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모네의 정원에서 ㅣ 리네아의 이야기 1
크리스티나 비외르크 지음, 레나 안데르손 그림, 김석희 옮김 / 미래사 / 1994년 12월
평점 :
근자에 들어 아동도서에 자꾸 눈길이 간다. 국내외를 떠나 좋은 책들이 많이 나오고 있고, 아동도서 전문 출판사들도 적지않은 걸로 알고 있다. 본인이 어렸을 때는 특별히 아동도서라는 것이 없었던 걸로 기억된다. 소년소녀세계문학전집이니 소년소년세계위인전집 같은 것들이 대부분이었다. 그 당시에는 멋모르고 읽었지만 지금 생각해보면, 대지, 부활, 춘희, 제인에어, 좁은문 같은 쟁쟁한 고전들의 줄거리만 요약한 소년소녀세계문학전집류는 - 당시에는 계림문고가 유행이어서 본인도 친구와 경쟁적으로 사모았던 기억이 난다. - 조금 문제가 있지않나 하는 생각이다. 어린 시절의 이러한 독서경력은 나중에 나이가 들어 원작을 읽는데 상당한 장애로 작용한 것 같다. 다이제스트판을 통해 줄거리를 대강대충 알고 있으므로 당연히 원전에 대한 흥미가 떨어지게 되어 있는 것이다.
크리스티나 비외르크의 책은 <아빠와 함께한 베니스여행>에 이어 두 번째다. 역시 아이들 책이라 쉽고 편하다. 아이들 보기에 글자가 조금 작은 것 같지만 색상이나 그림이나 책의 재질 등은 모두 마음에 든다. 리네아가 실재로 이 책의 그림을 그린 레나 안데르손의 한국 입양소녀라는 사실이 조금 인상적이지만 한편으로는 씁쓸한 마음도 있다. 리네아가 할아버지와 함께 인상파화가 끌로드 모네의 흔적을 찾아 파리의 모네기념관, 오랑제리 미술관 등을 둘러보는 이야기다. 모네의 가족사와 관련하여 모네가 친구의 부인과 결혼하게 된 데 대한 부연 설명이 있었으면 하는 생각도 문득 들었다. (이건 여담이지만, 시공사에서 나온 시공디스커버리총서 중 <모네, 순간에서 영원으로>를 보면 모네의 친구 부인의 아들인 장 피에르가 모네의 자식이라는 설이 있다고 소개하고 있다. 물론 이 책에 그런 이야기는 없다. 아이들 책에 그런 내용은 불필요할 것이고, 이러한 애정관에 나는 아직도 조금은 거부감을 가지고 있다. 물론 선악의 문제는 아니다. 문화적 차이고 가치관의 차이일 뿐이다.)
어른에게나 아이에게나 일독을 권할만 하다. 여행안내서로도 유익하고 모네 전기로서도 유효하다. 오랑제리 미술관에 전시되어 있는 커다란 수련그림은 꼭 한 번 보고싶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