0. 잡지 주문 및 구입
하이드님 뿐만 아니라 아는 지인도 <AROUND>를 추천해 주시고 또 알라딘 책 소개를 보니 그럴듯하게 보여서 일단 2015.2월호 1권을 주문했다. 지난번에 사 놓은 <시리얼> 1호와 <AB-ROAD> 2015.1월호는 아직 다 못봤다. 글자가 작아서 눈알이 아프다. 돋보기가 필요한가? 노안이 오셨나? 걱정이다. 인생의 유일한 낙이 독서인데 앞으로 눈알 건강에 좀 더 신경써야겠다. 오늘의 교훈이다. (고백건데 독서가 유일한 낙은 아니다. 말하기 거시기한 이런저런 소소한 낙들도 있다) <책 Chaeg> 3호를 구입해서 훑어 보니 이 또한 소생 보기에 그럴듯하고, 또 이것이 통권 3호라서 불현듯 수집벽이 발동 1,2호도 출판사로 바로 연락해서 구입했다. 토요일 도착했다. 강호 제현(야나님, 안단테님)께서 상찬하신 <땡스북 7호>도 주문. 가격이 너무 고마워서 짠한 기분까지 든다.
1. <책chaeg 1호> 책 광고를 보다가 피눈물을...
흔히 보는 유명 소설가, 유명 평론가, 유명 방송인들의 ‘일독을 권하는’, '영혼을 울리는', '깊은 통찰과 깨달음을 주는' 따위의 추천 멘트 없고, 또 하바드대학교 권장도서니, 2014년도 oo문고 소설부분 베스트셀러 연속 1000주간 1위니, 숨 넘어가기 전에 꼭 읽어야 할 영미소설 100권이니 뭐니 하는 이런 광고 문구도 없고 말하자면 시계나 화장품이나 옷 광고랑 같다. 책이 너무 상품화 되는 것은 아닌가하는 우려도 된다. 그렇거나 말거나 보기 좋은 떡이 먹기도 좋다고 책이 좀 팔려야 뭐라도 할 것 아닌가. 비쥬얼에 혹해서 책 구입 좀 하시기 바란다. 아시다시피 보기 좋은 떡이라고 다 먹기 좋거나 맛있지는 않다. 하지만 먹어보고 싶은 생각이 들게는 한다. 이게 중요하다.
하여 소생도 구입을 결심했다. <펭귄북스 오리지널 디자인 4대비극 특별판세트>. 이걸 구입하려고 굳은 작심을 하는데, 한놈이 자기도 데려가 달라고 징징거리며 팔에 엉겨붙는다. 천재 북디자이너로 유명하다는(불초 소생은 잘 모르는 분임) 코럴리 빅포드 스미스가 디자인을 한 <이성과 감성> 특별판이다. 아....바람찬 흥남부두에서....눈보라는 휘날리는데........또 다른 한 놈이 바짓가랑이에 메달린다. 이놈은 <오만과 편견> 특별판이다. 역시 코랄리 빅포드 스미스가 표지 디자인을 맡았다. 팔이 둘러 빠지고 바지가 다 찢어질 지경이다..... 피눈물을 흘리면서 1.4.이후 나홀로 와야하나 말아야하나..어쩌나...이게 무슨 소린지....
2. <책chaeg 2호>의 도서관 소개를 보다가 주문(呪文)을...
네델란드 의회 도서관은 사진을 보고 있자면 뭐랄까 실로 장려하고 엄숙하다. 무슨 성당에 들어선 기분이다. 신성한 기운까지 느껴진다. 도서관이란 수많은 전설적이고 영웅적인 미술가들, 철학자들, 소설가들, 학자들을 신으로 모시고 있는 만신전 같은 곳이 아닐까 하는 생각을 해본다. 신전을 출입하는 신관들의 주문은 죽어 누워있는 자들 중에서 선택받은 자들을 불러 일으키고, 영매를 가지지 못한 귀신들은 영겁의 세월을 어두운 신전 구석에 누워 누군가 불러줄 때까지 속절업이 기다려야 하는, 화려한 부활과 영원한 망각이 혼재하는 신전. 이름없는 신관들의 헛된 주문과 부질없는 욕망이 원귀처럼 떠도는 이교도의 신전. 어째 으스스한 분위기. 이런 시답잖은 설정보다는 보르헤스의 지적이 보다 온당할 것이다.
3. 보르헤스는 뭐라고 했던가 I have always imagined that paradise will be a kind of library. - Jorge Luis Borges. 아무리 보르헤스라고 해도 그 정도까진 아니잖아... 만신전을 지키는 늙고 눈먼 신관이 받은 신탁의 적중률은 가늠하기 어렵다.
![](http://image.aladin.co.kr/Community/paper/2015/0202/pimg_7333051131146648.jpg)
헤이그 네델란드 의회도서관 - 건축가는 19세기 유행하던 아르누보 양식을 도입하고 중국 문화와 디자인에서 영감을 받은 조각과 색채를 함께 접목했다. 각각의 책 선반 위에는 용머리가 자연광이 스며드는 도서관 천장의 돔에는 용의 아름다운 비늘 문양이 스테인드글라스로 장식돼 있다. 이를 통해 약간의 상상력을 발휘해 본다면 꼬불꼬불한 나선형 계단이 상징하는 것은 용의 꼬리라는 것과 이 도서관 공간 자체가 한 마리 아름다운 용을 표현하고 있다는 것을 알아차릴 수 있다.
![](http://image.aladin.co.kr/Community/paper/2015/0202/pimg_7333051131146652.jp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