 왕의 자리를 허락받아 오르는 그 딱한 사정을 이해하고 싶다 슬프지만 말이다...(알고보면 치가 떨릴정도로 조선의 왕들은 중국에 굴욕적인 대우를 받았다.중국의 신하에게 절을 올리는 것도 모자라 왕에게 호통을 치는 정도였으니 말이다.) 차치하고...
현재 우리 사가들의 역할은 무엇일까...우리의 역사를 우리 국민에게 제대로 알리는 것이 이들이 할 일이 아닐까...국제적으로 우리 역사를 떠들어 주는 것은 바라지도 않는다. 제발...우리 역사를 우리 역사가들이 왜곡하지만 말았으면 좋겠고, 우리가 오히려 잘못 알고 있는 부분을 바로 잡아주고, 더 알아야할 우리들의 역사를 공부해서 제대로 알려주기만해도 좋겠다. 그것이 역사가로서 최소한의 역할이 아닐가 하는 생각에서이다. 그런 역사가들이 너무 게으른 것인가. 아니면 그어떤 말 못할 이유라도 있는 것인다....
고구려의 유민들을 모아 제나라를 세우고, 당나라을 위태로운 지경까지 몰고갔던 이정기와 그 후손인 이사고, 이사도를 우리가 드라마를 통해서 알아야 하는 것인가 하는 안타까움이 밀려온다...
중국은 자신들의 선조 역사가들이 남긴 실록을 왜곡하기를 서슴치 않고 있다. 조만간 '만리장성'이 '2만리 장성'이 될 판이다. 자신의 역사를 스스로 부정하면서까지 우리 역사를 편입시키려는 의도를 우리는 알고 있다.
그런 와중에 그나마 이 책은 실존했던 우리 역사의 일부인 제나라의 존재를 우리에게 알려주는 기회를 우리에게 제공하고 있다. 지금은 비록 중국의 영토에 속해있지만 제나라도 우리 역사의 일부인 것을 부인 할 수는 없는 일이 아니던가...저자의 제나라 알리기는 이런 점에서 의미가 크다고 할 수 있다고 본다. 제나라는 나에게 안타까운 우리의 역사이다. 그리고 다시 한 번 역사를 돌이켜 보는 좋은 계기가 되었다....
마지막으로 한가지만 덧 붙이자면, 齊나라는 당나라에 조세를 내지 않았던 자주적이며 독립적인 꼿꼿한 나라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