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오노 나나미의 <국가와 역사>를 읽다 보니 ‘시저 샐러드’ 이야기가 나온다. “카이사르라고 하면 떠오르는 음식이 있다. 바로 시저 샐러드. 두가지 설이 있는데, 하나는 누구나 한 번쯤 들어본 카이사르가 좋아한 음식이라는 것과 또 하나는 1924년 멕시코에서 식당을 하던 이탈리아 요리사 시저 카디니가 개발해 자신의 이름을 붙여서 시저 샐러드가 되었다는 설이다. 시저 샐러드의 주재료인 로메인 상추는 로마인의 상추라는 뜻으로 고대 로마인들이 대중적으로 즐겨 먹어 붙여진 이름이고 시저 샐러드의 재료 중 하나인 블루치즈는 카이사르가 즐겨 먹던 치즈로 알려져 있다. (p121)

 

무라카미 하루키의 <채소의 기분, 바다표범의 키스>에도 ‘시저스 샐러드’ 이야기가 나온다. 하루키는 시저스 샐러드를 몹시 좋아하는데 일본에서는 시저스 샐러드를 먹고 맜있다는 생각한 적이 별로 없다고 하면서 레시피를 소개한다. “무엇보다 이 샐러드에는 아가씨처럼 싱싱하고 신선한 로메인 상추가 필요하다. 보통 양상추를 대신 쓰곤 하지만 이건 논외다. 상추 같은 걸 썼을 때는 참을 수가 없다. 토핑은 크루통과 계란 노른자와 파르마산 치즈로. 간은 질 좋은 올리브유, 다진 마늘, 소금, 후추, 레몬즙, 우스터소스, 와인비네거로. 이것이 정통 레시피다.” (p50)  한심한 소생은 샐러드가 뭐 별거냐? 채소에 간 맞추어 대충 비빈 것이라고 생각했는데 의외로 복잡하고 심오하다. 아가씨처럼 싱싱하고 신선한 로메인 상추는 과연 어떤 것일까?

 

요즘 먹방이 차고 넘쳐서 tv만 틀면 온통 먹는 이야기다. 일찍이 이런 적은 없었던 것 같다. 무슨 못 먹은 한풀이라도 하는 것인지 아니면 원래 이정도 소득 수준이 되면 이런 단계를 거치는 것인지는 모르겠다. 보고 있자니 이것도 먹어 보고 싶고 저것도 먹어 보고 싶은 마음이 생긴다. 소생은 시저스 샐러드가 어떤 음식인지 몰랐다. 하지만 아마도 프렌차이즈 페밀리 레스토랑 같은 곳에서 먹어는 봤을 것이다. 그것도 여러번. 하지만 관심이 없으니 이 음식 이름이 시저스 샐러드인지, 로메인 상추가 들어 갔는지 양상추가 쓰였는지 알지 못한다. 아는 만큼 보인다고 했던가. 식재료의 특성이나 레시피나 이런 것들을 좀 알고 먹으면 음식도 더 맛있어지는 것은 아닐까 하는 생각을 해본다.... 아!! 배가 살살 고프네....

 

요즘 아무 생각없이 막 먹었더니만 몸이 많이 불었다.

간만에 만나는 지인들마다 묻는다. "출산 달이 언제세요? 곧 나올 것 같아요. 호호호.."

 


댓글(4) 먼댓글(0) 좋아요(14)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nama 2015-06-28 20:21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로메인상추의 역사가 그렇게 오래되었군요. 최근에야 이 로메인의 맛을 확실히 알게 되었어요^^

붉은돼지 2015-06-29 09:46   좋아요 0 | URL
저도 로메인 상추를 처음 알았습니다. 갑자기 로메인의 맛은 어떤 맛인지 궁금하네요...먹어 봤을텐데 ^^;;

moonnight 2015-06-28 21:49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아가씨처럼 싱싱하고 신선한 로메인 상추라니@_@ 입안에서 아삭아삭 소리가 날 것만 같아요@_@;;;;
요즘은 정말 먹방쿡방들이 너무 많아서 헷갈려요^^;

붉은돼지 2015-06-29 09:47   좋아요 0 | URL
역시 샐러드는 식재료의 신선도가 제일 중요한 것 같아요...
뭐 제가 소스나 토핑 이런 건 전혀 몰라서 그런거 같기도 하지만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