개소리에 대하여
해리 G. 프랭크퍼트 지음, 이윤 옮김 / 필로소픽 / 2023년 8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결국 이런 책까지 읽게 됐다. <개소리에 대하여>. 도대체 헌재에서 대통령측이 떠드는 이 말도 안되는 발언들을 어떻게 받아들어야 하는지, 도대체 무슨 생각인지 알고 싶었다. 저자는 '거짓말'과 '개소리(bullshit)'의 차이가 발화자가 진실을 의식하느냐, 아니면 무관심하냐에서 온다고 말한다. 거짓말을 하는 사람은 적어도 진실이 있다는 것을 인식하고 이와는 반대되는 말을 한다. 하지만 개소리쟁이는 진실에 무관심하다는 점에서 더욱 해악을 끼치는 존재라고 할 수 있다. 더욱이 거짓말쟁이는 자신의 거짓말을 그럴 듯하게 꾸미려고 노력이라도 하고 만약 들통이 날 경우에는 부끄러워할 줄 안다. 하지만 개소리쟁이는 그런 노력조차 하지 않는다. 누가 사실을 지적해도 부끄러워하지 않는다. 그는 사실에, 진실에 무관심하기 때문이다. 이런 개소리를 왜 하는 것일까. 상황을 모면하기 위해서이고, 정치적으로는 적과 동지를 나누어 선동하기 위해서이다. 마지막 부분은 본문 뒤에 실린 옮긴이의 글에 나온다. 옮긴이는 '권력형 개소리'의 예로 트럼프와 윤석열의 사례를 든다. 또한 돈을 벌기 위한 '산업화된 개소리'가 종편과 유튜브에 판치고 있음을 개탄한다. 옮긴이는 정치적 개소리의 해악으로 타자에 대한 멸시를 든다. 


손바닥만한 크기에 페이지도 얼마 안 돼 금세 읽을 수 있다. 원저는 1986년 발표된 논문에 바탕을 둔 책이라는데, 2005년 출간된 후 정치적 개소리의 만연과 더불어 미국에서 큰 인기를 끌었다고 한다. 우리나라엔 2016년 처음 번역됐다. 옮긴이의 글에 '바이든, 날리면'이 정치적 개소리의 예로 소개되는데, 아마 2023년 재출간되며 추가된 듯싶다. 개소리가 정치적 언어를 이렇게 오염시키기 전에 출간된 본문에는 정치적 사례는 하나도 언급되지 않는다. 비트겐슈타인의 일화가 언급되는 철학적 논설이다. 


다음은 본문의 일부:


그것[개소리의 본질]은 바로 진리에 대한 관심에 연결되어 있지 않다는 것, 즉 사태의 진상이 실제로 어떠한지에 대한 무관심이다. (38페이지)

그[개소리쟁이]가 반드시 우리를 기만하려고 시도하는 것은 그의 기획의도enterprise이다. 개소리쟁이에게 유일하게 없어서는 안 될 독특한 특징은, 그가 특정한 방식으로 자신의 속셈을 부정확하게 진술한다는 사실이다. (57페이지)

오늘날 개소리의 확산은 또한 다양한 형태의 회의주의 속에 보다 깊은 원천을 두고 있다. 회의주의는 우리가 객관적 실체에 접근할 수 있는 어떤 신뢰할 만한 방법을 가질 수 있다는 것을 부정한다. 따라서 그것은 사태의 진상이 어떠한지를 인식할 가능성을 부인한다. 이러한 ‘반실재론적’ 신조는 무엇이 참이고 무엇이 거짓인지를 결정하기 위해 사심없이 노력하는 것이 가치 있는 일이라는 확신을 무너트리고, 심지어 객관적 탐구라는 개념이 이해 가능한 개념이라는 믿음을 약화시킨다. (67페이지)



댓글(4) 먼댓글(0) 좋아요(2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cyrus 2025-01-27 09:24   좋아요 2 | 댓글달기 | URL
제가 이 책을 읽었을 때 대통령은 그네였어요.. ^^;;

blueyonder 2025-01-27 11:26   좋아요 0 | URL
그때만 해도 우리나라 정치가 이 정도까지는 아니었던 것 같습니다. 평안한 명절 보내세요~

서곡 2025-01-27 10:30   좋아요 2 | 댓글달기 | URL
그니까요 언감생심 윤리까진 바라지도 않지만 최소한의 형식논리도 없는 말들이 판치더라고요 정말 가지가지 한다 싶습니다 연휴 잘 보내시길요!

blueyonder 2025-01-27 11:27   좋아요 1 | URL
서곡 님, 감사합니다! 즐거운 연휴 보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