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태종 조선의 길을 열다 ㅣ 이한우의 군주열전
이한우 지음 / 해냄 / 2005년 11월
평점 :
부제는, '조선의 길을 열다'이다.
태종 이방원에 대한 견해는 일반적으로 부정적인 측면이 있는 듯 하다. 이 책을 읽기 전에도, 이 책을 읽고 난 후에도 역시 마음은 교차한다. 이성계가 회군을 결정하는 순간 조선은 명의 주변국으로 전락하고 대국을 섬긴다는 사대의 명분으로 입장이 바뀐다. 사실상 반란을 일으킨 것이다. '소국이 대국을 침은 불가하다'는 것이 회군의 첫째 지론이고보니, 명나라의 연호인 홍무를 사용하고, 의복도 명나라식으로 바꾸어 입는다. 약소국의 현실이여...
이방원은 고려의 충신으로 일컫는 정몽주등과 이복 형제들을 주살하고 조준, 하륜, 조영무등과 함께 자리를 차지한다. 이때, 권력의 중심에 있던 삼봉 정도전도 함께 주살시킨다. 정도전의 생각은 그 어떤 선비보다 진보적이었다. 정도전은 맹자의 사상을 전적으로 수용하여 백성을 위한 정치를 꿈꾸고 있었다. 왕은 백성을 위해 있어야 한다는 생각을 가지고 있었다. 정도전은 그에게 위험한 인물이었을 것이다. 정도전이 백성을 위해 일할 기회를 없애버린 것은 아쉬움으로 남는다.
태종은 왕권을 강화하기 위한 여러가지 조치들을 행한다. 이 도서는 그러한 일련의 과정들을 비교적 상세히 기록하고 있다. 왕권을 아들 세종에게 물려줄 때까지 피도 눈물도 없는 독재자로서의 면모를 보여주고 있다. 밖으로는 명나라에 끊임없이 사대를 해야 했으며, 안으로는 왕권을 강화시켜 나갔던 군주 태종. 세종의 장인 심온을 제거하기까지에는 외척에 대한 경계를 위함이라고 했다. 그 덕분에 세종은 집권 기간동안에 단 한명의 신하도 그 목숨을 빼앗는 일이 없었다고 한다.
특기 할만한 사항은 태종이 집현전을 설치하여 세종의 통치력에 힘을 실어준 부분이다. 왕의 측근과 심복을 직접 육셩하여 왕권을 강화시켜 나가라는 아버지의 뜻일 것이다. 덕분에 세종은 비교적 어려움이 없이 국정을 살피며, 농사, 방위력, 기술 개발등에 힘쓸 수 있었을 것이다.
그러나, 그 수많은 사람들을 희생시켰어야 할까...치세하에서 너무나 많은 사람들에게 죽음을 내렸으니, 그 중에는 억울하게 죽어간 이들이 그 얼마나 되었을까... 태종은 타협을 모르는 사람이었다. 자신의 뜻과 같지 않은 신하에게는 바로 죽음을 내렸다. 그야말로 공포정치를 편 셈이다. 대를 위해서는 꼭 소의 희생이 반드시 필요한 것인가.... 왕이 되어보지 못한 나로서는 여전히 그 입장을 이해하기란 쉬운 일이 아니다...
여하튼, 이 도서는 왕으로서 태종의 일대기나 다름없는 책이다. 이성계가 회군하여 쿠데타를 일으키기부터 세종에게 왕위를 넘겨주기까지 태종의 활약상을 그린 책이다. 저자는 비교적 태종에게 호의적인 입장으로 글을 썼다고 본다. 기왕에 쓰는거, 역사학자로서 좀더 분별력을 가진 중립적인 입장에서 냉철하지 못했다는 점이 아쉽다. 저자의 사관 정리되지 못한 상태에서 저술을 하다보니 때로는 일반인의 시각을 벗어나지 못한 관점을 보여주기도하고, 때로는 편협한 사관을 보여주기도 한다. 이런 점에서 저자의 사관은 독자에게 크게 도움이 되지는 못하겠으나, 역사 공부에 어느 정도 역량을 가진 독자라면 충분히 극복 할 수 있는 문제라고 본다 .처음 접하는 독자라면 찬성하고 싶지 않지만 태종을 집중 조명한 도서가 많지 않은 점을 고려해 볼 때, 취할 것은 취하고, 버릴 것은 버리는 현명함이 있다면 그리 문제될 것은 없다고 본다.
우리가 몰랐던 조선 초기의 국가제도등을 비교적 잘 설명해놓고 있어 얼마든지 미루어 짐작 할 수 있는 여지가 많다. 양서로 보기는 어려움이 있겠으나 충분한 가치는 반드시 얻는다고 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