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이들 졸업하고 봄방학하고 시어머님 생신, 도서관 정기총회... 이래저래 정신이 없기도 했다. 아들녀석은 산마을학교에 낙방(?)한 후 근처 인문계고등학교로 진학이 결정되었다. 여전히 요리학원을 열심히 다니고 있고, 필기시험에는 붙었지만 한식실기는 아직이다. 지난 번에 한 번 시험봤다가 화양적의 꼬치가 부러지는 바람에 탈락.. 4월에 다시 도전할 예정이다.
막내가 어린이집 봄방학에 들어서자 신났다고 동네 엄마들이랑 나들이를 다녔다. 길상사에 갔다가 고대 캠퍼스에서 놀고, 그 다음엔 어린이 대공원으로, 그 다음엔 키즈카페로.. 그 중간에 막내 동네 친구의 생일 파티가 두 번 있었으니 2월 말엔 노느라고 정신이 없었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그럼 책은? <지금이 아니면 언제?>와 겨울이 가기 전에 읽어야겠다고 마음먹었던 <안나 카레니나>는 달랑 1권만 읽었다. 그리고 아직도 지지부진. 2권 중간쯤 읽고 있는 중. 아이들 새학년이 시작되고 마음이 어수선했다고는 하지만 이건 순전히 책에 대한 애정이 식은 게 아닐까, 염려되는 상황. 권태기에 들어선걸까? 이 페이퍼를 쓰는 동안에도 안나 카레니나의 레빈이 자꾸 말을 거는 것만 같다. "이봐, 내가 궁금하지 않아?" 이제 3월도 거의 끝나가니 책읽기에 박차를 가해야지. 아이들 학교생활도 어느 정도 틀을 잡았으니.


아, 지난 해엔 지원을 받아 신동호 시인과 <마음을 여는 책읽기>를 진행했는데, 올해엔 엄마들을 위한 인문학 학교 프로그램을 진행할 예정이다. 구청에 500만원 지원 신청을 했는데 300만원만 받게 되었다. 그래서 역사, 영화, 문학 강좌를 열고 각 강좌당 10회의 강의를 계획했던 걸 좀 수정해야 했다. 강의를 강좌당 5~6회로 줄이고 나중에 자료집을 만들기로. 영화강의는 독립영화감독이자 평론가인 황혜림 님이 맡아주시기로 했고, 문학 강의는 작년에 이어 신동호 선생님이, 역사는 아직 확정이 되질 않았다. 어쩐지 올해는 이 프로그램을 진행하고 잘 마무리 하는 것만으로도 꽉 찰 것 같다.
영화는 2월 한 달동안 <시>, <라푼젤>, <환상의 그대>, <상하이>, <만추>, 총 5편을 봤다.
<시>는 극장에 가서가 아니라 설 연휴 끝머리에 TV를 통해 봤지만, 다섯 편의 영화 중 가장 내 마음을 사로잡았던 영화다. 페이퍼에 이 영화에 대한 글을 올렸지만 그 다음에도 내내 머리 속을 맴돌았던. 페이퍼에 글을 쓰고 나서 "본다"는 것에 대한 생각이 떠올랐다. 극 중에서 미자가 정말 보았던 건, 꽃이나 새가 아니라는 사실이 새삼 마음에 걸렸다. 꽃이나 새를 보는 중에도 미자는 마음으로 죽은 여학생을 보고 있었던 것일게다. 극중에서 김용택 시인이 나와서 "잘 봐야된다"고 했던 말에 대한 적절한 예시였다고나 할까.
<만추>는 막내 어린이집 수료하던 날, 그러니까 봄방학이 시작되기 바로 전 날 부랴부랴 가서 보고 왔다. 탕웨이가 참 돋보였고, 현빈과 탕웨이가 둘이 짜고 나를 울렸다. 하나는 폐쇄된 놀이 동산에서 두 연인을 바라보며 립싱크하는 장면이었고, 또 하나는 현빈의 포크 발언으로 탕웨이가 속에 담아둔 서러움이 폭발하는 장면이었다. 두 사람의 쓸쓸함이 어찌나 잘 어울어지던지... 스크린에 손을 뻗으면 축축하게 물기가 베어나올 것만 같은 장면들은 또 어떻고.. 이 영화를 보고 온 날 남편이 "가서 현빈 잘 보고 왔어?"하고 묻기에 "나, 현빈 보러 간 게 아니라 영화보러 간거거든!"하며 따졌는데, 엄밀하고 솔직하게 말하자면 난 현빈과 영화, 둘 다 보러 갔던 거라는 걸 인정한다.


<환상의 그대>는 삶이 씁쓸해지는 영화. 코미디스러운데 좀스러운 삶에 대한 한숨이 저절로 나온다고 할까.
<상하이>는 좀 더 치밀했으면, 하는 아쉬움이 남았던 영화다. 뭔가 화려하긴 한데 영화의 진행이 많이 허술하다는 느낌.
<란푼젤>은 물론 우리 막내 때문에 본 영화. 영화보다 CG의 발달을 더 실감나게 느꼈다.
부실했던 나의 2011년 2월이다. 아무리 바빴어도 책을 좀 더 읽지 못한 것에 대한 아쉬움이 남는다. 부실한 2월에 대한 페이퍼를 쓰고 있는 3월도 여전히 부실하다는 게 더 아쉽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