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모비 딕> 하권을 읽고 있다. 피쿼드호는 이제 아프리카 남단을 돌아 인도양에 진입했으며 향유고래 한 마리 사냥에 성공했다. 읽다보면 이해가 안 되는 부분들이 가끔 나온다. 원문을 찾아보며 이해해 보고자 한다. 인용문의 밑줄은 모두 내가 추가한 것이다. 


사냥하여 죽인 향유고래를 어떻게 해체하는지에 대한 설명이다(67장). 고래는 배 옆에 고정되어 있다. 고래 가죽을 벗기는 과정에 대한 얘기. 


  제일 먼저, 으레 녹색을 칠하는 도르래의 여러 육중한 장치들 중에서 커다란 절단용 도르래는 혼자서 도저히 들 수 없을 만큼 무겁다. 이 엄청난 포도송이를 휘청휘청 주 돛대까지 끌어 올린 다음 갑판에서 가장 튼튼한 뒤쪽 돛대 꼭대기에 단단히 묶는다. 이제 이 복잡한 장치를 들고 나는 닻줄 같은 밧줄 끄트머리를 양묘기에 연결하고, 도르래의 커다란 아래쪽 토막을 고래를 향해 내리는데 여기에는 무게가 50킬로그램에 달하는 커다란 갈고리가 달렸다. (40 페이지)


도르래 뭉치를 돛대에 고정하는 설명이다. 밑줄 친 부분을 보면 도르래 뭉치를 주 돛대까지 끌어올린 후 뒤쪽 돛대 꼭대기에 묶는다고 나온다. 주 돛대로 끌어올린 후 왜 뒤쪽 돛대에 묶지? 뭔가 머리에 잘 떠오르지 않는 그림이다. 다음은 원문이다.


  In the first place, the enormous cutting tackles, among other ponderous things comprising a cluster of blocks generally painted green, and which no single man can possibly lift—this vast bunch of grapes was swayed up to the main-top and firmly lashed to the lower mast-head, the strongest point anywhere above a ship's deck. The end of the hawser-like rope winding through these intricacies, was then conducted to the windlass, and the huge lower block of the tackles was swung over the whale; to this block the great blubber hook, weighing some one hundred pounds, was attached. (p. 330)


원문에서는 main-top으로 끌어올린 후 lower mast-head에 고정시킨다고 나온다. main top이 주 돛대의 어느 부분이라면 lower mast-head는 주 돛대의 아래 부분이라고 생각하는 것이 타당할 것이다. 뒤쪽 돛대가 아니라 같은 주 돛대에 고정시키는 것이다. 이렇게 생각하면 이상한 부분이 해소된다. 


그 다음 이상한 부분은 피쿼드호가 항해 중 만난 제로보암호의 고래—모비 딕—사냥 이야기(71장)에 나온다. 고래 사냥은 고래잡이 배에서 내린 작은 보트를 타고 한다(61, 62장 등에 설명이 나와 있다). 이 보트에는 중요한 역할을 하는 2명이 있는데, 한 명은 항해사가 맡는 보트장이고 다른 한 명은 작살잡이다. 보트장은 보트 뒤쪽에서 키를 잡으며 보트에 탄 선원들—노잡이—를 지휘하여 보트를 고래가 있는 곳으로 가게 한다. 보트가 고래에 접근하면 보트 앞에서 다른 선원들과 함께 노를 젓던 작살잡이가 일어나 밧줄에 연결된 작살을 고래에게 던진다. 작살이 고래에게 명중하면 고래는 도망치려고 한다. 하지만 작살이 단단하게 박혔다면 고래는 결국 한참을 도망치려 시도하다가 힘이 빠져 수면으로 떠오르게 된다. 그러면 보트장은 작살잡이와 자리를 바꿔 보트 앞으로 가서 고래를 창으로 마구 찔러 숨통을 끊는다. 바다가 피로 물드는 잔인한 장면이다. 그런데 다음 장면을 보자. 


