멋진 신세계
올더스 헉슬리 지음, 안정효 옮김 / (주)태일소담출판사 / 2015년 6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정말 놀라운 책이다. 1932년에 나온 책인데, 꼭 읽어보기를 추천한다.


태어날 때부터 계급이 정해져서 절대 계급 간의 이동을 할 수 없는 사회가 있다. 이제까지의 역사를 살펴보면, 대체적으로 계급이 낮은 사람들이 불만을 품고, 혁명이나 폭동 등을 통해 계급 체제를 무너뜨리거나 아예 자기들이 상위 계급으로 올라간 경우가 많다. 하지만, 이 사회, 멋진 신세계에서는 계급이 낮다고 해서 절대 불만을 가지지 않고, 각자 만족하며 잘 지낸다는 점이 특이하다. 만약, 상위 계급의 좋은 점에 대해서 자각을 못하고, 하위 계급에서도 충분하게 잘 살 수 있다면, 내 태생이 중요할까? 여기에서 잘 살 수 있다는 뜻은 신분 상승을 원하는 욕구나 사고를 전혀 못 느끼기 때문에 현재의 모습에 만족하면서 산다는 의미이다.


전쟁이 사라지고, 노화가 사라지고, 갈등과 미움이 사라지고, 경제적으로 풍족한 사회에 살 수 있다면, 진실을 좀 외면해도 되지 않을까? 영화 매트릭스에서 가상 공간인지 알면서도 그냥 그 가상 공간에서 편하고, 풍족하게 살기 위해 진실을 외면하는 캐릭터가 나온다. 주인공은 진실을 외면하지 않았고, 그로 인해 많은 고생을 한다. 그냥 편하게 가상공간에서 혜택을 받으면서 살면 어땠을까? 


멋진 신세계에서는 책이나 음악 등 문화, 예술에 대해서도 규제를 한다. 딴 생각을 품지 못하게 하기 위함이다. 가장 아쉬운 면이다. 이 세상에서 자유로운 사유를 할 수 있도록 도와주는 모든 책이 없어지고, 앞으로 나오지도 못한다면, 정말 재미없을 거 같다. 물론, 관심을 돌리기 위해 쾌락으로 유도하는 장치들이 있지만, 그건 별개의 문제이지 않을까 생각한다. 


이 책의 놀라운 점은 멋진 신세계를 계속 욕하고, 부정하면서도 이게 꼭 그리 나쁜 것인가 하는 편하지 못한 심정을 마음 한구석에 머무르게 만든다는 것이다. 내가 아직 정신적으로 미성숙했을지도 모르겠다. 멋진 신세계에도 단점이 분명히 있다. 하지만, 장점이 더 많다는 생각도 한다. 이렇게 말하면, 창피하기도 하다. 책을 읽는 지성인이 이런 식의 사회 구조를 어떻게 동의할 수 있는가라고 물어본다면, 솔직히 어떻게 답을 해야 할지 모르겠다. 


코로나 이후 분명 세상은 변할 것이다. 훗날 코로나보다 더 심각한 전염병이 나와서 마스크를 안 쓰는 자유를 외치는 사람들 때문에 그들보다 더 많은 사람들이 피해를 본다면 앞으로 자유는 규제될 것이다. 

한국처럼 최소한의 규제에도 불구하고, 국민들이 앞장서서 협조를 할 수 있다면 좋지만, 모든 나라가 그렇게 할 수는 없을 것이다. 물리적으로 자유를 억제하다가 앞으로 사람들의 생각을 뜯어고치기 위해 시도를 할 수도 있지 않을까? 자유라는 개념 자체를 인식하지 못하도록 말이다.

 

내가 죽기 직전에 어떤 세상으로 변해져 있을지 궁금하다. 그 세상을 편하게 지켜볼 수 있을까?


2020.8.7 Ex. Libris. HJK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