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뮌헨: 전쟁의 문턱에서Munich – The Edge of War>를 넷플릭스에서 봤다. 로버트 해리스의 역사소설 <Munich>를 원작으로 한 영화이다. 영화 <1917>에서 영국군의 공격취소 소식을 전하기 위해 고군분투하는 병사 역할을 맡았던 조지 맥카이가 주인공으로 다시 나와 반갑다. 또 다른 주인공인 네빌 체임벌린 영국 총리의 역할은 제레미 아이언스가 맡았다.
뮌헨은 독일 남부의 도시로서 1930년대 당시 독일 나치당의 본거지였다. 1938년, 히틀러를 비롯하여, 이탈리아의 무솔리니, 영국의 체임벌린, 프랑스의 달라디에 총리는 뮌헨에 모여 체코의 주데텐란트 지역을 독일에게 할양하는 협정을 맺었다. 히틀러의 체코 침공을 막기 위해서였다. 사실 히틀러는 전쟁을 원하고 있었지만, 이 협정에 따라 전쟁을 일으키지 못하고 1년 후 폴란드를 침공함으로써 결국 제2차 세계대전을 일으킨다. 협정으로 평화가 단 1년 정도만 지속되었으며 양보가 히틀러의 야욕을 오히려 북돋아준 것으로 치부되어, 이후 ‘뮌헨’이란 단어는 유화주의자들을 비난하는 의미로 종종 사용되었다. 또한 영국의 체임벌린 총리는 나약한 지도자의 전형으로 언급되곤 한다.
영화 <뮌헨>은 다른 관점을 우리에게 알려준다. 전쟁을 1년 연기함으로써, 영국—그리고 연합국—이 전쟁을 준비할 시간을 벌어 주었다는 것이다. 이러한 관점은 잘 알려지지 않았지만 역사가들이 당시의 상황을 검토하여 옳다고 인정하는 것이다. 실제, 체임벌린 총리 시절 승인되어 생산된 전투기들이 이후 전쟁에서 핵심적 역할을 하게 됨이 <영국 전투>에 언급되어 있다. 1939년에 독일이 결국 폴란드를 침공한 이후 체임벌린은 물러나고, 처칠이 총리가 되어 전쟁을 지휘하게 된다. 당시 대독일 전쟁의 분수령이었던 영국 전투(영국 항공전)에서 처칠과 그의 주변 인물들의 이야기를 모은 <폭격기의 달이 뜨면The Splendid and the Vile>이 최근 출간되어 관심을 끈다.
강경파들의 주장은 겉보기에는 시원하고 듣기에 좋다. 더 이상 참을 수 없으니 전쟁을 불사해야 한다는 주장은 요즘에도 종종 들을 수 있다. 하지만 전쟁은 기분만으로 일으킬 수 있는 것이 아니다. ‘선제 타격’이라는 위험한 말을 요새 대통령 후보라는 사람도 하고 있다. 그러면서 현 정부를 ‘종북’이라고 비난한다. 하지만 전쟁을 피하고 평화를 유지하는 일은 듣기에만 좋은 말을 내뱉는 것보다 훨씬 어렵고 중요한 일이다. 전쟁을 피하고 평화를 가져오는 일의 어려움을 네빌 체임벌린은 우리에게 다시 한 번 알려준다. 그는 독재자와 타협했다는 오명을 썼지만, 결국 영국의 승리를 위한 초석을 닦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