항해사 메이시가 보트 앞머리에 서서 자기 부족 특유의 거침없는 에너지로 고래를 향해 격렬한 외침을 토해 내며 작살을 던질 기회를 노리는데, 이런! 커다란 흰 그림자가 바다에서 솟구치더니 부채질이라도 하는 것처럼 재빠르게 움직이는 모습에 노잡이들은 잠시 숨을 죽였다. (59 페이지)


고래는 이미 작살을 맞았다(몇 줄 위에 “마침내 작살 하나를 깊숙이 꽂는 데 성공했다”고 나온다). 그런데 이 고래에게 항해사가 다시 작살을 던질 기회를 노린다니? 원문은 이렇다. 


Now, while Macey, the mate, was standing up in his boat's bow, and with all the reckless energy of his tribe was venting his wild exclamations upon the whale, and essaying to get a fair chance for his poised lance, lo! a broad white shadow rose from the sea; by its quick, fanning motion, temporarily taking the breath out of the bodies of the oarsmen. (p. 345)


항해사는 작살(harpoon)을 던질 기회를 노리는 것이 아니라 창(lance)으로 찌를 기회를 노리고 있는 것이다. 


그 다음 부분. 제로보암호의 선장 일행이 타고 온 보트로 편지를 건네주려고 하는 장면이다. 몇 년씩 항해하는 고래잡이배들은 서로 편지를 싣고 와 전해주기도 한다. 제로보암호에 전염병이 돌아 보트 위의 사람들은 피쿼드호로 올라오려 하지 않는다. 


그[에이해브]가 편지를 들여다보는 동안 스타벅은 길쭉한 삽자루를 가져왔는데, 칼로 끝을 살짝 찢은 편지를 삽자루에 끼워 보트를 배에 더 가까이 대지 않고도 넘겨받을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였다. (61 페이지)


뭔가 부자연스럽다. 편지 끝을 칼로 살짝 찢어 삽자루에 끼운다니? 다음은 원문.


As he was studying it out, Starbuck took a long cutting-spade pole, and with his knife slightly split the end, to insert the letter there, and in that way, hand it to the boat, without its coming any closer to the ship. (p. 346)


원문을 보면 칼로 삽자루 끝을 조금 쪼개 그 틈에 편지를 끼워 보내려 함을 알 수 있다. 훨씬 자연스럽고 튼튼한 고정 방법이 아닌가? 왜 편지 끝을 찢어 끼운다고 했는지... 


이 장의 마지막 부분이다. 이제 제로보암호는 떠났다. 그런데...


  막간극이 끝난 후 고래 가죽을 벗기는 일을 다시 시작한 선원들은 이 엉뚱한 사건과 관련된 기이한 얘기들을 한참 주고받았다. (62 페이지)

 

“고래 가죽을 벗기는 일”을 다시 시작했다고 나온다. 고래 가죽은 이미 다 벗겼고 고래 몸통은 떠내려 보낸 후인데 다시 고래 가죽 벗기는 일을 한다니? 


  As, after this interlude, the seamen resumed their work upon the jacket of the whale, many strange things were hinted in reference to this wild affair. (p. 347)


원문은 고래 가죽을 벗기는 일을 다시 하는 것이 아니라 ‘고래 가죽에 하는 일’을 다시 시작했다고 나온다. 고래 가죽 해체 작업이라고 하는 것이 맞겠다. 다시 가죽을 벗긴다고 하니 헷갈린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6)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그러다 이윽고 휴일처럼 유쾌한 날씨가 펼쳐졌고, 따뜻한 기운이 지저귀는 새처럼 마음을 끌어당겨 그의 우울함을 조금씩 풀어 주는 듯했다. 4월과 5월이 발그레한 볼을 하고 춤추는 소녀처럼 춥고 염세적인 숲에 찾아오면 제아무리 헐벗고 거칠고 벼락에 갈라진 늙은 참나무일지라도 이 유쾌한 손님을 맞이하기 위해 푸른 싹을 최소한 몇 개는 틔울 것이기 때문이다. 그래서 에이해브도 마침내 소녀 같은 공기의 쾌활한 유혹에 약간은 반응을 보였다. 다른 사람이었으면 미소의 꽃이 활짝 피었을 테지만, 희미하나마 꽃봉오리 같은 표정을 지은 적도 여러 번 있었다. (218~219 페이지)


크리스마스에 출항한 피쿼드 호가 남쪽으로 항해하며 점점 따뜻한 날씨를 맞이하고 있다. 칩거하던 에이해브 선장의 우울한 기분도 덩달아 조금 나아짐을 재밌게 묘사하고 있다. 


