왜 출근하는가 - 매일 아침 되새기는 직장생활의 이유
신현만 지음 / 21세기북스 / 2017년 7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오랜만에 리더십 책을 읽었다. 꾸준하게 읽어야 하는데, 솔직하게 읽다 보면 매번 뻔한 내용 같다는 생각이 들어서 선듯 선택을 못한다. 하지만, 어떤 책이나 배울 것이 있다고 평소에 생각하기 때문에 그냥 나의 핑계라는 생각이 든다. 

이 책의 저자는 헤드헌터 회사 CEO이다. 이 책에서 주로 이직 관련한 내용이 많은 이유이다. 하지만, 이직만을 추천하지는 않기 때문에 그나마 공정성을 가지고 있다고 생각한다. 리더십 책을 많이 읽어본 분들에게는 그다지 새로운 내용이 없을 수도 있다. 하지만, 자기계발 관련 책을 읽는 것은 몰랐던 새로운 내용을 배운다는 목적도 있지만, 이미 알고 있는 내용을 무심코 지나쳤던 것을 반성하며 다시 마음을 다잡기 위함도 있다. 

역시 이 책에서도 나의 회사 생활을 돌아보며 생각할 수 있는 내용들이 있었다. 물론, 회사에서 치열하게 열심히 일해야 한다, 참아야 한다. 직장에 전념을 다해야 한다 등 틀에 박힌 내용들도 많다. 뭐, 어찌 보면 이미 정답은 정해져 있을지도 모른다. 단지 좀 더 쉽고, 빨리 가기 위해 지름길을 찾으려는 마음이 정답을 자꾸 외면하고 있을지도 모르겠다. 

이 책에서 스타형과 가디언형 임직원을 소개하고 있다. 혁신적이고, 창의적인 아이디어 기반으로 신규 사업을 개척하는 스타형과 손실을 최대한 피하며, 안정적인 조직 운영을 최우선으로 하는 가이언형 중에 나는 어떤 스타일일까 생각했다. 내가 맡은 업무는 주로 회사에서 신규 개발하는 제품들이었다. 이런 프로젝트에 참여했으니 스타형으로 볼 수도 있지만, 내 적성이나 성격에는 가디언형이 맞기도 한거 같고, 솔직하게 잘 모르겠다. 

인생에 있어서 가장 큰 문제는 내가 나를 잘 모른다가 아닐까? 내가 정말 좋아하는 것, 정말 하고 싶은 것, 정말 내가 잘 하는 것, 정말 내가 되고 싶은 모습 등. 
가장 부러운 사람 중의 하나가 자신을 잘 알고, 자신의 길을 가는 사람이다. 

헤드헌터 입장에서 이력서가 중요하니 자신의 역사를 연구해서 기록으로 남겨 놓아야 한다는 말이 진부하게 들릴지도 모르겠다. 하지만, 나는 창피했다. 이 내용을 읽고, 이제까지 회사 생활을 돌이켜보니 뭔가 기록으로 남아 있는 것이 없다. 물론, 프로젝트 산출물이 어디에 있겠지만, 그것이 나의 역사나 기록은 아니다. 내가 가장 존경하는 조선시대 3명의 위인 중의 한 명인 이순신 장군님의 난중일기를 우리 같은 사람은 왜 못 남길까? 난중일기를 다시 읽어 보아야 하겠다. (많은 분들이 공감하겠지만, 3명의 위인은 바로 세종대왕, 이순신, 정조이다.)

회사를 다니다 보면 많은 사람을 만난다. 회사 규모가 크니 교육, 세미나, 과제 등으로 인해 1~2번 정도 만나는 경우가 많다. 그러다 보니 만날 때 대충 견적이 나온다. 계속 만날지, 이번만 만나고 더 볼 일 없는지. 하지만, 이것은 참으로 위험한 생각이다. 회사에서 내가 선택할 수 있는 길은 많지 않다. 그런데, 어떻게 내가 1~2번만 볼지, 아니면, 다시 만나 같은 프로젝트를 할지 알 수 있는가? 이 책에서 '내가 지금 만나는 사람은 평생 단 한 번 만나는 인연이다.'라는 글이 나온다. 앞으로 명심해야 할 내용이 아닌가 싶다.

회사를 10년 넘게 다니다 보니 어느 정도 나에 대한 강점과 약점을 알 수 있다. 그동안 많은 사람의 피드백을 들었기 때문에 가능하다. 하지만, 모든 일이 이렇게 명확하게 나누어질 수는 없다. 그렇다고 해도 관심을 가지고, 노력할 필요는 있다. 이 책에서 '약점을 보완하는 것보다 강점을 강화해야 한다'라고 말한다. 하지만, 회사에서 성장을 하기 위해서 필수적인 요소가 있는데, 이 요소 중의 하나라도 나의 약점이면, 이미 끝난 게임이다. 결국, 강점만 강화해서 성공할 수는 없다. 어떤 사람이 성과관리가 강점인데, 리더십이 약점이라면, 팀 구성원들은 다 떠날 것이다. 그러면, 그 사람에게 중한 직책을 맡길 수 있겠는가? 회사 생활이 힘든 이유가 여기에 있다. 강점은 강화하고, 약점은 보완하는, 그래서, 균형을 맞춘 만능형 인재가 필요하다. 

이 책에서 처음 접한 매력자본이라는 개념이 있다. 전 런던정치경제 대학교 사회학과 교수 캐서린 하킴이 주장한 개념인데, 경제자본, 문화자본, 사회자본과 함께 중요한 자본이라고 한다. 외적으로 풍기는 아름다움(beauty), 섹시한 매력(sexual attractiveness),  성적 능력(sexuality) 뿐만이 아니고, 상대를 즐겁게 하는 사회성(social skill), 건강미가 느껴지는 활력(liveliness), 사회적 표현력(social presentation)을 망라한다. 쉽게 말하면, 만나면 활기차고, 즐거움을 줄 수 있는 사람이어야 한다는 것이다. 속성 측면에서 보면, 진실성(truth), 관련성(relevance), 이타성(unselfishness), 단순성(simplicity), 타이밍(timing)을 가진다고 한다. 때에 맞게 진실된 마음으로 자신만 생각하지 말고, 쉽고 명확하게 말을 하며 사람을 대해야 한다 정도로 생각할 수 있다. 

참으로 세상 살기, 회사 다니기 힘들다. 신경 써야 하는 부분이 정말 많다. 일만 열심히 한다고 성공하는 것도 아니다. 자기만 잘한다고 성과를 내는 것도 아니다. 상사, 동료, 후배와의 관계에 매일 치인다. 자기계발은 해야 하면서, 남들을 이겨야 하면서, 이기적이면 안 되고, 그들의 협력을 강화해야 한다. 무엇이 앞이고, 무엇이 뒤일지, 어느 것이 먼저인지 판단하기 쉽지 않다. 위에 이야기한 매력자본을 갖추려면 얼마나 많은 노력을 해야 할까?

결국, 우리에게 필요한 것은 끊임없이 해야 하는 사색과 성찰이 아닐까 싶다. 


2017.11.11 Ex. Libris. HJK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