개소리에 대하여
해리 G. 프랭크퍼트 지음, 이윤 옮김 / 필로소픽 / 2023년 8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결국 이런 책까지 읽게 됐다. <개소리에 대하여>. 도대체 헌재에서 대통령측이 떠드는 이 말도 안되는 발언들을 어떻게 받아들어야 하는지, 도대체 무슨 생각인지 알고 싶었다. 저자는 '거짓말'과 '개소리(bullshit)'의 차이가 발화자가 진실을 의식하느냐, 아니면 무관심하냐에서 온다고 말한다. 거짓말을 하는 사람은 적어도 진실이 있다는 것을 인식하고 이와는 반대되는 말을 한다. 하지만 개소리쟁이는 진실에 무관심하다는 점에서 더욱 해악을 끼치는 존재라고 할 수 있다. 더욱이 거짓말쟁이는 자신의 거짓말을 그럴 듯하게 꾸미려고 노력이라도 하고 만약 들통이 날 경우에는 부끄러워할 줄 안다. 하지만 개소리쟁이는 그런 노력조차 하지 않는다. 누가 사실을 지적해도 부끄러워하지 않는다. 그는 사실에, 진실에 무관심하기 때문이다. 이런 개소리를 왜 하는 것일까. 상황을 모면하기 위해서이고, 정치적으로는 적과 동지를 나누어 선동하기 위해서이다. 마지막 부분은 본문 뒤에 실린 옮긴이의 글에 나온다. 옮긴이는 '권력형 개소리'의 예로 트럼프와 윤석열의 사례를 든다. 또한 돈을 벌기 위한 '산업화된 개소리'가 종편과 유튜브에 판치고 있음을 개탄한다. 옮긴이는 정치적 개소리의 해악으로 타자에 대한 멸시를 든다. 


손바닥만한 크기에 페이지도 얼마 안 돼 금세 읽을 수 있다. 원저는 1986년 발표된 논문에 바탕을 둔 책이라는데, 2005년 출간된 후 정치적 개소리의 만연과 더불어 미국에서 큰 인기를 끌었다고 한다. 우리나라엔 2016년 처음 번역됐다. 옮긴이의 글에 '바이든, 날리면'이 정치적 개소리의 예로 소개되는데, 아마 2023년 재출간되며 추가된 듯싶다. 개소리가 정치적 언어를 이렇게 오염시키기 전에 출간된 본문에는 정치적 사례는 하나도 언급되지 않는다. 비트겐슈타인의 일화가 언급되는 철학적 논설이다. 


다음은 본문의 일부:


그것[개소리의 본질]은 바로 진리에 대한 관심에 연결되어 있지 않다는 것, 즉 사태의 진상이 실제로 어떠한지에 대한 무관심이다. (38페이지)

그[개소리쟁이]가 반드시 우리를 기만하려고 시도하는 것은 그의 기획의도enterprise이다. 개소리쟁이에게 유일하게 없어서는 안 될 독특한 특징은, 그가 특정한 방식으로 자신의 속셈을 부정확하게 진술한다는 사실이다. (57페이지)

오늘날 개소리의 확산은 또한 다양한 형태의 회의주의 속에 보다 깊은 원천을 두고 있다. 회의주의는 우리가 객관적 실체에 접근할 수 있는 어떤 신뢰할 만한 방법을 가질 수 있다는 것을 부정한다. 따라서 그것은 사태의 진상이 어떠한지를 인식할 가능성을 부인한다. 이러한 ‘반실재론적’ 신조는 무엇이 참이고 무엇이 거짓인지를 결정하기 위해 사심없이 노력하는 것이 가치 있는 일이라는 확신을 무너트리고, 심지어 객관적 탐구라는 개념이 이해 가능한 개념이라는 믿음을 약화시킨다. (67페이지)



댓글(6) 먼댓글(0) 좋아요(2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cyrus 2025-01-27 09:24   좋아요 2 | 댓글달기 | URL
제가 이 책을 읽었을 때 대통령은 그네였어요.. ^^;;

blueyonder 2025-01-27 11:26   좋아요 0 | URL
그때만 해도 우리나라 정치가 이 정도까지는 아니었던 것 같습니다. 평안한 명절 보내세요~

서곡 2025-01-27 10:30   좋아요 2 | 댓글달기 | URL
그니까요 언감생심 윤리까진 바라지도 않지만 최소한의 형식논리도 없는 말들이 판치더라고요 정말 가지가지 한다 싶습니다 연휴 잘 보내시길요!

blueyonder 2025-01-27 11:27   좋아요 1 | URL
서곡 님, 감사합니다! 즐거운 연휴 보내세요~

그레이스 2025-02-24 09:34   좋아요 1 | 댓글달기 | URL
저도 이 책 봤습니다.
여기서 보고, 도서관에서 빌려다 봤어요.
지금 상황에서 100% 공감되는 말들만!
거짓말을 얼굴색도 안바뀌고 하는 데 분노보다는 웃음이 나오는 건 왜일까요?ㅠㅠ

blueyonder 2025-02-24 13:20   좋아요 1 | URL
슬픈 현실이고, 그럴수록 정신 바짝 차려야겠다는 생각을 합니다.
그레이스 님, 좋은 오후 보내세요~
 
A Brief Eternity : The Philosophy of Longevity (Hardcover)
파스칼 브뤼크네르 / Polity / 2020년 1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잘 늙어가는 방법'에 대한 레시피라기보다는 '늙어감'에 대한 일반적 감상과 의미에 대한 책이라고 보는 것이 맞겠다. 난 사실 전자라는 생각을 하며 읽기 시작했다. 다 읽고 나서 느끼는 것은 늙어감에 대한 슬픔이다. 이건 아무리 어떤 철학적 의미를 붙여도 어쩔 수 없다.