  Nevertheless, ere long, the warm, warbling persuasiveness of the pleasant, holiday weather we came to, seemed gradually to charm him from his mood. For, as when the red-cheeked, dancing girls, April and May, trip home to the wintry, misanthropic woods; even the barest, ruggedest, most thunder-cloven old oak will at least send forth some few green sprouts, to welcome such glad-hearted visitants; so Ahab did, in the end, a little respond to the playful allurings of that girlish air. More than once did he put forth the faint blossom of a look, which, in any other man, would have soon flowered out in a smile. (p. 136)


- warble: (of a bird) to sing pleasantly [https://dictionary.cambridge.org/]



댓글(1) 먼댓글(0) 좋아요(10)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2025-08-28 16:23   URL
비밀 댓글입니다.
 















낸터킷으로 떠나기 전 들린 예배당에서, 먼저 스러진 고래잡이들을 기리는 대리석 추도비를 보며 떠올리는 이슈마엘의 상념. 


  낸터컷으로 떠나기 전날 대리석 추도비를 보는 내 심정이 어떠했으며, 어둡고 우울한 날의 음산한 빛 속에서 앞서 간 고래잡이들의 운명을 읽는 마음이 어땠는지는 굳이 말할 필요가 없으리라. 맞아, 이슈마엘. 저게 바로 네 운명이 될 수도 있어. 하지만 웬일인지 나는 다시 명랑해졌다. 배에 오르라는 기꺼운 권유이자 출세를 위한 좋은 기회처럼 보였다. 구멍 뚫린 보트는 나를 불멸의 존재로 단번에 진급시켜 줄 것 아닌가. 그래, 고래잡이는 죽음을 불사하는 일이야. 입술 한 번 달싹할 틈 없는 순간적인 혼란 속에서 사람들을 영원에 던져넣지. 하지만 그 다음엔? 내가 보기에 우리가 생사의 문제를 대단히 잘못 생각해 온 듯하다. 내가 생각하기엔 이승에서 그림자라고 부르는 게 실은 나의 실체인 듯하다. 또 영적인 것을 보는 우리는 물속에서 태양을 보며 탁한 물을 더없이 맑은 공기라고 생각하는 굴조개와 흡사하다. 내 생각엔 몸뚱이는 더 나은 실체의 찌꺼기에 불과하다. 몸뚱이 따윈 누구라도 가져가라지. 가져가라니까. 이건 내가 아니라고. 그러니 낸터컷을 위해 만세 삼창을 부르자. 그리고 배나 몸뚱이에는 언제 구멍이 뚫리더라도 상관없어. 내 영혼은 제우스가 온다 해도 뚫을 수 없을 테니까(85~86 페이지)


  It needs scarcely to be told, with what feelings, on the eve of a Nantucket voyage, I regarded those marble tablets, and by the murky light of that darkened, doleful day read the fate of the whalemen who had gone before me. Yes, Ishmael, the same fate may be thine. But somehow I grew merry again. Delightful inducements to embark, fine chance for promotion, it seems—aye, a stove boat will make me an immortal by brevet. Yes, there is death in this business of whaling—a speechlessly quick chaotic bundling of a man into Eternity. But what then? Methinks we have hugely mistaken this matter of Life and Death. Methinks that what they call my shadow here on earth is my true substance. Methinks that in looking at things spiritual, we are too much like oysters observing the sun through the water, and thinking that thick water the thinnest of air. Methinks my body is but the lees of my better being. In fact take my body who will, take it I say, it is not me. And therefore three cheers for Nantucket; and come a stove boat and stove body when they will, for stave my soul, Jove himself cannot. (p. 42)


육체는 스러질지라도 영혼은 영원히 남는다는 믿음. 



