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되찾은 : 시간 - 프루스트의 서재, 그 일년의 기록을 통해 되찾은 시간
박성민 지음 / 책읽는고양이 / 2016년 11월
평점 :
새해에는 좀 가볍게 시작해 보고자 집어든 책이었다.
예상하시는 대로 뭐 그닥 심각한 내용을 담고 있지는 않았지만,
남편을 베고 누워 이 책을 읽던 나는 갑자기 속수무책으로 밀려오는 눈물을 참으려고 '흡~!'하고는 숨도 같이 참다가는,
얼마 참지 못하고 이내 '꺼이 꺼이~' 대성통곡을 하고 말았다.
나의 베개가 된 채로 남편은 '생활의 달인'이라는 텔레비전 프로를 시청 중이었는데 연말 대상을 뽑고 있었다.
맨손으로 구두를 닦는, 인쇄소에서 달력을 만드는, 이삿짐을 나르는 달인 따위가 나오는데도 남편은 무덤덤하게 보고 있었는데,
평범해보이는 책을 읽던 내가, 그것도 책을 집어들어 시작하자마자 대성통곡을 하니,
남편은 놀란 토끼눈이 되어서 벌떡 일어난다.
내가 선견지명이 있어 쇼파 위에 누웠으니 망정이지,
마룻마닥에서 그리 되었다면 뒷머리가 깨지던지, 혹이라도 났을 상황이다~--;
"너어무 감동적이어서...으허억~ㅠ.ㅠ"
내 손에 들고 있던 책을 빼앗아 들춰보던 남편은,
"뭐 하나 울만한 내용이 없구만~(,.)"
하고는, 나를 향하여 '그럼 그렇지' 하며 기가 막히다는 표정을 해보인다.
책을 펼치자마자 눈물을 흘린게 좀 민망하긴 하지만,
이 자리를 빌어서 슬프거나 아픈 내용을 만났을때만 눈물을 흘린다는 편견을 버려야 한다고 힘주어 얘기하겠다.
다른 사람이 봤을때는 별것 아닌 내용이어도, 감동의 물결이 쓰나미처럼 밀려올 수도 있는 것이고,
감동의 물결이 쓰나미처럼 밀려오는데, 맹숭거리는 무덤덤한 영혼이고 싶지는 않은 것이다.
내가 감동의 눈물을 흘린 까닭을 굳이 설명해 보자면 이렇다.
'이천십오년 일월 이일'날의 일기로 이 책은 시작한다.
그날의 일기 제목은 '생존 일기'인데,
첫날의 느낌을 담담하게 적어 내려갔다.
'간판을 달지 않아서 사람들이 좀처럼 들어오지 않는다.(12쪽)' 라는 말이 눈에, 그리고 마음에 콕 들어와 박혔었는데,
15쪽의 사진에 간판이 보였다.
다음장으로 책장을 넘기자마자 이런 일기가 나오는데,
무심코 책장을 넘겨 아래 일기를 읽다가 나도 모르게 그리되었던 것이다.
내용을 옮겨보자면 아래와 같은데, '양철나무꾼'이라는 단어 때문은 결코 아니다, ㅋ~.
이천십오년 일월 칠일
간판
간판을 달았다. 양철나무꾼이 심장을 단 기분이랄까. 아
버지가 만들어주신 간판이라 더 마음에 든다. 내가 코흘
리개일 때부터 간판 일을 해오셨던 아버지가 훗날 제 자
식의 간판을 달 줄 알았을까. 지금은 현역에서 물러나셨
지만 대충 만든 것 같아도 달고 보면 멋지다. 장인의 손
길은 쉽게 녹슬지 않는다.ㆍㆍㆍㆍㆍㆍ(이하 생략)
적절한 설명이 되는지 잘 모르겠는데,
난 저 짧은 문장들로미루어, 그의 아버지에 대한 존경과 사랑을 읽을 수 있었고,
저런 사람이라면 책도, 고객도 어떻게 대할지 알 수 있을 것 같았다.
그러니까 이 책의 저자이자 '프루스트의 서재' 주인장을 간단하게 요약하자면,
군대 제대 후 헌책방에서 온라인화 작업을 하고,
대형 서점에 취직도 하지만,
정작 자신이 책을 읽을 수 없게 되자,
자신이 쭈욱 살아온 동네에 작은 책방을 냈다.
책 날개 안쪽 지은이 소개에 '때로는 아껴 읽은 책이 팔릴까 살짝 눕혀놓기도 한다.'는데, 귀엽다.
서점을 낸지 25일 후의 일기 제목은 '제자리'이다.
난 '은교'를 책으로 읽다가 던져버린 이력이 있는지라, 영화로는 보지 않았다.
이천십오년 일월 이십칠일의 일기에 보면,
'은교'라는 영화를 보면 오랜 세월 한 자리를 차지하고 있는 물건은 그것의 고유한 자리이기 때문에 함부로 움직이면 안 된다는 장면이 있단다.
이 글을 보니 읽던지 보고 싶어진다.
엄밀하게 따지면, 이 책은 내가 기대했던 류의 책은 아니었다.
타인의 독서 일기를 즐겨읽고,
거기에 소개된 책들로의 꼬리에 꼬리를 무는 독서를 즐기는지라,
작은 동네 책방 사장님의 독서일기인줄 알았다.
작은 동네 책방 사장님의 일기는 맞는데, 독서일기는 아니다.
하지만 내가 기대했던 독서일기보다는 훨씬 힘이 세다.
일기를 쓴다는 것은 결국 스스로의 안부를 묻는 것이라니까 말이다.
이 책의 초반부를 읽을 즈음만 해도, 나도 이런 작은 책방을 해볼까 하는 욕심이 있었는데,
이 책을 다 읽은 후 욕심을 접었다.
누구든 할 수 있는 일이지만, 아무나 할 수 있는 일은 아니다.
원하는 대로 의욕적으로 활동해 나갈 수 있게끔 건강하시라.
그럼 번성은 더딜지 몰라도 당연한 수순일게다.
책방 사장님이라고 하여, 전문 작가가 아니라고 하여,가볍게 생각할 건 아니다.
글이 군더더기가 없는 것이 간결할 뿐더러,
특유한 문체를 구사하고 있는 것이 아름답기까지 하다.
알라딘 서재, 이 동네에 그런 문체를 구사하시는 매일 단문의 일기를 쓰시는 누군가를 닮았다.
누가 누구를 닮은 건지는 내겐 중요치 않은 일,
당신들의 상상과 판단에 맡기겠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