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천염천 - 거센 비 내리고, 뜨거운 해 뜨고
무라카미 하루키 지음, 서영 옮김 / 명상 / 2003년 10월
평점 :
절판


목하 무라카미 하루키를 탐독중이다. <상실의 시대>를 처음 읽은 것이 아마 89년인가 90년인가 그럴 것이다. 군대 제대하고 복학해서이니 그 언저리 어디쯤 될 것이다. 줄거리는 하나도 생각나지 않고 다만 그런대로 그럭저럭 재미있게 읽었다는 단편적인 감상만이 남아있을 뿐이다. 이문열의 <젊은 날의 초상>류의 청춘소설이자 흔히 말하는 성장소설이었지 싶다. 또 그 당시에 장정일, 박일문, 이인화 등 일군의 젊은 작가들에 대한 표절시비와 이른바 포스트모더니즘에 관한 논쟁이 한창이었다는 것도 덤으로 불쑥 떠오른다.

<상실의 시대>가 수십만부의 판매기록을 세우며 일약 베스트셀러가 되고 하루키가 우리나라에서 뿐만 아니라 전세계적인 유명작가의 반열로 뛰어날아 오르면서 한심한 것이 이상한 오기같은 것이 발동해서 그 후로는 하루끼의 책은 한 권도 읽지 않았던 것이 본인의 그간 독서사정 되겠다. 그래저래 세월흘러 요즘들어 늦바람 불어 이런저런 여행기를 탐독하게 되면서 다시 하루끼를 만나게 되었던 것인데, 그 첫 번째 책이 <먼 북소리>이다. <먼 북소리>를 하 재미있게 읽고나니 자연 물이 높은데서 낮은 곳으로 흐르듯 <우천염천>으로 눈길이 가고 손길이 미치게 되었던 것이다.

<우천염천>은 그리스, 터기여행기이다. <먼 북소리>에서 하루키는 유럽일대를 1987년부터 1989년까지 3년동안 이리저리 떠돌아 다니고 있는데 그중 '1988년 공백기'에 해당되는 부분이 아마도 <우천염천>의 시간적 배경인 것 같다. 중간중간 서울올림픽 이야기가 잠깐잠깐 나온다. (뭐 별이야기는 아니고 아무개가 TV로 서울올림픽 중개를 보고 있다 정도이다.). 전작이 그러했듯이 본 책도 문화유적이나 박물관, 미술관 답사와는 거리가 멀다. 아테네가 빠진 그리스 여행기이고 이스탄불이 없는 터기 여행기이다. 장엄한 고대 신전이나 화려한 모스크에 대한 그 어떤 언급도 없다. 안꼬없는 호빵같다고 허망하게 여길지도 모르겠지만 만약에 한 입만 먹어본다면 그 담백한 맛에 반하고 말 것이다. 읽을만 하다는 이야기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