댓글(2) 먼댓글(0) 좋아요(11)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서곡 2025-07-02 13:14   좋아요 1 | 댓글달기 | URL
안녕하세요 저도 열린책들 번역으로 모비딕 완독했는데요 읽을 땐 좀 징글징글하기도 했는데 다시 읽고 싶어지기도 하네요 만일 또 읽는다면 딴 역자 걸로 보는 게 더 낫겠지요 많이 더워졌어요 7월 잘 보내시기 바랍니다!

blueyonder 2025-07-02 13:27   좋아요 1 | URL
안녕하세요, 서곡 님~ 첫 몇 장 보고 마음에 들어서 열린책들 번역을 선택했는데요, 읽다 보면 꼭 100퍼센트 마음에 드는 것은 아니네요. 그래도 비교적 간결히 잘 번역된 듯 싶습니다. <모비딕>이 워낙 번역본이 많기 때문에 또 읽으신다면 다른 역자의 번역을 선택하셔도 좋을 것 같습니다.

제가 책을 이것저것 많이 펴놓고 읽는지라 <모비딕>은 진도가 너무 늦네요. 그냥 영문판과 가끔씩 비교하며 읽으려고 합니다.

무더운 7월이 시작됐네요. 건강한 여름 보내시기 바래요~~
 















미국문학사상 가장 뛰어난 반전소설 중 하나로 평가 받는 <Catch-22>. 블랙 유머와 부조리한 상황이 도처에 있다. 시간적 순서가 뒤섞여 있을뿐더러 저자의 현란한 영어 구사 때문인지 잘 읽히지 않아 오랫동안 붙잡고 있다. 풍자와 부조리는 좀 덜하지만 책의 분위기를 엿볼 수 있는 급박한 장면 하나를 다음에 옮겨 놓는다. 주인공은 폭격수인 Yossarian이다. 다음 장면에서 그는 임무 수행을 위해 B-25 폭격기를 타고 대공포화 속을 비행 중이다.


... Then he realized he was sopping wet. He looked down at his crotch with a sinking, sick sensation. A wild crimson blot was crawling upward rapidly along his shirt front like an enormous sea monster rising to devour him. He was hit! Separate trickles of blood spilled to a puddle on the floor through one saturated trouser leg like countless unstoppable swarms of wriggling red worms. His heart stopped. A second solid jolt struck the plane. Yossarian shuddered with revulsion at the queer sight of his wound and screamed at Aarfy for help.

  "I lost my balls! Aarty, I lost my balls!" Aarfy didn't hear, and Yossarian bent forward and tugged at his arm. "Aarfy, help me," he pleaded, almost weeping. "I'm hit! I'm hit!"

  Aarfy turned slowly with a blind, quizzical grin. "What?"

  "I'm hit, Aarfy! Help me!"

  Aarfy grinned again and shrugged amiably. "I can't hear you," he said.

  "Can't you see me?" Yossarian cried incredulously, and he pointed to the deepening pool of blood he felt splashing down all around him and spreading out underneath. "I'm wounded! Help me, for God's sake! Aarfy, help me!"

  "I still can't hear you," Aarfy complained tolerantly, cupping his podgy hand behind the blanched corolla of his ear. "What did you say?" 

  Yossarian answered in a collapsing voice, weary suddenly of shouting so much, of the whole frustrating, exasperating, ridiculous situation. He was dying, and no one took notice. "Never mind."

  "What?" Aarfy shouted.

  "I said I lost my balls! Can't you hear me? I'm wounded in the groin!"

  "I still can't hear you," Aarfy chided.

  "I said never mind!" Yossarian screamed with a trapped feeling of terror and began to shiver, feeling very cold suddenly and very weak.

  Aarfy shook his head regretfully again and lowered his obscene, lactescent ear almost directly into Yossarian's face. "You'll just have to speak up, my friend. You'll just have to speak up."

  "Leave me alone, you bastard! You dumb, insensitive bastard, leave me alone!" Yossarian sobbed. He wanted to pummel Aarfy, but lacked the strength to lift his arms. He decided to sleep instead and keeled over sideways into a dead faint. (pp. 288-289)


... 그러자 요사리안은 자신이 축축히 젖고 있음을 깨달았다. 꺼지는 듯한 아픔을 느끼며 요사리안은 사타구니를 내려다 봤다. 시뻘건 얼룩이 그의 셔츠 앞을 타고 위로 재빨리 기어오르고 있었다. 마치 그를 집어삼키려고 솟아오르는 거대한 바다괴물 같았다. 맞았다! 흠뻑 젖은 바짓가랑이 하나를 타고 피가 흘러내려 바닥에 고였다. 셀 수 없이 많아 막을 수 없는, 꼬물거리는 빨간 벌레무리들 같았다. 요사리안은 심장이 내려앉았다. 두 번째로 비행기가 확 흔들렸다. 요사리안은 자신의 부상이 야기한 기묘한 광경에 진저리치며 아피Aarfy에게 도와달라고 소리쳤다. 

