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장사의 神 - 일본 요식업계의 전설, 술장사의 신, 우노 다카시가 들려주는 장사에 대한 모든 것! ㅣ 장사의 신
우노 다카시 지음, 김문정 옮김 / 쌤앤파커스 / 2012년 9월
평점 :
절판
얼마 전 갑자기 장사를 해보는 것이 어떨까? 생각해 본 적이 있다. 그 일환으로 읽게 된 책이기도 하고. 며칠 만에 장사해보겠다는 마음을 접은 후에야 주문한 이 책이 늦게 도착하긴 했지만. 장사에 관심없는 사람이 읽어도 좋을 꽤 괜찮은, 재미난 내용이다. 사람(소비자) 상대를 하지 않아도 되는 일이라 생각한 업종-모든 걸 "니 알아서(셀프)" 하는 가게-이어서 한번도 감히(?) 생각해 보지 않는 장사에 관심이 생겼다. 직장 내 인간관계로 스트레스 받으며 일하는 것보다 많이 벌지는 못해도 사람 상대 하지 않으면서 생계유지를 할 수 있지 않을까 하는 환상을 갖고 막연히 생각해 본 일이다. 그런데 그 일에 대한 정보를 캐낼수록 이건, 대기업만 배불리는 일이었다. 서민들 착취하는 프랜차이즈 구조에 나까지 힘을 보태서는 안된다 생각해 미련을 버렸다.
이 책을 읽으니 더욱 장사를 만만히 보면 안되겠다. 저자는 즐거움과 상상력을 갖고 장사해야함을 그리고 오갸크상(최근 몇 년 새 생겨난 "고객" 이라는 말이 일본식인 이 말에서 비롯되었을 거라 생각된다. 그래서 더욱 거부감이 드는 말이다. 예쁜 우리말 "손님"을 쓰는 곳을 찾아보기가 드문 삭막한 세상이 한탄스럽다.)을 어떻게 하면 즐겁게 해서 다시 오게, 그러니까 내 가게의 단골로 만들 것인가. 에 대해 얘기한다. 음식장사를 하면서 음식의 맛(전문적인 솜씨가 필요한) 보다는 전문성이 없는 누구라도 할 수 있는 접객의 중요성을 말한다. 무엇보다도 사람들 속으로 들어가 사람의 "마음"을 읽는 것. 그 귀찮은 것을 강조한다. 조금 어릴 때라면 그런 얘기에 의욕이 솟았겠지만 인간 관계에 지친 지금의 내게는 꽤나 부담스러운 일이다. 속되게 말하자면 저자는 따뜻한 인간미를 지닌 노련한 여우 같다. 유머를 갖춘 능청스러운 저자의 여유가 멋지다.
내가 생각하는 음식점 개념과 조금 다른데. 맛없는 음식은 안먹는 나라서. 내 식당 선택 기준은 오직 맛이니까. 물론 서비스도 아주 중요하지만, 오늘 갔던 오리집처럼. 그 집은 오리요리가 주메뉴인데 값이 저렴하고 맛있는 김치찌개가 더 잘 팔린다. 그런데 주인아저씨가 손님이 오든 가든 인사 한 마디를 건네지 않는 거다. 가게에 들어갈 때는 신경을 안썼는데, "잘 먹었습니다." 하고 나오는데도 대답은 커녕 잘 가라는 인사도 하지 않아서 놀라며 오리 안먹고 김치찌개 먹어서 그런거냐고 남편에게 말했더니 이 집은 뭘 먹어도 그렇다고 한다. 어떻게 요따구로 장사를 할까 싶어 우리끼리 주인아저씨가 이 책을 읽어봐야 하는데 어쩌고... 했다. 대단한 서비스를 바라는 것도 아니고 그냥 사람이 오며가며 인사하는 것 뿐인데도 그 당연한 것을 하지 않는 아저씨의 배짱(?)이 대단한 건지. 죽도록 맛있어서 불친절을 감수하고라도 가고 싶은 만큼은 아니어서 당장은 다시 가게 될 것 같지 않다.
저자가 라쿠 코퍼레이션의 사장이라고 한다. 그냥 명칭만 들었을 때는 도대체가 와닿지 않던 낯선 일본말이 책의 마지막 장인 작가 연혁 중간에 "--라쿠야" 괄호 안 '樂' 자를 보고서야 아하! 하고 이해된다. 저자가 내내 강조한 장사의 "즐거움" 을 뜻하는 라쿠(즐거울 락의 일본식 발음)였구나. 뭐든 "재미" 있어야 한다는 생각은 나와 비슷하다. 재미가 없으면 무엇이든 할 마음이 생기질 않으니. 그 재미를 위해 난 그저 생각만 하고 저자는 바로 행동한다는 커다란 차이가 있지만.
누구보다도 뭔가를 파는 "자신"이 즐거워야 한다는 말이 마음에 든다. 사람의 "마음"을 움직이려는 저자의 생각이 참으로 옳다. 정성을 기울인 마음이기에 더욱 공감이 간다. 음식점이라기 보다 술집이기에 맛보다는 접객을 우선하는 것 같다. 일본 실정을 반영하여 우리 상황과 맞지 않는 부분도 꽤 있지만 술집을 열어보고자 하는 사람이라면 정말 좋은 지침서가 될 것이다. 생각만 해도 골치가 아파오는 "접객"이지만 술안주 몇 가지를 만들 줄 아는 나도 한번쯤 안주가 맛있는 조그만 술집을 열어 언젠가 장사를 해 볼 수도 있겠구나.