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화는 '내가 아는 모든 것은 오직 사랑에서 비롯되었다'라는 문장으로 시작되었다. 사랑? 어떤 사랑?
영화의 첫 시작은 소피아가 계단을 내려와 곤히 잠들어 있는 남편 톨스토이 침대에 올라가 곁에 눕는 장면이었다. 소피아는 잠든 톨스토이의 뺨에 키스를 하고 남편의 팔로 자기 어깨를 감싼다. 하지만 금방 툭, 떨어지는 남편의 손. 몇 차례 남편의 손이 자기를 감싸주지 않고 떨어지자 소피아는 남편의 손을 끌어 자기 어깨 위에 놓고 흘러내리지 않도록 손으로 꼭 붙잡는다. 톨스토이는 그것도 모르고 코를 골며 계속 잠에 빠져 있다.
참 신기하게도 영화를 다 보고 난 다음, 이 첫 장면이 자꾸 머리 속에 떠오른다. 비저항주의, 사유재산포기 등을 주장한 이른바 톨스토이주의의 실현을 추구하는 사람들과 아내 소피아와의 갈등의 원인과 소피아가 진정으로 바랐던 것이 무엇인가를 이 첫 장면이 암시하고 있는 듯했기 때문이다. 이상에 취해 있는 톨스토이와 그 고귀한 이상에게 남편을 뺏긴 듯한 소피아. 게다가 톨스토이가 품었던 순수한 이상은 그 실현을 위해 조직화되면서 누군가의 의도와 목적에 맞추어 변질되고 조작되어 가는 분위기를 풍긴다. 하긴 세상의 종교와 이념들이 모두 그러했으니 톨스토이라고 무슨 뾰족한 수가 있었을까.
소피아는 남편 톨스토이에게 자주 묻는다. "나를 사랑해요?"하고. 소피아가 견디기 힘들었던 건 톨스토이의 사유재산 포기가 아니었을 지도 모른다. 소피아가 걱정하는 것은 톨스토이의 사후 자식과 자기 자신에게 돌아올 재산의 상실이 아니라, 46년 동안 삶을 함께 나누어 온 남편이 '이상의 실현'을 이유로 점점 멀어지면서 자기를 소외시키고 있다는 상실감이 아니었을까. 영화가 시작되면서 스크린에 보였던 문장, '내가 아는 모든 것은 오직 사랑에서 비롯되었다'는 그 문장은 소피아의 행동을 이해하는 데 도움이 되는 것 같다. 소피아의 다소 과장되고 과잉된 감정과 행동은 오직 톨스토이에 대한 사랑에서 비롯된 건지도. '성인'으로 추앙받는 남편이 아니라 침대에서 수탉 소리를 내는 남편이 그녀를 행복하게 했으니 애초부터 톨스토이의 이상은 소피아와 적이 될 수밖에 없는 운명이었는지도 모른다.

소피아가 톨스토이의 이상에 뜻을 함께 한 블라디미르를 증오했던 것도 같은 맥락에서 이해할 수 있을 것 같다. 블라디미르는 끊임없이 톨스토이에게서 소피아를 떼어놓고 싶어했으니까 말이다. 그러나 블라디미르가 앞장 서서 추진한 '톨스토이 이상 실현 사업'(이렇게 표현해도 괜찮은지 모르겠으나)의 하나인 공동체 농장은 뭔가 불안한 분위기가 느껴진다. 감시하고 누군가의 시선을 의식하는 듯한 사람들의 표정때문인지도 모르겠다. '이상'과 '공동체'는 있으나 사람의 '삶'의 알맹이가 빠져버린 듯한 느낌이다. 톨스토이의 공동체 농장의 불안은 톨스토이가 농장을 방문했을 때 찍은 단체사진에서도 느낄 수 있었다.
사진찍기에 익숙치 않았던 당시 사람들의 카메라 앞에서의 긴장이라고도 할 수 있겠지만 '공동체'라는 제목을 붙이기엔 그들의 표정과 시선과 거리가 심상치 않다.
이 영화에서 '인간미'를 느끼게 해주는 인물은 고귀한 이상을 추구하는 블라디미르가 아니다. 오히려 톨스토이를 숭배하며 톨스토이의 비서가 된 순진한 청년 발렌틴과 그의 연인인 의지가 강하고 세상을 보는 자기만의 눈을 갖고 있는 용감한 여인 마샤다. 마샤는 원칙을 지키느라 (그것도 조직을 유지하기 위한 형식으로서의 자잘한 원칙들) 본질을 잃고 있는 공동체를 직시한다. 그녀는 톨스토이주의의 본질은 '자유'와 '사랑'이라고 말하고는 공동체를 버리고 모스크바로 떠난다. 어떤 의미에서 이상은 때때로 '허구'에 가깝다. 그래서 신기하게도 각각 생생한 빛깔과 의미를 갖고 있는 사랑이 '이상' 속에서는 질식하고 마는 건지도 모르겠다.
발렌틴은 그토록 숭배했던 톨스토이와 소피아를 가까이에서 지켜보면서 오히려 안타까움과 혼란을 느끼게 된다. 무엇이 인간에게 더 소중한 걸까. 인류애를 실현하는 이상일까, 아니면 '불완전한 남자와 불완전한 여자'가 나누는 리얼리티한 사랑일까. 모든 것은 사랑에서 비롯되었으나 '사랑'이란 것 자체가 너무 불명확하고 변덕스럽고 불가해할 뿐이니 결론을 내리기가 쉽지 않다.
자기의 신념을 위해 소피아를 떠나 쓸쓸한 기차역에서 죽음을 맞이한 톨스토이는 마지막 순간에 그 해답을 찾았을까. 톨스토이는 자기의 삶은 블라디미르가 계획했던 톨스토이의 우상화 작업에 의해서가 아니라 자기 작품의 초고를 함께 읽으며 이야기를 나누고 13명의 아이를 낳은 소피아와 동거동락하며 나누었던 사랑의 의미 속에서 완성되었다는 의미였는지, 죽음이 침대 머리까지 다가왔을 때 톨스토이는 소피아를 찾는다.
부럽기도 했다. 과연 톨스토이와 소피아처럼 마지막 순간까지 서로에 대한 사랑을 확신할 수 있는 사람이 몇이나 될까. 저렇게 백발이 성성해지고 주름투성이 얼굴이 되었을 때, 나는 남편에게 '나를 사랑해요?'라고 물어볼 수 있을까? 아니, 그것이 궁금하기나 할까? 나는 지금 가슴 속에 어떤 사랑을 품고 있는 걸까.
이 겨울이 다가기 전에 <안나 카레니나>를 읽어야 겠다. 다락방님의 리뷰를 읽고 무척 끌렸었는데 이 영화를 보고나니 읽지 않으면 찝찝함에 시달릴 것만 같은 예감까지 보태졌다. 어떤 <안나 카레니나>를 고를까도 고민이다.
민음사의 <안나 카레니나>의 첫구절은,
"행복한 가정은 모두 모습이 비슷하고, 불행한 가정은 모두 제각각의 불행을 안고 있다."
문학동네의 <안나 카레니나>의 첫구절은,
"행복한 가정은 모두 고만고만하지만 무릇 불행한 가정은 나름나름으로 불행하다."
어느 쪽의 번역이 마음에 드시는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