  “불알이 사라졌어! 아피, 불알이 사라졌다고!” 아피는 듣지 못했다. 요사리안은 앞으로 수그려 그의 팔을 잡아당겼다. “아피, 도와줘.” 요사리안은 거의 울먹이며 간청했다. “맞았어! 맞았다고!”

  아피는 무표정의 의아한 미소를 지으며 천천히 돌아봤다. “뭐라고?”

  “나 맞았어, 아피! 도와줘!”

  아피는 다시 미소 지으며 정겹게 어깨를 으쓱했다. “뭐라는지 안 들려.” 그가 얘기했다.

  “여기 안 보여?” 믿을 수 없다는 듯 요사리안은 소리치며, 사방으로 흘러내려 이제 밑에서 퍼지며 흥건히 고이고 있는 피 웅덩이를 가리켰다. “나 다쳤다고! 제발 좀 도와줘! 아피, 도와달라고!”

  “뭐라는지 아직도 안 들려.” 아피는 참을성 있게 얘기하며 그의 두툼한 손을 희멀건한 귓바퀴 뒤에 대고 둥글게 모았다. “뭐라고 그랬어?”

  요사리안은 꺼져가는 목소리로 대답했다. 너무 많이 소리를 지른 데다가 어쩌지 못하는 분통 터지는 이 우스꽝스러운 상황에 갑자기 지쳐버렸다. 그는 죽어가고 있었지만 아무도 알아채지 못했다. “됐어.”

  “뭐라고?” 아피가 외쳤다.

  “불알이 사라졌다고 말했어! 뭐라는지 안 들려? 사타구니에 부상당했다고!”

  “뭐라는지 아직도 안 들려.” 아피가 훈계하듯 얘기했다.

  “됐다고!” 요사리안은 공포의 감정이 조여드는 것을 느끼며 소리쳤다. 갑자기 매우 춥고 기운이 쑥 빠지는 것을 느끼며 요사리안은 부들부들 떨기 시작했다. 

  아피는 안타깝다는 듯 다시 고개를 저으며 음란하고 허여멀건 한 귀를 요사리안의 얼굴에 거의 처박았다. “더 크게 얘기해봐, 친구. 더 크게 얘기해보라고.”

  “내버려둬, 이 바보자식! 이 멍청하고 무신경한 바보자식아, 날 그냥 내버려두라고!” 요사리안은 흐느꼈다. 아피에게 주먹을 날리고 싶었지만 팔을 들 힘이 남아 있지 않았다. 요사리안은 그냥 잠을 자기로 하고 옆으로 누워 기절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7)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독일의 사회학자 울리히 브란트UIrich Brand와 마르쿠스 비센Markus Wissen은 글로벌 사우스에서 자원과 에너지를 수탈함으로써 성립되는 선진국의 라이프 스타일을 '제국적 생활양식imperiale Lebensweise'이라고 불렀다.

  제국적 생활양식이란 간단히 말해 글로벌 노스Global North의 대량 생산.대량 소비 사회를 가리키는 것이다. 제국적 생활양식은 선진국에서 살아가는 우리에게 풍요로운 생활을 실현해주기 때문에 보통 바람직하고 매력적인 것으로 여겨진다. 하지만 그 이면에는 글로벌 사우스의 사회집단과 지역에서 벌어지는 수탈, 나아가 우리가 누리는 풍요로운 생활의 대가를 글로벌 사우스에 떠넘기는 구조가 존재한다.

  문제는 수탈과 대가의 전가 없이는 제국적 생활양식이 유지될 수 없다는 사실이다. 글로벌 사우스에서 살아가는 사람들의 생활 조건이 악화되는 것은 자본주의의 전제 조건이며, 남북 사이의 지배종속 관계는 예외적 사태가 아니라 '평상시 상태'인 것이다. (27 페이지)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2)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