꿈✩은 이루어진다...서재 갖기
며칠 전 서재에 관한 페이퍼를 읽었겠지요. 간단하게 세월이 가면 이루어진다는 답글을 달았습니다.
저도 아이들이 공부할 때는 제 책상은 식탁이었지요. 날마다 책상 타령, 서재 타령을 했드랬습니다.
그 무렵, 오정희 작가가 쓴 글을 읽으며 스스로를 위로하고 다독였지요.
오정희는 작가가 된 이후에도 한참동안 자신의 서재는 물론 책상도 없었다고 합니다.
어느 날, 작품을 위한 현장 답사를 갔다가 돌아와 늦은 저녁밥을 준비하며 울면서 아이들에게 이렇게 얘기했다네요. “봐, 엄마는 작가인데 책상도 없지, 마음 놓고 작품을 구상하고 준비할 시간도 모자라.”
그래서 아이들이 “이사 가면 제일 큰 방을 엄마가 써.” 라고 했다는 글을 읽은 기억이 납니다.
제대로 된 책상과 방해 받지 않는 서재는 정말 저의 꿈이었어요.
그런데 별로 노력을 하지 않았는데 세월이 가니 그 꿈이 이루어지네요.
아이들이 자라서 집을 떠났어요. 당연히 아이들 책상 두 개가 남았어요. 그리고 남편의 책상도 그대로 있지요.
남편은 원래 집에만 오면 와식(식사 때 외엔 누워서 지냅니다) 생활을 하니 책상이 별로 필요가 없지요. 책을 소파에 누워서, 침대에 누워서 보니까요.
그건 젊었을 때도 마찬가지였는데 가장이고 아이들 아버지라 큰 맘 먹고 좋은 책상을 장만했드랬지요. 아마 우리 집에서 가장 비싼 가구일거에요.
남편에게 별로 소용에도 닿지 않는 큰 책상을 제가 차지했습니다. 그리고 딸아이 책상 하나를 덧붙였지요. 저는 엄청 큰 책상을 좋아하거든요.
지난 봄, 이사를 하면서 책을 많이 정리했어요. 남편과 몇날 며칠을 싸웠어요. 정리하자, 가지고 가자. 밤중에 몰래 치우고 엄청 잔소리 들었어요.
결혼하고 십 년 쯤 지났을 때 집안이 전소되는 화재를 만나 살림살이를 다 잃었는데 그리고 나서 장만한 것들로 다시 넘칩니다.
예수쟁이라 이 땅에서의 삶은 나그네 삶이라고 생각하며 사는데, 나그네는 짐이 가벼워야 한다는 것을 알지만 실재 생활을 그렇지가 못한 것 같아서 이사를 하면서 얼마나 민망했던지요.
급기야는 “내 사전에는 무얼 ‘산다’는 말은 이제 없다”고 공언하기에 이르렀는데 이사 오니 새집에 책을 쌓아두고 살기가 좀 그랬어요.
벽 세면을 열세 개의 책장으로 채우고 간신히 큰 창문 쪽만 햇살을 받으려고 두었어요.
저는 있는 책을 더 줄이자고 했고 남편은 책장을 더 사자고 했어요.
저는 언성을 높였어요. “아! ‘산다’는 말 좀 그만해!”
그러자 남편은 이렇게 소리쳤어요. “여보, 책장 두 개만 더 ‘구입’하자.”
결국 책장을 두 개 더 ‘구입’해서 그런대로 책을 꽂긴 했어요.
저는 새벽기도 갔다가 일곱 시쯤 집에 오면 이 서재에서 아침 시간을 보냅니다.
아이들도 집에 없고 남편은 책상을 사용하지 않으니 서재는 온통 제 차지입니다.
책도 읽고, 글도 쓰고, 컴퓨터에 접속해 님들의 글도 읽습니다.
제가 서재를 갖기 위해 한 일은 오로지 ‘오래 버티기’였습니다.
세월이 가니 꿈이 이루어지네요.
그런데 이 무슨 조홧속인지 이렇게 좋은 서재를 두고 가끔은 식탁에서 책을 읽고 글을 쓰는 궁상을 떨기도 한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