어느 누구도 피할 수 없는 늙어감과 죽음에 대해 생각해 본다면, 나에게 주어진 삶에 대해서도 다시 한 번 생각해 볼 수 있는 계기가 되지 않을까 싶다. 예전에 이 책을 읽기 시작하며, 나이 50이 되지 않은 이들은 이 책을 읽지 말기를 바란다고 썼는데, 다 읽고 난 지금은 생각이 좀 바뀌었다. 내게도 올 노년을 생각하며, 지금의 노년들을 이해하길 바란다면, 그리고 지금의 삶을 좀 더 충실히 살 계기를 마련하길 바란다면, 이 책을 읽어도 좋을 것 같다. 하지만 젊음이 괜히 젊음인가? 그렇게 삶에 신중하다면 아마 젊음이 아닐 것이고, 아마 누가 뭐래도 이 책을 읽지 않을 것이다.


행복한 노년에 대한 답은 이미 널리 알려져 있다. 날마다 감사하며, 사랑하는 사람과 친구에게 둘러싸여 사는 것, 호기심을 잃지 않고 세상을 계속 알아가려고 노력하는 것, 그리고 베푸는 것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My death is a horrible formality; the death of the people I love is an ontological catastrophe. The gradual extinction of persons dear to us as we grow older depopulates the world and makes the survivor an anachronism in an empty universe. "Living a long time means surviving many persons," said Goethe. So all that we are allowed is a brief eternity. As long as we love, as long as we create, we remain immortal. We have to cherish life enough to accept that one day it will leave us and hand over its enjoyment to the following generations. (p. 190)

  If a childhood is by nature ungrateful, that is because it needs all its strength to construct itself; gratitude comes later, when we feel capable of being disinterested and making sacrifices. Life is simultaneously a gift and a debt: an absurd gift given us by Providence and a debt that we have to repay to those close to us. There comes a time when we have to return to our family, our friends, our parents, our homeland, the benefits they have lavished on us. We don't repay our life debts; we recognize them, and honor them by taking care of our descendants in turn. The day when the debt is extinguished is also the day when life is extinguished, when we can no longer give or return anything to others, and we become, through death, the prey of the living. (pp. 195-196)

...We remain free only by immersing ourselves among others -- brothers, friends, companions, parents -- always curious, never resigned. We will lose our corporal envelope, disappear in the flux, become ashes once again. So what? We have always been transitory, part of a whole that transcends us. Let us rejoice to have continued to live and still to be able to enjoy the bounties of this world.

  In the evening of life, however happy or painful it may be, we gauge the good fortune we've been given. We have been simultaneously hurt and fulfilled. Many of our prayers have not been heard; others, which we haven't formulated, have been granted a hundred times over. We have gone through nightmares and received treasures. Life has been cruel as well as heady and opulent.

  The only word we ought to utter every morning, in recognition of the gift we have been given, is: Thanks.

  We were owed nothing.

  Thanks for this mad grace. (p. 197)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 Is stubbornly persisting in being, encumbering the planet with one's presence for centuries, really necessary? One cannot help thinking of Odysseus' paradox: taken in by the nymph Calypso after a shipwreck on his way back to Ithaca, he is cared for, fed and loved for seven years by his hostess, whose lover he becomes. Then Calypso proposes to make him immortal. But Odysseus, weeping on the seashore, dreams of returning to his family. Calypso is tiring him out, forcing him to make love to her every night. Even if his Penelope is not as splendid as the goddess, he wants to go home, to see his native land and people again. The attraction of the familiar is stronger than the seductiveness of the unknown. (p. 161)

... It is the brevity of existence that is the true miracle, not the phantasmagorical construction of religions promising us beatitude -- that is, from our point of view, an endless dullness... If there is an eternity, it is here and now, where we live. (p. 162)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존엄하게 산다는 것 - 모멸의 시대를 건너는 인간다운 삶의 원칙
게랄드 휘터 지음, 박여명 옮김, 울리 하우저 / 인플루엔셜(주) / 2019년 5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신경생물학자인 저자로부터 뇌의 가소성(plasticity)에 대해 배웠다. 나와 남의 존엄을 지키며 살자는 주장은 어찌 보면 당연해서 새로울 것이 별로 없다. 결국 모든 것은 실천의 문제이다. 책을 읽으며 별 재미를 느끼지 못해서, 내가 생물학이나 뇌과학에 별 관심이 없다는 것을 다시금 확인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